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문제의 인식 및 정의 (테이프 1 : 1일째, 15분)
1-1. 케네디가 문제해결을 위하여 수뇌회의를 구성한 이유와 수뇌회의의 구성기준은 무엇이었겠는가? 케네디가 혼자 결정하기 보다는 집단 토의를 시키고 있는데 이는 문제의 성격에 비추어 적절한 것인가?
2) 문제의 분석( 테이프 2 : 2일째, 15분)
2-1. 케네디가 회의에 참석하지 않은 때 누가 주로 회의를 이끌어 갔으며, 그(들)은 대통령의 역할을 얼마나 잘 대신할 수 있었는가? 이 경우의 역할 대행자의 태도와 행동은 어떠해야 한다고 보십니까? 상사인 관리자가 자신의 회의 불참시 부하 직원에게 자신의 견해를 대표하도록 허용하는 것은 바람직한가?
2-2. 케네디의 대다수 참모들이 공중공격을 찬성하는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그들의 주장은 제약조건들을 충분히 고려하였는가? 로버트. 케네디 법무장관의 도덕적 관점에 여러분은 동의하는가?
3) 대안의 평가 (테이프 3 : 3,4,5,6,7 일째, 40분)
3-1. 케네디 대통령이 집단동의를 얻기 위하여 회의석상에서 주로 취한 태도는 무엇이며 그러한 방법의 장단점은 무엇인가? 부서내 의사결정 과정에서의“의견일치” 또는 “공감대 형성”은 무엇을 뜻하며 그 효과는 무엇인가?
3-2. 이 집단은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하였다고 보는가, 아니면 케네디의 이미 결정된 선택안에 대한 동조 역할만 수행하였는가? 회의에 참석한 사람들 가운데서 자신의 초기 의견을 나중에 바꾼 경우는 없었는가? 이러한 판단의 번복이 있었다면 이는 바람직한가? 투표에 의한 의사결정의 방식이 쿠바 미사일 위기와 같은 경우에 적절한 것인가?
4) 실행 및 통제 ( 테이프 4 : 8,9,10 일째, 50분)
4-1. 소련의 후르시쵸프 수상이 미국인 실업가인 녹스를 만나기로 한 이유는?
4-3. 케네디가 해군이 그의 명령을 수행하는데 문제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 이유는? 앤더슨 해군 제독의 행동은 어떻게 평가될 수 있는가? 문제해결과정에서 부하의 관료적 행위를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은?
5) 사후관리 및 피드백 ( 테이프 5 : 11.12.13 일째, 40분)
5-1. 케네디가 후르시쵸프의 편지에 즉각 응답하지 않은 것에 대한 결과는? U-2 機가 격추되었을 때, 케네디는 컨틴젼시 플랜에 따르지 않았는데 이는 잘한 일인가, 잘못된 일인가?
5-2. 케네디와 후르시쵸프 외에 의사결정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한 사람은 누구인가?
맥나마라의 자리에 앤더슨 같은 사람이 앉았다면, 또는 만약 로버트 케네디가 침공 대안을 지지하였다면 그 결과는 어떠했겠는가?
1-1. 케네디가 문제해결을 위하여 수뇌회의를 구성한 이유와 수뇌회의의 구성기준은 무엇이었겠는가? 케네디가 혼자 결정하기 보다는 집단 토의를 시키고 있는데 이는 문제의 성격에 비추어 적절한 것인가?
2) 문제의 분석( 테이프 2 : 2일째, 15분)
2-1. 케네디가 회의에 참석하지 않은 때 누가 주로 회의를 이끌어 갔으며, 그(들)은 대통령의 역할을 얼마나 잘 대신할 수 있었는가? 이 경우의 역할 대행자의 태도와 행동은 어떠해야 한다고 보십니까? 상사인 관리자가 자신의 회의 불참시 부하 직원에게 자신의 견해를 대표하도록 허용하는 것은 바람직한가?
2-2. 케네디의 대다수 참모들이 공중공격을 찬성하는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그들의 주장은 제약조건들을 충분히 고려하였는가? 로버트. 케네디 법무장관의 도덕적 관점에 여러분은 동의하는가?
3) 대안의 평가 (테이프 3 : 3,4,5,6,7 일째, 40분)
3-1. 케네디 대통령이 집단동의를 얻기 위하여 회의석상에서 주로 취한 태도는 무엇이며 그러한 방법의 장단점은 무엇인가? 부서내 의사결정 과정에서의“의견일치” 또는 “공감대 형성”은 무엇을 뜻하며 그 효과는 무엇인가?
