테이크 아웃 커피문화와 일상 생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론>

<본론1> 한국의 테이크 아웃 문화
1. 커피의 등장
2. 테이크 아웃 문화의 정착
3. 테이크 아웃 문화의 성장

<본론2> 테이크 아웃 커피 문화의 영향
1. 식습관의 서양화
2. 사고의 서양화
3. 전통과 융합하는 테이크 아웃 문화

<본론3> 테이크 아웃 문화가 유행하게 된 사회적 배경
1. 사회의 고속화 요구
2. 젊은이들만의 문화 발달

<본론4> 테이크 아웃 커피의 긍정적/부정적인 면
1. 긍정적인 면
2. 부정적인 면

<결론>

본문내용

회, 민족의 정체성 또한 중요하다. 현대 사회에서 사회나 민족의 정체성을 규정할 때 문화란 요소는 가장 큰 기준이 된다. 때문에 한 사회의 문화가 흔들리면 그 사회의 정체성에 금이 가고 이것은 사회의 결속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 우리가 이대로 계속 맛과 편의만을 추구하여 테이크 아웃 커피를 아무 비판 없이 즐기며 개인의 의사만을 중시하고 민족의 정체성을 지키지 못한다면 한민족 문화의 뿌리가 흔들리게 될 것이다. 펜은 칼보다 강하다는 말이 있듯이 문화를 지켜내지 못하고 자신들의 문화를 사랑하지 못하면 언젠가는 타문화에 종속되는 문화식민지 상태에 이를지도 모른다. 이스라엘의 유대인들처럼 그 민족만의 정체성을 잘 지켜나간다면 어떠한 어려움이 닥친다고 해도 민족의 하나됨으로 이겨 나갈 수 있게 될 것이다.
지금 우리는 바쁘게 살아가는 일상 속에서 편리와 필요에 의해 무조건적으로 서양의 문화를 받아들이고 있다. 앞으로 우리는 앞서 수용한 문화를 변용하여 우리 문화에 흡수될 수 있도록 유연하고 주체적인 사고를 해야 한다. 또한 우리 문화의 정체성 확립에 힘쓰기 위해 타문화를 받아들일 때에는 비판적인 눈으로 바라보는 지혜가 필요하다.

Anthony Giddens. 현대사회학(제4판). 을유문화사. 2004. 40~65p/68~92p
http://blog.naver.com/friendofmine.do?Redirect=Log&logNov=100013428675
http://www.midas.co.kr/docs/magazine/woman_donga/200112/food12.html
http://www.istarbucks.co.kr/
http://www.istarbucks.co.kr/ko/company_news.htm
http://www.istarbucks.co.kr/ko/company_info.htm
http://www.istarbucks.co.kr/ko/company_mission.htm
http://www.hollys.co.kr/
http://www.hollys.co.kr/index_introduction.htm
http://www.hollys.co.kr/index_news.htm
http://www.seabest.co.kr/
http://www.e-rosebud.co.kr
차경수 외(2000).『공통사회(상) 일반사회』.서울:교육부
사회의 고속화와 테이크 아웃 커피(Take out Coffee)
  • 가격1,2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7.05.29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19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