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독일(獨逸, Germany)에 대한 모든것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가]독일(獨逸, Germany)에 대한 모든것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독일의 지리와 기후

2. 독일의 국가(國歌)의 기원과 변천과정

3. 독일의 국민성

4. 독일을 대표하는 기업
1) BMW
2) Benz 벤츠
3) Audi 아우디
4) Porsche 포르쉐
5) Volkswagen 폭스바겐
6) AGFA 아그파
7) Allianz 알리안츠

5. 독일의 산업과 경제
1) 독일의 경제
2) 천연자원
3) 금융
4) 무역
5) 운송

6. 독일의 철강산업과 전쟁

본문내용

율 정책을 견지한 독일중앙은행에 있다. 독일중앙은행은 1991년 연방정부의 입장과는 상반되게 동독 지역에 대한 정부의 추가 지원금은 차입금이 아닌 세금 인상을 통해 조달하는 것이 마땅하다는 주장을 꺾지 않음으로써 진정한 독립성을 보여주었다. 각 주에서는 주 중앙은행이 독일중앙은행을 대표한다. 독일의 민간 상업은행은 수백 개에 이르며, 그 중에서도 도이치은행·드레스드너은행·코메르츠은행이 \'3대 은행\'으로 꼽힌다. 이들 은행의 본사 고층 건물은 프랑크푸르트의 스카이라인을 바꾸어놓았다. 민간 은행들은 통상적인 은행 업무 외에도 사기업의 발전을 위한 자금을 제공하는 데 커다란 역할을 한다. 이 까닭에 산업 금융의 조달이라는 측면에서 프랑크푸르트·뒤셀도르프 및 기타 도시의 증권거래소가 미치는 영향력도 다른 나라의 경우보다 그만큼 떨어진다.
4) 무역
일찍이 서독은 1952년에 무역흑자를 달성했고, 무역수지 면에서 1986년에 미국을, 독일 통일 직전인 1989년에는 일본을 따라잡았다. 그러나 독일 통일 후인 1991년 무역흑자가 급격히 감소하기 시작했는데, 이는 공산품 수출 물량이 동독 지역의 신규 수요를 충당하는 데 돌려짐으로써 불가피하게 수입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독일의 주요 무역 상대국은 유럽공동체(EC) 회원국들과 스위스, 오스트리아 및 스칸디나비아 국가들과 미국·일본 등이다. 상대적으로 경화 부족에 허덕이는 동유럽 국가들에 대한 수출은 줄어들고 있다. 주요 수출 품목은 각종 기계류와 자동차, 전기·전자 장비, 화학제품, 그리고 포도주·식료품 등이다. 수입 품목도 이와 매우 유사하지만 산업용 원료 및 반제품이 추가된다. 동독의 경우 사회주의 국가들에 선진 산업장비, 전자제품·선박·철도차량을 전문적으로 수출했다. 이들 수출품의 결제 수단은 루블화였고, 이를 통해 얻은 루블화로 식품·석유·원료·반제품을 수입했다. 그러나 옛 사회주의권 국가들은 경제 통합 이후 사실상 경화로 수출 대금을 지불할 능력을 갖고 있지 못했으므로 동독의 산업은 큰 타격을 받았다. 동독은 서독과도 폭넓게 무역을 하는 한편으로 서독의 중재로 EC 회원국들과도 활발히 교역을 해 \'EC 명예회원국\'으로 불렸지만, 이러한 수출의 대부분은 단지 경화를 얻기 위한 것이었기 때문에 통일이 되면서 자연스럽게 자취를 감추게 되었다. 소비에트 경제체제에서 벗어나기 위해 안간힘을 쓰는 다른 동구권 국가들과는 달리 동독은 1990년 통일과 더불어 통일국가 독일의 일부로서 EC 정회원국으로서의 이익을 자동적으로 얻게 되었다.
5) 운송
유럽 각지를 이어주는 교차점에 위치한 주요 공업국으로서 운송체계가 광범위하게 잘 갖추어져 있다. 연방 철도망이 몇 개 주요 노선으로 구축되어 있으며 주요 도시 사이를 초고속으로 달린다. 자동차 도로망의 포장률은 거의 90%에 이르며, 그 중 약 3%가 제한접근 고속도로(아우토반)이다. 강들과 운하를 비롯한 내륙 수로의 총길이는 6,650㎞를 넘는데, 궁극적으로 발트 해, 북해, 흑해까지 연결되도록 설계되었다. 주요 항구는 함부르크·브레머하펜·뤼베크·로스토크에 있으며, 베를린·본-쾰른·뮌헨·뒤셀도르프·함부르크·라이프치히에 주요 공항이 있다.
