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초기르네상스 : 세 명의 선구자
2. 전성기 르네상스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1. 초기르네상스 : 세 명의 선구자
2. 전성기 르네상스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는 수학적인 원근법의 첫 발견자일 뿐 아니라 중세의 바실리카 양식을 대신한 ‘중앙 중심 설계의 교회’로 유명했다. 그의 디자인은 로마적인 형태의 부활이며, 동시에 비례와 균형을 중요시하는 르네상스 시기의 특징을 반영하고 있다.
Ⅲ. 결론
회화와 마찬가지로 조각에서도 세기가 바뀔 무렵에는 전성기 르네상스가 절정에 달하였고, 이 시대에 미켈란젤로는 그의 엄청난 업적으로 모든 다른 사람을 왜소하게 만들면서 홀로 우뚝 서 있었다. 그의 가장 뛰어난 작품 가운데 몇몇은 1505년에 율리우스 2세가 그를 로마로 부르기에 앞서 몇 년 동안에 완성되었다. 이러한 작품으로는 성 베드로 성당에 있는 피에타 상과 현대 브뤼지에 있는 성모자상이 있다. 또한 앞서 도나텔로와 베로치오가 조각했던 다윗 상들과는 개념 자체가 아주 다른 거대한 다윗 상도 이 시대에 속하는데, 이 작품에서는 근육이 불거진 나체상을 좋아하는 미켈란젤로의 성향이 가장 완벽하게 표출되었다.
미켈란젤로는 말년에 대부분의 시간을 건축 설계에 쏟았다, 1546년에 그는 라파엘도 그가 죽기 전에 여섯 해 동안 맡았었던 직책인 성 베드로 성당의 건축가로 임명되었다. 브라만테의 설계에서 주된 윤곽을 되살리는 한편, 미켈란젤로는 세세한 부분에서 원래의 설계를 변경하고 천정을 완전히 새로 설계함으로써 완성된 건물에 자기의 흔적을 남겼다. 다른 시대와는 달리 르네상스 시대에는 건축이 단순히 미술 분야의 하나로만 간주되었고, 많은 미술가도 건축분야에 합류할 수 있었다. 15세기 초의 가정 성공적인 건축가 가운데 둘인 브루넬레스키와 미켈로초(Michelozzo)도 조각가로 출발하였다. 전성기 르네상스의 가장 유명한 건축가인 도나토 브라만테(Donato Bramante : 1444~1514) 는 화가로서 수업을 받아 왔지만, 회화를 포기하고 건축에 전념해 밀라노에서, 로마에서 건축 활동에 열정을 바쳤다. 로마에서 교황들의 후원을 받고, 남아 있던 로마 건축들로부터 영향을 입는 가운데 그는 그 당시의 어떤 건축가보다도 고전 양식에 더 가깝게 접근한 건축을 발전시켰다. 그의 설계를 당시의 건물 용도에 맞게 적응시켜야 할 필요 덕분에 다행히도 지나치게 직접적인 모방이 방지 될 수 있었지만, 그는 고전적인 기둥과 장식들을 사용하는 데에서 뿐만 아니라 고전 건축의 정신을 파악하는 데에서도 오히려 더 큰 정도로 두드러진 성공을 거두었다. 그가 로마에 머물러 있는 동안에 세운 건물들을 특징지었던 조화로운 비례와 엄격한 억제는, 그가 몬토리오(Montorio)에 있는 산 피에트로(San Pietro) 수도원에 원형으로 세웠던 작은 사원건물에서 특히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성 베드로 성당이 그의 원래 설계대로 세워졌다면, 우리는 그의 양식을 보여 주는 보다 웅장한 본보기를, 그리고 바로크 시대에 이르기까지 일련의 여러 건축가들이 온갖 변경을 가한 결과 오늘날과 같은 모습을 띠게 된 것보다 어쩌면 더욱 완벽한 건물을 물려받을 수 있었을지도 모른다. 다른 미술 분야들에서와 마찬가지로 건축에서도, 고전적인 동인(動因)은 오래 지속되지 못했다. 그것은 부르넬레스키만큼 독창적인 건축가는 아니더라도 고전적인 정신에는 더 가깝게 공명(共鳴)하였던 브라만테보다는 오래 살아남았으나, 미켈란젤로가 성 베드로 성당의 총감독 직책을 넘겨받았을 때에는 이미 사라져 가고 있었던 것이다.
<참고문헌>
-인터넷 사이트
르네상스 미술시대 http://www.imoon21.com/
-참고도서
노성두 역, 2005, 르네상스의 세거장, 사계절출판사
정숙현 역, 2005, 르네상스, 생각의 나무
김소라 역, 2006, 근대미술, 생각의 나무
오광수, 2004, 이야기 서양미술, 정우사
Ⅲ. 결론
회화와 마찬가지로 조각에서도 세기가 바뀔 무렵에는 전성기 르네상스가 절정에 달하였고, 이 시대에 미켈란젤로는 그의 엄청난 업적으로 모든 다른 사람을 왜소하게 만들면서 홀로 우뚝 서 있었다. 그의 가장 뛰어난 작품 가운데 몇몇은 1505년에 율리우스 2세가 그를 로마로 부르기에 앞서 몇 년 동안에 완성되었다. 이러한 작품으로는 성 베드로 성당에 있는 피에타 상과 현대 브뤼지에 있는 성모자상이 있다. 또한 앞서 도나텔로와 베로치오가 조각했던 다윗 상들과는 개념 자체가 아주 다른 거대한 다윗 상도 이 시대에 속하는데, 이 작품에서는 근육이 불거진 나체상을 좋아하는 미켈란젤로의 성향이 가장 완벽하게 표출되었다.
