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간 1) ~ 디다
② 엇지고(원간 19) ~ 엇디고
‘ㄱ\' 및 \'ㅎ\'구개음화는 그 일반화 시기가 뒤늦은 까닭으로, ‘ㄷ’ 구개음화와는 달리 어두 위치에서만 나타나며, 주로 서남, 동남, 동북 방언에서 나타난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① ‘ㄱ\'구개음화 : 지름(油, 여사서언해 3-22)
② ‘ㅎ\'구개음화 : 셩뎨(兄弟, 사법어 15)
움라우트
움라우트는 ‘ㅣ’ 모음 역행 동화에 의한 음운 현상이다.
① 15세기 : 새굔(雕)
② 16세기 : 졔기(略)
③ 17세기 : 지애비, 제혀
④ 18세기 : 네기리, 귀경
⑤ 19세기 : 지이, 올ㅣ비, 욍기다
전설 모음화
전설 모음화는 치경음 ‘ㅅ, ㅆ\'과 경구개음 ’ㅈ, ㅉ, ㅊ\'뒤에서 후설 고모음인 ‘ㅡ’가 ‘ㅣ’로 변하는 현상이다.
① ㅅ-계에 의한 것 : 씻다(←
② 엇지고(원간 19) ~ 엇디고
‘ㄱ\' 및 \'ㅎ\'구개음화는 그 일반화 시기가 뒤늦은 까닭으로, ‘ㄷ’ 구개음화와는 달리 어두 위치에서만 나타나며, 주로 서남, 동남, 동북 방언에서 나타난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① ‘ㄱ\'구개음화 : 지름(油, 여사서언해 3-22)
② ‘ㅎ\'구개음화 : 셩뎨(兄弟, 사법어 15)
움라우트
움라우트는 ‘ㅣ’ 모음 역행 동화에 의한 음운 현상이다.
① 15세기 : 새굔(雕)
② 16세기 : 졔기(略)
③ 17세기 : 지애비, 제혀
④ 18세기 : 네기리, 귀경
⑤ 19세기 : 지이, 올ㅣ비, 욍기다
전설 모음화
전설 모음화는 치경음 ‘ㅅ, ㅆ\'과 경구개음 ’ㅈ, ㅉ, ㅊ\'뒤에서 후설 고모음인 ‘ㅡ’가 ‘ㅣ’로 변하는 현상이다.
① ㅅ-계에 의한 것 : 씻다(←
추천자료
중세국어의 자료 및 특징
용비어천가의 문헌적 특징과 국어사 자료적 특징
국어의 보조용언을 모아 본용언과 구별되는 특징, 동사, 형용사, 서술격조사, 이른바 존재사...
[우리말][우리글][우리말순화][우리말바로쓰기][국어][국어순화]우리말 특징 및 훼손과 우리...
국어사 문헌자료 중 진언권공과 삼단시식문 언해의 서지적 특징 및 국어사적 특징
[한어][중국어][상고한어][상고중국어]한어(중국어)의 특징, 한어(중국어)의 실사와 실형태소...
[접미사][품사][파생접미사][존칭접미사][구적접미사][영접미사]국어 품사 접미사의 특징, 국...
[관형사][관형사절][관형어][국어 품사][중국어 품사][품사][국어][중국어]국어 품사 관형사...
[형용사][품사][국어][중국어][파생형용사][단음절형용사]국어 품사 형용사의 특징, 국어 품...
[국어]한국어특징과 분석의기초(한국어문법2)-강의,발표용
한국어번역(국어번역)의 특징, 오류, 한국어번역(국어번역) 현황, 한국어번역(국어번역)과 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문법교육론] Q. 국어 문법과 한국어 문법의 특징을 비교해보고 외국인 ...
국어국문학과=언어와생활=교재 1장을 참고하여 통신언어의 특징을 보이는 자료를 직접 수집ㆍ...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