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면서
2. 서언과 서론
3. 선험적 원리론
1) 선험적 감성론
2) 선험적 논리학
(1) 선험적 분석론
(2) 선험적 변증론
4. 선험적 방법론
5. 정리 및 참고 문헌
2. 서언과 서론
3. 선험적 원리론
1) 선험적 감성론
2) 선험적 논리학
(1) 선험적 분석론
(2) 선험적 변증론
4. 선험적 방법론
5. 정리 및 참고 문헌
본문내용
, 3가지 추리에 따른 3가지 이념을 제시하는데 첫 번째는 ‘실체성의 개념(시간 안에서의 지속성의 개념)을 기초로 사유하는 주관의 통일, 즉 영혼에 도달’하는 정언적 추리이다. 이 정언적 추리는 심리학적 이념과 연결된다. 두 번째는 ‘인과율의 개념을 기초로 현상에 대한 조건 계열의 절대적인 통일, 즉 세계의 전체성에 이르는’ 가언적 추리이다. 이는 우주론적 이념과 연결된다. 세 번째는 ‘공통성의 개념을 기초로 모든 사유 대상에 대한 조건의 절대적 통일, 큰 신에 도달하는’ 선언적 추리이다. 이는 신학적 이념과 연결된다. 다음으로 칸트는 가상을 산출하는 오류 추리들을 제시한다. 처음에는 순수 이성의 오류추리를 제시하며 다음으로는 네가지 이율배반을 제시한다.(교수님 구체적인 내용은 게시글로써 자세히 올려놓았음으로 여기서는 언급만 하겠습니다.)
칸트가 선험적 변증론에서 이성의 이념들인 자아,세계,신의 관념들을 다룬 이유는 이 이념들은 인식의 대상이 되지 못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것들에 대한 주장은 이율배반에 빠지게 되고, 이것들에 대한 지적인 논의가 실패로 끝나게 된다. 칸트는 이것을 드러냄으로써 이성의 이념들의 실상을 폭로하기 시작한 것이다. 여기서 우리는 인간의 이성의 한계를 다시 되돌아보게 되는 것이 아닐까...
4. 선험적 방법론
마지막 선험적 방법론에 대해서는 자료도 굉장히 적을뿐더러 실제로 칸트의 순수이성 비판에서 중요부분으로 여겨지지는 않는다. 여기서 칸트는 순수 이성의 규율과 순수 이성의 규준, 순수 이성의 건축술 그리고 순수 이성의 역사를 설명한다.
특히 순수 이성의 규율은 “경고하는 부정론”으로서 잘못된 그리고 부적절한 방법들을 따름으로써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여러 가지 오류들을 방지하려는 목적을 가진다. 그리고 순수 이성의 규준에선 실천적 사용에 관계하는데 신의 존재, 불멸의 영혼과 내세는 순수 이성의 한계를 드러내게 한다. 마지막으로 순수 이성의 건축술에서는 자연형이상학과 도덕형이상학과 순수이성과의 관계를 설명해나간다.
5. 정리 및 참고 문헌
(개인적 생각과 이번 발표를 통해 느낀점 등을 정리하겠습니다)
이번 리포트를 쓰면서 참으로 저의 한계를 느꼈습니다. 첫 부분 특히 서언과 서론 부분은 굉장히 의욕적으로 조사하였습니다. 그 부분은 실로 참으로 저에게 재미있었고 구체적인 예를 스스로 들어가며 나름대로 넓게 이해하였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뒷부분으로 가면 갈수록 굉장한 분량과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들이 많아 표면적 이해해 그친 점이 없지 않아 있다는 것을 인정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리포트를 통하여 칸트에 대해 더 나아가 철학에 대해 스스로 많은 고민을 하게 되었고, 이는 저에게 굉장히 고무적인 기회였다고 생각됩니다.