6. 독일의 철강산업과 전쟁
암클링엔 제철소는 1873년 기술자인 율리우스 부흐(Julius Buch)에 의해 로트링엔(Lothringen) 광석 매장에서 가까운 자르 지역 석탄 매장지 위에 건립되었다. 그러나 이 제철소가 중요한 산업기지로 도약하게 된 것은 1881년 산업가 뢰흘링 일가가 이 제철소를 매입하면서부터이다.
칼 뢰흘링(1827-1910)과 무엇보다도 헤르만 뢰흘링(1872-1955)의 경영 하에 암클링엔 제철소는 유럽 전역에서 중요한 의의를 지니는 제철소로 성장하였으며 여기서 실현되어졌던 첨단 기술들은 철 생산 부문에 세계적인 영향을 끼쳤다. 1903년까지 설치되었던 여섯 개의 용광로를 가동하던 17,000 여명의 노동자들은 매일 5,000톤의 철을 생산해내었으며, 이를 통해 암클링엔시(市)와 주변 지역은 경제 성장을 이룩하게 되었다. 예를 들어 1876년 7,000명에 지나지 않았던 주민 수가 1903년에는 27,000명으로 급격히 증가하기에 이른다.
1차대전이 끝나고, 원래 뢰흘링이 소유했던 로트링엔 제철소가 프랑스의 영토로 넘어간 이후 헤르만 뢰흘링의 개척자 정신은 기술적으로 다루기 어려운 독일의 철광석을 외국의 힘을 빌지 않고 처리할 수 있게 해야겠다는 생각에 도달했다. 이는 동시에 당시 독일에서 권력을 장악하여 다음 전쟁을 준비하던 독재자 히틀러의 생각과 일치하는 것이기도 했다. 그리하여 독일과 유럽 전역에서, 그리고 암클링엔 제철소에서도 가장 참혹스러운 역사의 장이 시작된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한 후 헤르만 뢰흘링은 1942년부터 제국철광협회장으로서 독일 제국의 제철 산업을 위해 강제 노역자 수송을 조직한다. 암클링엔 제철소에서도 소련의 독일군 점령지 등지에서 끌려온 이들과 이탈리아와 프랑스의 전쟁포로들로 구성된 강제 노역자들이 비인간적인 조건하에서 강제 노역에 종사해야 했다. 나찌 독일이 항복하고 난 후 암클링엔 제철소는 1952년까지 프랑스의 감독 하에 있었다. 라슈타트에서는 뢰흘링에 대한 전범 재판이 열렸다. 그는 결국 1955년 사망할 때까지 암클링엔 제철소를 다시는 보지 못한다.
자아란트주의 독일 귀환 후에는 이 제철소를 변화해 가는 철강 시장에서 경쟁력 있게 이끌어 가기 위한 혁신적 아이디어와 경제적 토대가 부족했다. 더우기 60년대와 70년대에는 과잉 생산에서 연유한 철강 산업의 전세계적 침체에다가, 과거 철강 수입국들의 가격 경쟁력이 향상되고, 알루미늄이나 합성 수지와 같은 철 대체품이 투입된다. 결국 이 열악한 상황은 1981년 암클링엔 제철소 역시 문을 닫는 상황에 이르게 했다. 한 세기를 멈추지 않고 타오르던 용광로의 불은 꺼진다. 한 시대가 막을 내렸으며 암클링엔 시는 그 후 높은 실업률 및 그로부터 말미암은 사회 문제와 싸워야 했다. 암클링엔 제철소는 폐쇄 이후 기념물로 보호를 받아왔으며 1994년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 목록에 산업 문화와 19, 20세기 기술사의 획기적 증거물로서 등재되었다.

키워드

독일,   유럽,   나치,   히틀러,   BMW,   Benz,   베를린,   게르만족
  • 가격1,5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7.06.20
  • 저작시기2007.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59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