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정의
2. 원인
3. 빈도
4. 병태생리
5. 증상
① 골 파괴
② 혈청 단백의 이상
③ 단백뇨
④ 고칼슘 혈증
⑤ 신부전
⑥ 혈액 상태
6. 진단
① 혈액 검사
② 소변 검사
③ 세포학적 검사
④ X-선 검사
7. 간호
① 간호 사정
② 치료 및 간호
③ 퇴원 간호
2. 원인
3. 빈도
4. 병태생리
5. 증상
① 골 파괴
② 혈청 단백의 이상
③ 단백뇨
④ 고칼슘 혈증
⑤ 신부전
⑥ 혈액 상태
6. 진단
① 혈액 검사
② 소변 검사
③ 세포학적 검사
④ X-선 검사
7. 간호
① 간호 사정
② 치료 및 간호
③ 퇴원 간호
본문내용
야기
-소화기 증상 : 식욕부진, 오심, 구토, 설사
- 순환기 증상 : 부정맥, 빈맥, 혈압 상승, 심부전
- 호흡기 증상 : 호흡 곤란, 폐잡음, Kussmaul 호흡
- 신경과 근육 증상 : 집중력 저하, 경련, 의식 장애
요독증에 의한 증상의 관찰이 필요
③ 퇴원 간호
완치는 어렵고, 동통의 경감과 혈중 M단백의 감소, 신기능이 안정된 때 퇴원하여 정기적인 통원 치료를 받도록 한다.
- 골 병변의 동통 등이 없으면 일상생활은 제한하지 않는다. 지나친 안정은 오히려 뼈의 칼슘이 방출되게 하므로 무리가 없는 정도에서 지속적으로 활동할 것을 강조한다.
- 주의해야할 증상은 신기능 장애의 징후(소변량 감소, 부종), 감염의 징후(발열, 가침, 가래 등), 골 병변의 악화(골 통증 증가), 출혈 위험의 증사(자반증과 잇몸, 비출혈 등)
- 감염 예방(장기간의 화학요법으로 인한 백혈구감소증 leukopenia)에 대한 교육
- 정기적인 외래 방문과 계속적인 치료 필요
* 참고문헌
Essentials of clinical nursing Ⅱ chapter 5. - 도서출판 한우리
성인간호학 (하) 제 2부 세포성장과 증식 - 제 8장 백혈병과 림프종 - 서문자
-소화기 증상 : 식욕부진, 오심, 구토, 설사
- 순환기 증상 : 부정맥, 빈맥, 혈압 상승, 심부전
- 호흡기 증상 : 호흡 곤란, 폐잡음, Kussmaul 호흡
- 신경과 근육 증상 : 집중력 저하, 경련, 의식 장애
요독증에 의한 증상의 관찰이 필요
③ 퇴원 간호
완치는 어렵고, 동통의 경감과 혈중 M단백의 감소, 신기능이 안정된 때 퇴원하여 정기적인 통원 치료를 받도록 한다.
- 골 병변의 동통 등이 없으면 일상생활은 제한하지 않는다. 지나친 안정은 오히려 뼈의 칼슘이 방출되게 하므로 무리가 없는 정도에서 지속적으로 활동할 것을 강조한다.
- 주의해야할 증상은 신기능 장애의 징후(소변량 감소, 부종), 감염의 징후(발열, 가침, 가래 등), 골 병변의 악화(골 통증 증가), 출혈 위험의 증사(자반증과 잇몸, 비출혈 등)
- 감염 예방(장기간의 화학요법으로 인한 백혈구감소증 leukopenia)에 대한 교육
- 정기적인 외래 방문과 계속적인 치료 필요
* 참고문헌
Essentials of clinical nursing Ⅱ chapter 5. - 도서출판 한우리
성인간호학 (하) 제 2부 세포성장과 증식 - 제 8장 백혈병과 림프종 - 서문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