참고문헌
O.Hoffe, [임마누엘 칸트,Immanuel Kant], 문예출판사
H.M. Baumgartner, [칸트의 순수이성 비판 읽기], 철학과 현실사
이병수, 우기동, [철학의 철학사적 이해], 돌베개
편집고문 사카베 메구미 외 1인, ... [현대철학사전 I, 칸트사전], 도서출판 b
칸트가 선험적 변증론에서 이성의 이념들인 자아,세계,신의 관념들을 다룬 이유는 이 이념들은 인식의 대상이 되지 못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것들에 대한 주장은 이율배반에 빠지게 되고, 이것들에 대한 지적인 논의가 실패로 끝나게 된다. 칸트는 이것을 드러냄으로써 이성의 이념들의 실상을 폭로하기 시작한 것이다. 여기서 우리는 인간의 이성의 한계를 다시 되돌아보게 되는 것이 아닐까...
4. 선험적 방법론
마지막 선험적 방법론에 대해서는 자료도 굉장히 적을뿐더러 실제로 칸트의 순수이성 비판에서 중요부분으로 여겨지지는 않는다. 여기서 칸트는 순수 이성의 규율과 순수 이성의 규준, 순수 이성의 건축술 그리고 순수 이성의 역사를 설명한다.
특히 순수 이성의 규율은 “경고하는 부정론”으로서 잘못된 그리고 부적절한 방법들을 따름으로써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여러 가지 오류들을 방지하려는 목적을 가진다. 그리고 순수 이성의 규준에선 실천적 사용에 관계하는데 신의 존재, 불멸의 영혼과 내세는 순수 이성의 한계를 드러내게 한다. 마지막으로 순수 이성의 건축술에서는 자연형이상학과 도덕형이상학과 순수이성과의 관계를 설명해나간다.
5. 정리 및 참고 문헌
(개인적 생각과 이번 발표를 통해 느낀점 등을 정리하겠습니다)
이번 리포트를 쓰면서 참으로 저의 한계를 느꼈습니다. 첫 부분 특히 서언과 서론 부분은 굉장히 의욕적으로 조사하였습니다. 그 부분은 실로 참으로 저에게 재미있었고 구체적인 예를 스스로 들어가며 나름대로 넓게 이해하였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뒷부분으로 가면 갈수록 굉장한 분량과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들이 많아 표면적 이해해 그친 점이 없지 않아 있다는 것을 인정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리포트를 통하여 칸트에 대해 더 나아가 철학에 대해 스스로 많은 고민을 하게 되었고, 이는 저에게 굉장히 고무적인 기회였다고 생각됩니다.
참고문헌
O.Hoffe, [임마누엘 칸트,Immanuel Kant], 문예출판사
H.M. Baumgartner, [칸트의 순수이성 비판 읽기], 철학과 현실사
이병수, 우기동, [철학의 철학사적 이해], 돌베개
편집고문 사카베 메구미 외 1인, ... [현대철학사전 I, 칸트사전], 도서출판 b
추천자료
1960년대 순수문학과 참여문학의 논쟁
칸트와 헤르더의 역사철학
칸트의 의무론과 공리주의
[철학][철학사상][철학자][진보][진리][사상][화이트헤드][지각론][칸트]철학과 철학사상 및 ...
하버마스의 의사소통이론의 패러다임 전환과 합리성이론 비판
칸트의 인식론과 윤리학의 한계
☀ 후설의 현상학의 자연과학 비판의 내용과 윤리의 문제
칸트_도덕적형이상학을 위한 기초놓기 독후감
[도덕적 행위론][자유의지][공리주의][칸트 도덕적 행위론][도덕적 행위론 평가]도덕적 행위...
[인식론][인식][아리스토텔레스][칸트][바르트][하나님 인식론]인식의 의의 고찰과 인식론의 ...
[하버마스] 하버마스와 하버마스의 사상 및 하버마스의 이론(의사소통행위이론, 비판이론) 분석
[증명][칸트 증명][수학 증명][아보가드로법칙 증명][애로우 불가능성 정리의 증명][페르마정...
칸트2
순수참여논쟁-문학논쟁,탈이데올로기,현대의순수참여논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