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 론
2. 본 론
1) 사회 변화
① 향촌질서의 재편
② 인구 이동
③ 민중 운동
2) 명. 청 교체
3. 결 론
4. 참고문헌
2. 본 론
1) 사회 변화
① 향촌질서의 재편
② 인구 이동
③ 민중 운동
2) 명. 청 교체
3. 결 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청 태조)가 기병하자 명의 멸망을 재촉받게 되었다.
3. 결 론
명말. 청초의 시기는 단순한 왕조교체 시기가 아니고 사회적인 격변기였다. 향촌지배질서의 재편과 인구이동, 여러 민중운동은 사회변화의 모습을 잘 나타내어 주었다. 이와 더불어 실사구시를 중시하는 학문이 발달하고 민중문화가 팽창하였으며, 정치적 도덕성 퇴조에 대한 반발로써 반양명학적인 도덕적 이념을 강조하게 되었고 동림당과 같은 붕당이 등장하였는데 이는 새로운 지배이데올로기라 할 수 있는 것이었다.
또한 명청교체는 같은 민족끼리의 교체가 아닌 한족과 여진족의 교체였다. 이는 대외적으로도 큰 영향을 주었는데 가까운 우리나라 즉, 조선이라는 나라에게도 이 사건은 커다란 충격이었다. 당대에 조선은 성리학을 국학으로 삼고 명분론을 중시하던 상황에서 여진의 중국정복을 용납할 수 없었던 것이었다. 명분론 중심이다 보니 중국 중심의 화이론은 조선의 지배층에게 절대적인 사상체계였고, 화이론의 중심인 한족이 무너졌다는 것은 당시의 지배계층의 이데올로기가 흔들리는 계기가 되었다. 그리고 결국 명청교체라는 큰 변화는 조선뿐만이 아니라 주변 동아시아 국가에서 '소중화'라는 인식을 갖게하는 계기가 되었고, 이는 조선에서 사대성보다는 자주성을 가져온 결과라 할 수 있겠다.
4. 참고 문헌
1. 오금성. 『명말`청초 사회의 조명』, 서울: 한울아카데미, 1990
2. 서울대학교동양사학연구실. 『강좌 중국사4』, 서울: 지식산업사, 1989
3. F.웨이크만. 『중국제국의 몰락』, 서울: 예전사, 1987
4. 민두기. 『중국사시대구분론』, 서울: 창작과비평사, 1984
3. 결 론
명말. 청초의 시기는 단순한 왕조교체 시기가 아니고 사회적인 격변기였다. 향촌지배질서의 재편과 인구이동, 여러 민중운동은 사회변화의 모습을 잘 나타내어 주었다. 이와 더불어 실사구시를 중시하는 학문이 발달하고 민중문화가 팽창하였으며, 정치적 도덕성 퇴조에 대한 반발로써 반양명학적인 도덕적 이념을 강조하게 되었고 동림당과 같은 붕당이 등장하였는데 이는 새로운 지배이데올로기라 할 수 있는 것이었다.
또한 명청교체는 같은 민족끼리의 교체가 아닌 한족과 여진족의 교체였다. 이는 대외적으로도 큰 영향을 주었는데 가까운 우리나라 즉, 조선이라는 나라에게도 이 사건은 커다란 충격이었다. 당대에 조선은 성리학을 국학으로 삼고 명분론을 중시하던 상황에서 여진의 중국정복을 용납할 수 없었던 것이었다. 명분론 중심이다 보니 중국 중심의 화이론은 조선의 지배층에게 절대적인 사상체계였고, 화이론의 중심인 한족이 무너졌다는 것은 당시의 지배계층의 이데올로기가 흔들리는 계기가 되었다. 그리고 결국 명청교체라는 큰 변화는 조선뿐만이 아니라 주변 동아시아 국가에서 '소중화'라는 인식을 갖게하는 계기가 되었고, 이는 조선에서 사대성보다는 자주성을 가져온 결과라 할 수 있겠다.
4. 참고 문헌
1. 오금성. 『명말`청초 사회의 조명』, 서울: 한울아카데미, 1990
2. 서울대학교동양사학연구실. 『강좌 중국사4』, 서울: 지식산업사, 1989
3. F.웨이크만. 『중국제국의 몰락』, 서울: 예전사, 1987
4. 민두기. 『중국사시대구분론』, 서울: 창작과비평사, 1984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