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머리말
2. 본론
조상숭배 사상이란?
조상 숭배 의식의 기원
조선시대의 조상숭배 효와 충
세계의 조상숭배와 한국의 조상숭배
한국의 조상숭배
천주교의 조상 인식과 숭배, 제사
조상숭배의 결과물- 족보
3. 맺는말
2. 본론
조상숭배 사상이란?
조상 숭배 의식의 기원
조선시대의 조상숭배 효와 충
세계의 조상숭배와 한국의 조상숭배
한국의 조상숭배
천주교의 조상 인식과 숭배, 제사
조상숭배의 결과물- 족보
3. 맺는말
본문내용
니라, 그러면 천지는 곧 부모요 부모는 곧 천지니, 천지부모는 처음부터 사이가 없느니라”라는 말 역시 하늘과 부모를 동일한 존배로 간주하고 있다. 이는“천지 섬김을 부모 섬김과 같이 하되, 출입에 반드시 고하고 혼정신성의 예의를 한결같이 하는 것은....”이라는 구절에서도 여실히 드러난다. 따라서 천도교에서는 부모를 곧 하늘과 동일하게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부모에 대한 인간으로서의 마음가짐에 대한 설법한 내용은 [동경대전]의[불연기연]조에 잘 나타나 있다. “나의 나 된 것을 생각하면 부모가 이에 계시고, 뒤에 뒤 될 것을 생각하면 자손이 저기 있도다”라고 하여 한 개인의 존재가 부모로부터 기인하고 이것이 자손에게 이러진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그래서 “세상에 누가 부모 없는 사람이 있겠는가. 그 선조를 상고하면 그렇고 또 그런 까닭이니라”라고 역설할 수 있었을 것이다. 또한 [해월신사법설]‘천지부모’조에 “천지가 부모임을 알지 못하면 억조창생이 누가 능히 부모에게 효도하고 봉양하는 도로써 공경스럽게 천지를 받들 것인가”라고 하여 부모 섬기는 일이 곧 하늘을 섬기는 것과 같은 이치이므로 부모를 효로서 공경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한편, 천도교의 조상에 대한 이식은 천주를 섬기는 것과 같은 존재로 인식하고 있다. 천도교의 조산에 대한 관념 역시 천도교 교리에 잘 나타나 있다. [의암성사법설]‘수수명실록’존에 의하면 “사람이 자식을 낳아 뜻을 주고 집을 전하는 것은 눈앞에 황영한 것이요, 죽은 뒤에 제사를 받드는 것은 미혹의 나머지 정상이라”라고 하여 생시의 효도뿐만 아니라 사후의 제사도 매우 중요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용담유사][권학가]에 의하면 “우습다 저 사람은 저의 부모 죽은 후에 신도 없다 이름하고 제사조차 안 지내며 오륜에 벗어나서...”라고 하여 조상은 돌아가신 후에 조상신을 위해 반드시 제사를 지내야 하는 것이 오륜에서 벗어나지 않고 인간의 도리를 다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또한 사람은 누구에게나 부모가 있고, 이십대나 삼십대를 거슬러 올라가면 나타나는 시조를 받든다. 이 시조는 하늘이 낳았기 때문에 반드시 모셔야 한다. 그러므로 천주를 모시는 것은 부로를 모시는 것이나 다름 없다고 생각했다.
조상숭배의 결과물- 족보
조상상숭배를 위하여 조선시대에 족보가 본격적으로 출현하게 되었다. 고려시대에도 ‘씨족’, ‘세계도’, ‘가첩’, 또는 ‘족도’ 등 고문서 형태의 족보들이 있었다. 종실, 귀족, 공신, 고급관원의 내외자손들은 문음의 승계 또는 과거와 벼슬살이를 위해 자신의 가계와 신분을 증빙하는 근거로 이를 작성하였다. 조선시대에 들어와 유교가 점차 보편화되면서 족보다운 족보가 편잔하기 시작하였다. 즉 태종 연간의 [선원록], [종친록], 세종 때의 [당대선원록] 등이 그것이다. 민간에서는 [안동권씨성화보]가 인쇄 반포된 이후 16,17세기를 거치면서 족보의 편찬이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당시 왕실에서는 많은 처첩과 이들의 자녀들이 혼재되어 있었다. 이들은 특권의 분배를 둘러싸고 자주 충돌하기도 하였다. 1차, 2차 왕자의 난을 거치면서 등극한 태종으로서는 왕실의 위계질서를 확립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문제였다. 이것이 왕실에서 족보를 편찬한 이유였다. 족보는 누가 처이고 누가 첩인지, 누가 적손이고 누가 서손인지를 명확히 구분해 주기 때문이다. 이 같은 사정은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 양반 사대부가에도 마찬가지였다. 물론 족보는 조상을 숭배하기 위한 것이기도 하였다. 양반사대부가의 조상 숭배는 정치, 사회적인 이해관계와도 관련이 있었다. 양반들은 족보를 통해 혈연적인 결속력을 강화하는 한편, 하층민과의 차별성을 과시할 수 있었다. 이롯서 족보를 만들어 조상을 섬기는 것은 왕족이나 양반층만의 특권이였다.
