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래로 나뉘게 한다. 그 중 하나는, 칸트의 주장과는 달리 물자체는 어떤 식으로든 인식 가능한 것이어야 한다. 실제의 많은 과학자들과 실재론을 믿는 과학철학자들이 이 부류에 해당할 것이다. 다른 하나는, 물자체를 주체의 의식 안으로 끌어들인다. 이것은 피히테와 쉘링, 헤겔로 이어지는 독일 관념론의 주장이다. 우리는 물자체를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칸트가 물자체를 미지의 세계에 남겨 둔 것은 그 시대의 자연과학이 가진 한계 때문이 아니었을까?
(2) 선험적 형식의 한계와 의미
러셀은 서양철학사에서 칸트의 직관 형식인 공간과 시간을 다음과 같이 비판한다. 이것은 칸트의 인식론을 비판하는 대표적인 견해이다. 칸트에게서 공간과 시간은 인식주체에게 주어져있는(소여, given) 선험적 형식이다. 공간과 시간은 인식 대상이 아니라 인식주체에게 속한 것이며, 모든 인간에게 주어져 있는 것이기에 보편적이고 절대적이다. 그러나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에 따르면 시공간은 상대적이다. 특히 시간은 객관적 시간과 주관적 시간으로 구분되어야 한다. 따라서 흄에 맞서서 직관 형식을 통해 경험에 법칙성을 부여하려 한 칸트의 시도는 실패하게 된다. 또한, 칸트의 선험적 공간론의 토대가 된 유클리드 기하학은 공간에 관한 가능한 기하학들 중의 한 가지 특수한 경우이다. 일련의 현대 수학, 물리학 이론에 의해 칸트가 주장한 순수 이성의 선험적 형식 중 공간과 시간은 반박되었다.
그렇다면 오성 형식인 범주는 어떠한가? 12범주로 나뉘는 판단표의 근거는 무엇인가? 만약 칸트의 12범주가 임의적인 것에 불과하다면, 그것은 무엇을 함축하는가?
(2) 선험적 형식의 한계와 의미
러셀은 서양철학사에서 칸트의 직관 형식인 공간과 시간을 다음과 같이 비판한다. 이것은 칸트의 인식론을 비판하는 대표적인 견해이다. 칸트에게서 공간과 시간은 인식주체에게 주어져있는(소여, given) 선험적 형식이다. 공간과 시간은 인식 대상이 아니라 인식주체에게 속한 것이며, 모든 인간에게 주어져 있는 것이기에 보편적이고 절대적이다. 그러나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에 따르면 시공간은 상대적이다. 특히 시간은 객관적 시간과 주관적 시간으로 구분되어야 한다. 따라서 흄에 맞서서 직관 형식을 통해 경험에 법칙성을 부여하려 한 칸트의 시도는 실패하게 된다. 또한, 칸트의 선험적 공간론의 토대가 된 유클리드 기하학은 공간에 관한 가능한 기하학들 중의 한 가지 특수한 경우이다. 일련의 현대 수학, 물리학 이론에 의해 칸트가 주장한 순수 이성의 선험적 형식 중 공간과 시간은 반박되었다.
그렇다면 오성 형식인 범주는 어떠한가? 12범주로 나뉘는 판단표의 근거는 무엇인가? 만약 칸트의 12범주가 임의적인 것에 불과하다면, 그것은 무엇을 함축하는가?
추천자료
[경험론] 경험론자들의 관념
칸트철학에서 판단력의 문제
철학자 로크
철학자 듀이(Dewey)
칸트의 순수이성비판에 대하여
[철학]이성 밖의 윤리 : ‘도덕에 관하여 - 실험적 추론 방법을 도덕적 주제들에 도입하기 위...
칸트의 순수이성비판에서의 능력들의 관계
[칸트][역사][윤리학][정언명법][복지국가][순수이성비판][육상산][세계관]칸트가 바라본 역...
칸트 철학의 이해 _ 미학 및 서양 철학사
[경험주의]경험주의(경험론)의 개념, 로크의 경험주의(경험론), 버클리의 경험주의(경험론), ...
[A+] 근대 경험론(로크 ,버클리, 흄)에 대한 자신의 견해
『순수이성비판 요약 및 분석 감상문』-임마누엘 칸트
칸트의 순수이성비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