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도 율격 형성에 기여하지 못하고, 일정한 음절군이 율격의 단위가 되어 형성되는 율격을 말한다. 그러나 이러한 음수율을 율격의 체계나 율격의 규칙이라고 말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3) 음보율
(1) 음보
음보는 원칙적으로 등시성을 가져야 한다. 등시성은 음절의 수량의 같음으로써 형성되기도 한고, 음량이 동일함으로써도 형성된다. 등시성을 가진 음보는 시간적 선조성에 따라 일직선으로 연속되는 것이 아니라 순환하거나 반복하면서 율격 구조를 형성한다. 율격적 휴지는 음보의 순환과 반복에 기여하고, 한 행에서의 음보수를 구조화하여 율격 체계를 형성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다시 말하면, 음보는 음보말 휴지에 의하여 순환반복하고 율격 체계를 형성하는 것이다.
(2) 음보율
한국시의 음보율에는 크기가 같은 음보의 결합으로 형성되는 ‘동량보격’과 크기가 다른 음보의 결합으로 형성되는 ‘충량보격’의 두 형태가 있다. 크기가 같은 음보란 음절수나 음량의 등시성을 말하고, 크기가 드른 음보란 등시성에 차이가 있는 음보가 한 시행에 공존하는 것을 말한다.
4) 내재율
시의 리듬이나 율격을 논의할 때 흔히 외재율과 내재율로 나누는 경우가 있다. 외재율을 내재율과 상반되는 의미로 쓸 경우에는 정형시에서 그 리듬이 규칙적으로 체계화된 율격을 가리키고, 내재율은 문장 속에 은폐된 리듬 즉 자유시나 산문시의 리듬을 가리킨다. 그러므로 내재율 속에는 자유시의 리듬과 산문율을 포함한다. 자유시는 물론이요, 산문시조차도 리듬에서 완전히 벗어난 시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내재율은 언제나 외재율과의 관계에서 그 특성이나 양상이 드러나는 것이다.
3) 음보율
(1) 음보
음보는 원칙적으로 등시성을 가져야 한다. 등시성은 음절의 수량의 같음으로써 형성되기도 한고, 음량이 동일함으로써도 형성된다. 등시성을 가진 음보는 시간적 선조성에 따라 일직선으로 연속되는 것이 아니라 순환하거나 반복하면서 율격 구조를 형성한다. 율격적 휴지는 음보의 순환과 반복에 기여하고, 한 행에서의 음보수를 구조화하여 율격 체계를 형성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다시 말하면, 음보는 음보말 휴지에 의하여 순환반복하고 율격 체계를 형성하는 것이다.
(2) 음보율
한국시의 음보율에는 크기가 같은 음보의 결합으로 형성되는 ‘동량보격’과 크기가 다른 음보의 결합으로 형성되는 ‘충량보격’의 두 형태가 있다. 크기가 같은 음보란 음절수나 음량의 등시성을 말하고, 크기가 드른 음보란 등시성에 차이가 있는 음보가 한 시행에 공존하는 것을 말한다.
4) 내재율
시의 리듬이나 율격을 논의할 때 흔히 외재율과 내재율로 나누는 경우가 있다. 외재율을 내재율과 상반되는 의미로 쓸 경우에는 정형시에서 그 리듬이 규칙적으로 체계화된 율격을 가리키고, 내재율은 문장 속에 은폐된 리듬 즉 자유시나 산문시의 리듬을 가리킨다. 그러므로 내재율 속에는 자유시의 리듬과 산문율을 포함한다. 자유시는 물론이요, 산문시조차도 리듬에서 완전히 벗어난 시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내재율은 언제나 외재율과의 관계에서 그 특성이나 양상이 드러나는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