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교육과정의 개념과 성격
II. 교육과정의 유형
III. 한국 교육과정 변천사
II. 교육과정의 유형
III. 한국 교육과정 변천사
본문내용
내용들로 교육 과정이 구성되어야 한다는 것
->학생들의 경험 강조. 그러나 경험 중심 교육과정과의 차이:
*경험 중심교육과정에서 경험이란
*인간 중심 교육과정에서 경험이란
-특징: 자아실현을 목표로 한다
인간주의적 교사를 팔요로 한다
학교환경의 인간화를 위해 노력
잠재적 교육과정 중시
-장점: 학생들에게 자신에 대한 긍정적 태도 및 자기계발의 능력의 부여
타인 존중의 건전한 가치관 형성에 도움
학생의 학습동기와 흥미 존중
주체적 선택과 판단능력 함양 가능
-단점: 교육과정의 효과를 평가하기에는 부적절
개인의 경험 차이를 중시하지만, 그 개인에게 적합한 경험이 무엇인지 제시 못함
자유의지를 지나치게 강조하고 이성적 합리성의 측면 소홀
학생의 자유의지, 자율성, 흥미를 지나치게 강조하여 학문적 연구와 훈육이 느슨하게 되어 학업성취 수준의 저하 우려
III. 한국 교육과정 변천사
1. 교수요목기
-1945년 9월 24일에 초등학교, 10월 1일에 중학교 개교. 미군정청 학무국‘교과목 편제와 시간배당표’ 발표: 수신, 일본사, 일본어 폐지 ->공민, 국사, 한국어 교수
-교수요목은 교과의 지도내용을 상세히 표시하고, 기초능력을 배양하는데 주력하였으며, 교과는 분과주의 채택. 홍익인간의 이념아래 애국애족 강조하고 일제 잔재 제거에 주력
2. 제 1차 교육과정에서 제 6차 교육과정까지
-별도 자료 참조
3. 제 7차 교육과정기(2000- )
-세계화, 정보화 사회를 살아갈 학생들에게 학습에 대한 자기주도 학습능력을 기르고, 창의력과 정보처리능력 배양을 목표로 함
-학습자 중심의 교육과정 강조. 수준별 교육과정 채택. 시장 경제논리 대폭 수용하여 수요자 중심교육과 이에 걸맞는 교육과정 편성운영 체제 취함
-초등 1학년에서 고교 1학년까지 10년 동안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을 이수하고, 고교 2-3학년에서는 자신의 소질, 적성, 진로에 따라 선택중심교육과정 이수
-교육내용의 난이도 하향조정과 학습량의 적정화 추구
-수학, 영어는 단계현 수준별 교육과정을, 국어, 과학, 사회교과는 심화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 적용
-교과활동, 재량활동, 특별활동으로 구성
-초등 저학년은 활동중심주제의 통합 제안
-중학교 선택과목에 제2외국어 추가
-고교 총 216단위 중 136단위를 시도교육청, 학교, 학생이 각각 28단위 이상 선택하도록 교과목의 분산 시도
-교육과정의 질 관리를 위해 교육기관과 교사, 학생에 대한 평가 보다 체계화 계획
->학생들의 경험 강조. 그러나 경험 중심 교육과정과의 차이:
*경험 중심교육과정에서 경험이란
*인간 중심 교육과정에서 경험이란
-특징: 자아실현을 목표로 한다
인간주의적 교사를 팔요로 한다
학교환경의 인간화를 위해 노력
잠재적 교육과정 중시
-장점: 학생들에게 자신에 대한 긍정적 태도 및 자기계발의 능력의 부여
타인 존중의 건전한 가치관 형성에 도움
학생의 학습동기와 흥미 존중
주체적 선택과 판단능력 함양 가능
-단점: 교육과정의 효과를 평가하기에는 부적절
개인의 경험 차이를 중시하지만, 그 개인에게 적합한 경험이 무엇인지 제시 못함
자유의지를 지나치게 강조하고 이성적 합리성의 측면 소홀
학생의 자유의지, 자율성, 흥미를 지나치게 강조하여 학문적 연구와 훈육이 느슨하게 되어 학업성취 수준의 저하 우려
III. 한국 교육과정 변천사
1. 교수요목기
-1945년 9월 24일에 초등학교, 10월 1일에 중학교 개교. 미군정청 학무국‘교과목 편제와 시간배당표’ 발표: 수신, 일본사, 일본어 폐지 ->공민, 국사, 한국어 교수
-교수요목은 교과의 지도내용을 상세히 표시하고, 기초능력을 배양하는데 주력하였으며, 교과는 분과주의 채택. 홍익인간의 이념아래 애국애족 강조하고 일제 잔재 제거에 주력
2. 제 1차 교육과정에서 제 6차 교육과정까지
-별도 자료 참조
3. 제 7차 교육과정기(2000- )
-세계화, 정보화 사회를 살아갈 학생들에게 학습에 대한 자기주도 학습능력을 기르고, 창의력과 정보처리능력 배양을 목표로 함
-학습자 중심의 교육과정 강조. 수준별 교육과정 채택. 시장 경제논리 대폭 수용하여 수요자 중심교육과 이에 걸맞는 교육과정 편성운영 체제 취함
-초등 1학년에서 고교 1학년까지 10년 동안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을 이수하고, 고교 2-3학년에서는 자신의 소질, 적성, 진로에 따라 선택중심교육과정 이수
-교육내용의 난이도 하향조정과 학습량의 적정화 추구
-수학, 영어는 단계현 수준별 교육과정을, 국어, 과학, 사회교과는 심화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 적용
-교과활동, 재량활동, 특별활동으로 구성
-초등 저학년은 활동중심주제의 통합 제안
-중학교 선택과목에 제2외국어 추가
-고교 총 216단위 중 136단위를 시도교육청, 학교, 학생이 각각 28단위 이상 선택하도록 교과목의 분산 시도
-교육과정의 질 관리를 위해 교육기관과 교사, 학생에 대한 평가 보다 체계화 계획
추천자료
일본의 교육제도와 교육과정에 대해 살펴본 후 한국과 일본교육의 비교를 통해 다른 문화에 ...
우리나라 교육과정 변천사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역사적 변천
한국 영재교육과정 사례, 북한 영재교육과정 사례, 중국 영재교육과정 사례, 대만 영재교육과...
초등학교 체육과(체육교육)의 실태, 초등학교 체육과(체육교육) 지도방법, 초등학교 체육과(...
한국의 교육과정 발전 과제
한국의 교육과정과 외국의 교육과정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 프로젝트 접근법의 이론적 기초, 교육목표 및 원리, 교육과정에 ...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 B형) 몬테소리 프로그램의 이론적 기초, 교육목표 및 원리, 교육...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의 이론적 기초, 교육목표 및 원리, 교육과정에 대해 설명하고, 한국 ...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A형:) 발도르프 프로그램의 이론적 기초, 교육목표 및 원리, 교육과...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4B) 뱅크 스트리트 프로그램의 이론적 기초, 교육목표 및 원리, 교...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 C형) 프로젝트 접근법의 이론적 기초, 교육목표 및 원리, 교육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