3-2. 이 집단은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하였다고 보는가, 아니면 케네디의 이미 결정된 선택안에 대한 동조 역할만 수행하였는가? 회의에 참석한 사람들 가운데서 자신의 초기 의견을 나중에 바꾼 경우는 없었는가? 이러한 판단의 번복이 있었다면 이는 바람직한가? 투표에 의한 의사결정의 방식이 쿠바 미사일 위기와 같은 경우에 적절한 것인가?
4) 실행 및 통제 ( 테이프 4 : 8,9,10 일째, 50분)
4-1. 소련의 후르시쵸프 수상이 미국인 실업가인 녹스를 만나기로 한 이유는?
4-3. 케네디가 해군이 그의 명령을 수행하는데 문제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 이유는? 앤더슨 해군 제독의 행동은 어떻게 평가될 수 있는가? 문제해결과정에서 부하의 관료적 행위를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은?
5) 사후관리 및 피드백 ( 테이프 5 : 11.12.13 일째, 40분)
5-1. 케네디가 후르시쵸프의 편지에 즉각 응답하지 않은 것에 대한 결과는? U-2 機가 격추되었을 때, 케네디는 컨틴젼시 플랜에 따르지 않았는데 이는 잘한 일인가, 잘못된 일인가?
5-2. 케네디와 후르시쵸프 외에 의사결정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한 사람은 누구인가?
맥나마라의 자리에 앤더슨 같은 사람이 앉았다면, 또는 만약 로버트 케네디가 침공 대안을 지지하였다면 그 결과는 어떠했겠는가?
본문내용
해상을 직접 지휘하고 명령하는 제독의 입장에서 항상 위기감을 갖고 적을 대하는 것은 안전하다는 면에서 좋지만, 상황에 따른 임기응변이나 융통성이 부족한 관료적행위자 이다
문제해결과정에서 관료적 행위를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은?
-> 문제를 의논하거나 해결하는 과정에서 의사결정을 일차적 수직 구조로 할 것이 아니라 모두가 평등하게 의견을 내놓고 합의하에 문제를 결정하는 네트워크 구조로 의사결정을 할 때 관료적 행위를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5) 사후관리 및 피드백 ( 테이프 5 : 11.12.13 일째, 40분)
5-1. 케네디가 후르시쵸프의 편지에 즉각 응답하지 않은 것에 대한 결과는? U-2 機가 격추되었을 때, 케네디는 컨틴젼시 플랜에 따르지 않았는데 이는 잘한 일인가, 잘못된 일인가?
케네디 대통령의 답장이 즉각 있었다면 총 의회에서도 후르시쵸프의 제안은 받아 들여졌을 것이다. 하지만 케네디는 후르시쵸프의 첫 번째 편지에 함정이 있는지 없는지를 확인하느라 답장이 늦어졌고, 이로 인해 미국의 U2기 격추와 군인의 희생이 생겼다. 만약, 이에 케네디대통령은 감정적인 대응으로 CONTINGENCY PLAN을 실행했다면 미국과 소련 모두 큰 전쟁에 휩싸였을 것이다. 이렇게 행동했다면 핵전쟁으로 지구에 씻을 수 없는 상처를 남길 뻔했다. 지금의 역사인 케네디 대통령의 행동은 핵전쟁을 일으키지 않은 행동으로 보아 잘한 것이라 생각된다.
5-2. 케네디와 후르시쵸프 외에 의사결정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한 사람은 누구인가? 맥나마라의 자리에 앤더슨 같은 사람이 앉았다면, 또는 만약 로버트 케네디가 침공 대안을 지지하였다면 그 결과는 어떠했겠는가?
케네디의 측근관료들과 후르시쵸프의 최고위원회의 참모들 모두 집단 토의의 결과로반영이 되어 실행되었다. 케니디 대통령의 동생인 로버트 케네디의 의사를 물어 자신의 의사결정에 반영하기도 하였다. 후르시쵸프는 최고인민회의의 의견이 자신의 의사결정에 반영이 되었다. 즉, 케네디와 후르시쵸프외의 관료들 모두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다.
맨나마라의 자리에 앤더슨 같은 사람이 앉았다면 의사결정과정은 합리적이지 못하였을 것이다. 그 이유는 과정이 공중폭격으로 유도되어져, 지금과 다른 어려운 상황에 충분히 봉착할 수 있었을 것이다.
그리고 침공 대안을 지지하였다면 3차 대전의 도화선이 될 수 있는 충분한 계기가 되었기 때문에 그 미래는 불 보듯 뻔하게 전쟁으로 이어졌을 것이다.
문제해결과정에서 관료적 행위를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은?
