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군신화에 대하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신화의 의미와 기능

단군신화에 대하여

단군신화의 정치적 기능

단군신화의 기타 기능

한국의 천신이 정치화되는 배경

단군신화의 재연

본문내용

더 가깝다는 점 등을 볼 때 단군신화는 청동기문화단계의 신화로 보는 것이
더 타당하다.
(4) 고조선에 흡수된 집단에서의 神
원시종교에 관한 민족지들 중에는 신관념이 사회구조와 대응관계였음을 보여주는 것들이 있다. 즉 신들이 서열에 따라 관계하는 사회적 차원을 달리한다는 뜻이다. 서열이 높은 신은 큰 차원의 사회와 관계하며, 서열이 낮은 신은 작은 차원의 사회와 관계한다. 영적존 재의 서열은 사회적 레벨과 대응관계를 이루는데, 상위의 영일수록 관계하는 영역이 넓 은 반면 그들에게 바쳐지는 제물은 적다. 이런 사실은 사회통합이 진전되지 않은 단계에 서는 비록 지고신에 대한 관념이 존재한다고 하더라도, 사회적 기능을 발휘하는 것은 하 위의 영적 존재임을 보여준다. 고조선에 흡수된 집단들도 천신을 자기집단의 표상으로 여기지는 않았을 것이라고 짐작된다. 대신 하위의 영적 존재들에서 집단의 결속과 유지 의 근거를 찾으려 했을 것이다.
(5) 정리
하위집단들을 통합하면서 성립된 것이 고조선이라고 볼 때, 고조선의 지배세력은 자신 들의 정치권력의 정당성과 합법성을 보다 높은 사회적 차원과 관계하는 지고천신에서 구 했을 것이다. 인류사회의 정치적 진화과정을 군사회단계→ 부족단계→ 수장국단계→국가 단계로 체계화한 신진화론에서 지고신에 대한 신앙이 성문화되고 영속화된 것은 사회통 합이 상당히 진전된 수장국(chiefdom)단계부터라는 점이나, 통문화적연구 (cross-cultura l study)의 결과 지고신 관념이 보다 뚜렷한 사회의 공통점으로 권력집중이 상대적으로 잘 되어 있음이 지적되고 있는 사실도 이런 추측을 뒷받침한다.
단군신화의 재연
고조선의 정치권력을 신성화하여 지배를 합법화하는 것이 단군신화라고 한다면, 고조선 의 지배자에 의해 단군신화는 과시되었을 것이다. 그 방법으로 단군신화의 재연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신화와 의례는 본질적으로 상호의존관계에 있고, 동아프리카 쉴룩(Schilluk)왕국의 경우, 왕의 즉위식 때 건국신화의 주요부분이 상기되면서 왕에 의한 지배의 정당성이 재확인 되 는 점을 미루어 볼 때 고조선에서도 지배자의 즉위식에서 단군전승의 주요부분이 구송되 거나 극적으로 재연되었을 것이라 생각된다.
단군신화를 재연하는 의례가 있었다고 한다면, 그것은 공동체적 내지는 집단적 차원에 서 행해졌을 것이다. 부여의 영고나 고구려의 동맹처럼 단군신화를 재연하는 의례도 국중 대회(國中大會)였을 것이다.
  • 가격1,9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7.06.25
  • 저작시기2007.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69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