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⑴ 동맥
⑵ 모세혈관
⑶ 정맥
⑷ 림프계
참고문헌
⑵ 모세혈관
⑶ 정맥
⑷ 림프계
참고문헌
본문내용
강낭콩모양20 -30cm 정도의 크기
a.목림프절 - 턱의아래쪽 경계를 따라 목안의 깊은 부위에 있으며 비강, 인두, 얼굴, 그리 고 머리피부에서 나오는 림프관과 연결됨.
b. 겨드랑림프절 - 팔, 흉곽의 벽, 젖샘 그리고 배부위의 윗벽에서 나오는 림프관과 연결됨.
c. 흉강림프절 - 종격동내, 기관 및 기관지에 연결되면서 가슴부위 내장과 가슴부위벽에서 림프를 받는다.
d. 복강림프절 - 배부위 내장에서 림프를 받음.
e. 서혜부림프절 - 다리와 외부생식기 및 아랫배벽에서 림프를 받아들임.
③림프절의 기능
a.방어기능 - 여과 및 식작용
체내에 들어온 미생물이나 이물질, 손상된세포, 세포부스러기 등이 림프절의 도관벽을 이루 고 있는 많은 세망내피세포나 식균세포에 의해 살균 또는 포식된다.
b. 조혈기능
많은 양의 림프구를 생산. 림프구는 림프관에 의해 림프절로 운반되어 온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대하여 제거작용을 하며 림프 조직안에 있는 큰 세포가 항체를 생산하거나 형질세포로 변형하여 순환항체를 만들어 유출.
참고문헌
『인체해부생리학』 청구문화사 1996년 정영태 정경아
『인체해부학』현문사 1999년 이성호외 공저
『생리학』 현문사 2001년 최명애외 공저
a.목림프절 - 턱의아래쪽 경계를 따라 목안의 깊은 부위에 있으며 비강, 인두, 얼굴, 그리 고 머리피부에서 나오는 림프관과 연결됨.
b. 겨드랑림프절 - 팔, 흉곽의 벽, 젖샘 그리고 배부위의 윗벽에서 나오는 림프관과 연결됨.
c. 흉강림프절 - 종격동내, 기관 및 기관지에 연결되면서 가슴부위 내장과 가슴부위벽에서 림프를 받는다.
d. 복강림프절 - 배부위 내장에서 림프를 받음.
e. 서혜부림프절 - 다리와 외부생식기 및 아랫배벽에서 림프를 받아들임.
③림프절의 기능
a.방어기능 - 여과 및 식작용
체내에 들어온 미생물이나 이물질, 손상된세포, 세포부스러기 등이 림프절의 도관벽을 이루 고 있는 많은 세망내피세포나 식균세포에 의해 살균 또는 포식된다.
b. 조혈기능
많은 양의 림프구를 생산. 림프구는 림프관에 의해 림프절로 운반되어 온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대하여 제거작용을 하며 림프 조직안에 있는 큰 세포가 항체를 생산하거나 형질세포로 변형하여 순환항체를 만들어 유출.
참고문헌
『인체해부생리학』 청구문화사 1996년 정영태 정경아
『인체해부학』현문사 1999년 이성호외 공저
『생리학』 현문사 2001년 최명애외 공저
추천자료
경피적 관상동맥 성형술 (Percutaneous Transluminal Coronary Angioplasty)
뇌 동맥류 (Cerebral Aneurysm)
염증과 동맥경화의 관계
복부 대동맥류 사례 보고서
폐쇄성 동맥경화증
뇌졸중 중대뇌동맥 MCA 성인가호학 케이스스터디 간호과정
고혈압과 관상동맥질환 식이
뇌동맥류 케이스
실습케이스case-뇌동맥류cerebral aneurysm
아동 동맥관개존증 case 1
관상동맥우회술(CABG)
관상동맥조영술(CAG, coronary arteriography)
뇌동맥류 aneurysm casestudy
뇌동맥류 Cerebral aneurysm 케이스 스터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