미켈란젤로는 말년에 대부분의 시간을 건축 설계에 쏟았다, 1546년에 그는 라파엘도 그가 죽기 전에 여섯 해 동안 맡았었던 직책인 성 베드로 성당의 건축가로 임명되었다. 브라만테의 설계에서 주된 윤곽을 되살리는 한편, 미켈란젤로는 세세한 부분에서 원래의 설계를 변경하고 천정을 완전히 새로 설계함으로써 완성된 건물에 자기의 흔적을 남겼다. 다른 시대와는 달리 르네상스 시대에는 건축이 단순히 미술 분야의 하나로만 간주되었고, 많은 미술가도 건축분야에 합류할 수 있었다. 15세기 초의 가정 성공적인 건축가 가운데 둘인 브루넬레스키와 미켈로초(Michelozzo)도 조각가로 출발하였다. 전성기 르네상스의 가장 유명한 건축가인 도나토 브라만테(Donato Bramante : 1444~1514) 는 화가로서 수업을 받아 왔지만, 회화를 포기하고 건축에 전념해 밀라노에서, 로마에서 건축 활동에 열정을 바쳤다. 로마에서 교황들의 후원을 받고, 남아 있던 로마 건축들로부터 영향을 입는 가운데 그는 그 당시의 어떤 건축가보다도 고전 양식에 더 가깝게 접근한 건축을 발전시켰다. 그의 설계를 당시의 건물 용도에 맞게 적응시켜야 할 필요 덕분에 다행히도 지나치게 직접적인 모방이 방지 될 수 있었지만, 그는 고전적인 기둥과 장식들을 사용하는 데에서 뿐만 아니라 고전 건축의 정신을 파악하는 데에서도 오히려 더 큰 정도로 두드러진 성공을 거두었다. 그가 로마에 머물러 있는 동안에 세운 건물들을 특징지었던 조화로운 비례와 엄격한 억제는, 그가 몬토리오(Montorio)에 있는 산 피에트로(San Pietro) 수도원에 원형으로 세웠던 작은 사원건물에서 특히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성 베드로 성당이 그의 원래 설계대로 세워졌다면, 우리는 그의 양식을 보여 주는 보다 웅장한 본보기를, 그리고 바로크 시대에 이르기까지 일련의 여러 건축가들이 온갖 변경을 가한 결과 오늘날과 같은 모습을 띠게 된 것보다 어쩌면 더욱 완벽한 건물을 물려받을 수 있었을지도 모른다. 다른 미술 분야들에서와 마찬가지로 건축에서도, 고전적인 동인(動因)은 오래 지속되지 못했다. 그것은 부르넬레스키만큼 독창적인 건축가는 아니더라도 고전적인 정신에는 더 가깝게 공명(共鳴)하였던 브라만테보다는 오래 살아남았으나, 미켈란젤로가 성 베드로 성당의 총감독 직책을 넘겨받았을 때에는 이미 사라져 가고 있었던 것이다.
<참고문헌>
-인터넷 사이트
르네상스 미술시대 http://www.imoon21.com/
-참고도서
노성두 역, 2005, 르네상스의 세거장, 사계절출판사
정숙현 역, 2005, 르네상스, 생각의 나무
김소라 역, 2006, 근대미술, 생각의 나무
오광수, 2004, 이야기 서양미술, 정우사
키워드
추천자료
종교개혁시대의 자유를 읽고
시대별 미술의 특징
중세시대의 십자군전쟁과 회의주의
로마시대의 연극
엘리자베스시대의 세익스피어 극장과 무대의 종류와 특징
[구석기시대][신석기시대][석기시대][고대시대][중세시대][근세시대][근대시대]구석기시대, ...
[바로크시대][음악][작곡가][건축][장신구][현대 근원으로서 바로크시대]바로크시대의 의의, ...
집단 오류에 빠지지 않기 위한 ‘르네상스 경영’
명화로 보는 서양문화 -피렌체의 르네상스
이집트미술, 로마네스크미술, 르네상스미술, 바로크미술, 로코코미술, 신고전주의미술, 낭만...
매춘의 역사 - 매춘의 기원, 전통시대 매춘(고려시대, 조선시대, 식민지 시대, 현대), 공창, ...
에드먼드 스펜서 [Edmund Spenser] 르네상스(Renaissance) 미술과 문학의 변화 & 소네트(...
[음악의 발전사]고대음악, 중세음악, 르네상스 음악, 바로크 음악
시대 3대 거장과 예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