-> 문제를 의논하거나 해결하는 과정에서 의사결정을 일차적 수직 구조로 할 것이 아니라 모두가 평등하게 의견을 내놓고 합의하에 문제를 결정하는 네트워크 구조로 의사결정을 할 때 관료적 행위를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5) 사후관리 및 피드백 ( 테이프 5 : 11.12.13 일째, 40분)
5-1. 케네디가 후르시쵸프의 편지에 즉각 응답하지 않은 것에 대한 결과는? U-2 機가 격추되었을 때, 케네디는 컨틴젼시 플랜에 따르지 않았는데 이는 잘한 일인가, 잘못된 일인가?
케네디 대통령의 답장이 즉각 있었다면 총 의회에서도 후르시쵸프의 제안은 받아 들여졌을 것이다. 하지만 케네디는 후르시쵸프의 첫 번째 편지에 함정이 있는지 없는지를 확인하느라 답장이 늦어졌고, 이로 인해 미국의 U2기 격추와 군인의 희생이 생겼다. 만약, 이에 케네디대통령은 감정적인 대응으로 CONTINGENCY PLAN을 실행했다면 미국과 소련 모두 큰 전쟁에 휩싸였을 것이다. 이렇게 행동했다면 핵전쟁으로 지구에 씻을 수 없는 상처를 남길 뻔했다. 지금의 역사인 케네디 대통령의 행동은 핵전쟁을 일으키지 않은 행동으로 보아 잘한 것이라 생각된다.
5-2. 케네디와 후르시쵸프 외에 의사결정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한 사람은 누구인가? 맥나마라의 자리에 앤더슨 같은 사람이 앉았다면, 또는 만약 로버트 케네디가 침공 대안을 지지하였다면 그 결과는 어떠했겠는가?
케네디의 측근관료들과 후르시쵸프의 최고위원회의 참모들 모두 집단 토의의 결과로반영이 되어 실행되었다. 케니디 대통령의 동생인 로버트 케네디의 의사를 물어 자신의 의사결정에 반영하기도 하였다. 후르시쵸프는 최고인민회의의 의견이 자신의 의사결정에 반영이 되었다. 즉, 케네디와 후르시쵸프외의 관료들 모두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다.
맨나마라의 자리에 앤더슨 같은 사람이 앉았다면 의사결정과정은 합리적이지 못하였을 것이다. 그 이유는 과정이 공중폭격으로 유도되어져, 지금과 다른 어려운 상황에 충분히 봉착할 수 있었을 것이다.
그리고 침공 대안을 지지하였다면 3차 대전의 도화선이 될 수 있는 충분한 계기가 되었기 때문에 그 미래는 불 보듯 뻔하게 전쟁으로 이어졌을 것이다.
추천자료
아지리스의 미성숙-성숙 이론과 맥그리거의 X․Y 이론을 근거로 해서 자신의 속해 ...
A형 : 피들러의 상황모형에 근거하여 자신이 속해있는 조직 (또는 집단)의 지도자가 처해있는...
[간호지도자론B]피들러의 상황적합 모형에 근거해서 자신이 속해있는 조직 또는 집단(예: 병...
[협동학습][협동학습모형][소집단][도덕적사고][실천적추론]협동학습의 성격, 협동학습의 전...
정신지체아 대인관계의 특성과 필요성, 정신지체아 대인관계의 사회성과 집단활동, 정신지체...
(간호지도자론E형)피들러의 상황모형에 근거하여 자신이 속해있는 조직(또는 집단)의 지도자...
유아기,아동기,청소년기,성인기,노년기 요약과 가족과집단,조직과 지역사회,문화,요약
[개입, 개입주의]개입과 개입주의, 개입과 시장개입, 개입과 정부개입, 개입과 정치개입, 개...
[개입, 정부개입, 시장개입, 정치개입, 노사관계개입]개입과 정부개입, 개입과 시장개입, 개...
[행정학개론] 조직의 효과성 평가에 관한 접근법 - 목표달성 접근법, 체제적 접근법, 전략적 ...
[아동안전관리] 어린이집에서의 집단생활경험이 아동의 안전의식 및 행동에 미칠 효과에 대해...
프로세스지향 지식경영전략의 차원 (주제,콘텐츠,목표집단,도구와 기술,문화적 환경,구조적 ...
교사문화의 형성 조건 - 내재적 조건(학생 집단과의 관계, 다양한 기준, 장기적으로 나타나는...
[조직 행위론 ] 조직 내 창의성·감정에 관한 팀 보고서 (미라이 공업 사례를 중심으로) Part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