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 대안예술의 개념
Ⅱ. 웹아트란 무엇인가
1. 웹아트란?
2. 웹아트의 기원 및 역사
3. 웹아트의 특징
4. 웹아트의 시공간
5. 웹아트와 인터랙티비티
6. 웹아트의 두가지 방향
Ⅲ. 대표적 웹아트 갤러리
Ⅳ. 웹아트의 의의
Ⅴ. 웹아트의 한계
Ⅵ. 결론
<참고문헌>
Ⅱ. 웹아트란 무엇인가
1. 웹아트란?
2. 웹아트의 기원 및 역사
3. 웹아트의 특징
4. 웹아트의 시공간
5. 웹아트와 인터랙티비티
6. 웹아트의 두가지 방향
Ⅲ. 대표적 웹아트 갤러리
Ⅳ. 웹아트의 의의
Ⅴ. 웹아트의 한계
Ⅵ.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여러 가지 소리와 모양이 나타나는 키보드악기라든지, 흔한 심리테스트 같기도 하고 장난 같기도 한 an icon in your mind는 그야말로 '가지고 놀기 딱 좋은' 분위기이다. 가장 돋보이는 The similarity between You and I라는 메뉴에서 설은아는 설문조사라는 흔한 방법을 이용한다. "어떤 커피를 좋아하는가" "어떤 색을 좋아하는가" 식의 사소한 질문들이 화면 아래에 설은아와의 유사성을 가늠하는 눈금자로 곧바로 나타난다. 이런 식의 관객과의 의사소통은 웹아티스트만의 특권일 것이다.
그러나 이제 웹아트의 초기, 아주 초기임에 틀림없는 지금, 설은아의 작품이 각광받는 이유는 시각디자이너 고유의 디자인 감각과 능숙한 툴 사용, 그리고 관습적인 주제의 능숙한 소화능력에 있기도 하다. 웹아트의 탄생부터가 미술 제도권과는 약간 거리를 두고 시작하기는 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웹아트를 시각예술의 연장으로 바라보는 많은 유저들에게 설은아류의 디자이너들의 탁월한 비주얼 감각은 범접하지 못할 매력을 발산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녀의 작품이 하이퍼텍스트로서 웹의 특성을 그다지 잘 반영한 편은 아니라든가, 개념적이라기에는 다소 '많이' 시각적이라든가, 사용자들의 능동성을 잘 배려하지 못했다든가 하는 지적들은 일단 접어두도록 하자. 어쨌든 시작임에 틀림없고, 오래간만에 파낼 것 명확하게 보이는 훌륭한 광산이 나타난 듯 하니까.
<참고문헌>
- 칼럼 「독일에서 예술자치(Die Autonomie)의 활동공간으로서의 대안공간」, 백기영.
- 칼럼 「매체의 위기, 웹 아트에 관한 쓴소리」, 월간미술 2002년 8월호.
- 「디자인으로서의 웹에서 아트로서의 웹으로」, 이성식.
- 「디지털 문화 읽기」, 권오문.
- 「Believing is seeing」, Mary Anne Staniszewski.
- 서울시립미술관 홈페이지 (http://seoulmoa.org/html/kor/menu04/contents03_1.jsp)
- 네이버 블로그 (http://blog.naver.com/animic.do?Redirect=Log&logNo=20006601310)
- 네이버 블로그 (http://blog.naver.com/indigofera.do?Redirect=Log&logNo=100001829786)
- Cultizen.co.kr (http://www.cultizen.co.kr/content/?cid=1169)
그러나 이제 웹아트의 초기, 아주 초기임에 틀림없는 지금, 설은아의 작품이 각광받는 이유는 시각디자이너 고유의 디자인 감각과 능숙한 툴 사용, 그리고 관습적인 주제의 능숙한 소화능력에 있기도 하다. 웹아트의 탄생부터가 미술 제도권과는 약간 거리를 두고 시작하기는 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웹아트를 시각예술의 연장으로 바라보는 많은 유저들에게 설은아류의 디자이너들의 탁월한 비주얼 감각은 범접하지 못할 매력을 발산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녀의 작품이 하이퍼텍스트로서 웹의 특성을 그다지 잘 반영한 편은 아니라든가, 개념적이라기에는 다소 '많이' 시각적이라든가, 사용자들의 능동성을 잘 배려하지 못했다든가 하는 지적들은 일단 접어두도록 하자. 어쨌든 시작임에 틀림없고, 오래간만에 파낼 것 명확하게 보이는 훌륭한 광산이 나타난 듯 하니까.
<참고문헌>
- 칼럼 「독일에서 예술자치(Die Autonomie)의 활동공간으로서의 대안공간」, 백기영.
- 칼럼 「매체의 위기, 웹 아트에 관한 쓴소리」, 월간미술 2002년 8월호.
- 「디자인으로서의 웹에서 아트로서의 웹으로」, 이성식.
- 「디지털 문화 읽기」, 권오문.
- 「Believing is seeing」, Mary Anne Staniszewski.
- 서울시립미술관 홈페이지 (http://seoulmoa.org/html/kor/menu04/contents03_1.jsp)
- 네이버 블로그 (http://blog.naver.com/animic.do?Redirect=Log&logNo=20006601310)
- 네이버 블로그 (http://blog.naver.com/indigofera.do?Redirect=Log&logNo=100001829786)
- Cultizen.co.kr (http://www.cultizen.co.kr/content/?cid=1169)
추천자료
온라인 협동의 경제: 사이버 공간에서의 선물과 공공재
“사이버 공간에 또 다른 내가 있다”를 읽고
사이버 공간에서의 예절
사이버 공간과 지적 소유권의 문제
A+ 사이버 공간에서의 지적 재산권
[인권보호] 사이버 공간에서의 인권보호
사회과학 연구방법론 - 현실의 소외와 사이버 공간에서 나타나는 범죄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
청소년의 생활 세계와 사이버 공간
헌법상의 음란에 대한 개념과 사이버 공간에서의 음란규제 입법
사이버 공간에서의 성윤리 -포르노그래피, 섹슈얼리티, 성욕, 성윤리-
사이버 공간과 도시생활 과제
닉네임을 통해 본 사이버 공간의 익명성과 개인의 아이덴티티
사이버 공간에서 네티켓의 개념과 필요한 이유를 설명 (네티켓)
사이버 공간에서 네티켓의 개념과 필요한 이유를 설명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