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
2.본론
1)우승열패 신앙의 계보
2)'힘'으로서의 '자유'
3)아시아주의와의 조우
4)사회진화론의 조선유입
3.결론
2.본론
1)우승열패 신앙의 계보
2)'힘'으로서의 '자유'
3)아시아주의와의 조우
4)사회진화론의 조선유입
3.결론
본문내용
사회변동과 역사의식’이란 수업에서 정말 중요한 것을 얻은 것 같다. 사실 수업을 통해서 얻은 점 때문에 생각을 많이 하고 친구들과 많은 이야기들을 할 수 있었다. ‘근대’의 밑바탕을 둔 일제식민사학을 반박하기 위한 움직임이 결국은 ‘근대’로 초점이 맞춰지는 모순점을 어떻게 극복해야 할까하는 점은 한 학기 내내 고민아닌 고민이었다. 그리고 왜 과거 지식인들은 ‘사회진화론’을 ‘힘의 논리’를 밑바탕에 둔 근대화를 그대로 받아들였을까 하는 점과 실증주의 사학이 우리나라의 사학을 지배하게 되었던 정치적 상황이 아쉽기도 했다. 어떤 친구는 나에게 왜 ‘근대’라는 개념을 부정하려고만 하냐고 되묻기도 했다. 일제의 식민지였던 사실을 받아들이고 일본이 우리나라에게 철도나 벽돌집 토지사업등 개혁적인 정책을 시행했던 것은 사실로 받아들이고 우리가 더 발전해서 선진적인 모습을 보여주면 된다고 이야기한다. 아직까지도 현실속에서 ‘개방’의 문제와 ‘근대’의 문제에 대해서 고민하는 모습이 과거 조선말 일제시대의 지식인들이 했던 고민들과 별반 다르지 않은 모습을 보면서 쓴 웃음이 나온다. 그 고민의 답을 찾아나가야 하는게 우리가 해야 할 일이 아닌가 생각하면서 글을 마쳐야 겠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