3. 맺는말
보고서를 통하여 조상숭배에가 어떻게 해서 생겨나게 된 것인지에 대해 자세하게 알게 되었다. 또한 조상숭배와 관련된 종교적 입장과 세계적 입장 그리고 우리들의 입장에 대해 확연하게 알게 되었다. 현대에도 조상숭배는 내려오고 있다. 하지만 옛만 못하게 사실이다. 앞으로 우리들은 이러한 관습을 아끼고 지켜나가기 위한 노력을 하여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좀더 한국적인 조상숭배에 대해 알아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①종횡무진 한국사, ②한국의 고대사를 생각한다, ③공자가 죽어야 나라가 산다.
④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⑤종교와 조상제사,
⑥청소년을 위한 역사 백과사전, ⑦우리 역사를 움직인 33가지 철학.
[용담유사][권학가]에 의하면 “우습다 저 사람은 저의 부모 죽은 후에 신도 없다 이름하고 제사조차 안 지내며 오륜에 벗어나서...”라고 하여 조상은 돌아가신 후에 조상신을 위해 반드시 제사를 지내야 하는 것이 오륜에서 벗어나지 않고 인간의 도리를 다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또한 사람은 누구에게나 부모가 있고, 이십대나 삼십대를 거슬러 올라가면 나타나는 시조를 받든다. 이 시조는 하늘이 낳았기 때문에 반드시 모셔야 한다. 그러므로 천주를 모시는 것은 부로를 모시는 것이나 다름 없다고 생각했다.
조상숭배의 결과물- 족보
조상상숭배를 위하여 조선시대에 족보가 본격적으로 출현하게 되었다. 고려시대에도 ‘씨족’, ‘세계도’, ‘가첩’, 또는 ‘족도’ 등 고문서 형태의 족보들이 있었다. 종실, 귀족, 공신, 고급관원의 내외자손들은 문음의 승계 또는 과거와 벼슬살이를 위해 자신의 가계와 신분을 증빙하는 근거로 이를 작성하였다. 조선시대에 들어와 유교가 점차 보편화되면서 족보다운 족보가 편잔하기 시작하였다. 즉 태종 연간의 [선원록], [종친록], 세종 때의 [당대선원록] 등이 그것이다. 민간에서는 [안동권씨성화보]가 인쇄 반포된 이후 16,17세기를 거치면서 족보의 편찬이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당시 왕실에서는 많은 처첩과 이들의 자녀들이 혼재되어 있었다. 이들은 특권의 분배를 둘러싸고 자주 충돌하기도 하였다. 1차, 2차 왕자의 난을 거치면서 등극한 태종으로서는 왕실의 위계질서를 확립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문제였다. 이것이 왕실에서 족보를 편찬한 이유였다. 족보는 누가 처이고 누가 첩인지, 누가 적손이고 누가 서손인지를 명확히 구분해 주기 때문이다. 이 같은 사정은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 양반 사대부가에도 마찬가지였다. 물론 족보는 조상을 숭배하기 위한 것이기도 하였다. 양반사대부가의 조상 숭배는 정치, 사회적인 이해관계와도 관련이 있었다. 양반들은 족보를 통해 혈연적인 결속력을 강화하는 한편, 하층민과의 차별성을 과시할 수 있었다. 이롯서 족보를 만들어 조상을 섬기는 것은 왕족이나 양반층만의 특권이였다.
3. 맺는말
보고서를 통하여 조상숭배에가 어떻게 해서 생겨나게 된 것인지에 대해 자세하게 알게 되었다. 또한 조상숭배와 관련된 종교적 입장과 세계적 입장 그리고 우리들의 입장에 대해 확연하게 알게 되었다. 현대에도 조상숭배는 내려오고 있다. 하지만 옛만 못하게 사실이다. 앞으로 우리들은 이러한 관습을 아끼고 지켜나가기 위한 노력을 하여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좀더 한국적인 조상숭배에 대해 알아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①종횡무진 한국사, ②한국의 고대사를 생각한다, ③공자가 죽어야 나라가 산다.
④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⑤종교와 조상제사,
⑥청소년을 위한 역사 백과사전, ⑦우리 역사를 움직인 33가지 철학.
추천자료
고대의 불교사상
족보에도 가짜가 있나요
고대의 불교사상
세시풍속 정리
고등학교 전통윤리 정리
비교종교학
현대 사회와 인간관계 효(孝)
현대종교의 특징에 대하여.
[효][효도][효교육][효도교육][도덕성 발달이론][실천의지][생활화]효(효도)의 정의, 도덕성 ...
[제사][제례][제사(제례) 순서][지방][축문][제수진설][제사(제례)에 임하는 태도]제사(제례)...
[제사][제례][기제][제수][상차림][제사 순서][제례 순서]제사(제례)의 의의, 제사(제례)의 ...
숭조돈종의 의미
그리스도(예수, 예수그리스도)의 의미, 그리스도(예수, 예수그리스도)의 구원론, 그리스도(예...
[유학과 직업윤리] 제사와 조선시대 유교의 영향을 받은 제사풍속에 관하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