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일전쟁과 일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의의
2. 배경
3. 전쟁과정과 강화조약
4. 서구 열강과 한국, 중국의 입장
5. 러일전쟁과 일본의 위상변화(러일전쟁의 진정한 승리자 일본)
- 참고문헌 -

본문내용

과정
청일전쟁의 승리로 일본중심의 지역패권화 추구의 발판을 얻었지만, 서양의 입장에서는 여전히 미국과 불평등 조약을 맺고 있는 동아시아의 국가일 뿐이었다. 또한, 서구 열강의 일원이 되는 것이 자국의 이익을 지키는 길이라 인식하고, 영국과의 영일동맹을 맺는다. 러시아 · 프랑스 · 독일의 3국간섭으로 인해 시모노세키 조약으로 얻은 랴오둥 반도의 이권을 뺐기는 경험을 통해 자국의 이익을 지키기 위해서는 열강의 반열에 올라야 한다는 인식을 하고, 결국 러시아와의 대립을 피하자는 의견보다는 영국과의 동맹에 대한 의견이 강력히 매진되어 영국과의 동맹을 맺음.
(1993년, 계몽사 세계사 사전, 76page)
2) 러일전쟁 이후 - 동맹국으로의 진전
러시아의 남하정책의 견제를 위한 영국과 중국에 대한 문호개방 정책의 추진을 위한 미국의 지원을 받아 결국 러일전쟁에서 승리를 하고, 동아시아에서의 새로운 세력권으로 나타나게 된다. 가쓰라-태프트 밀약을 통해 미국으로 부터 조선에 대한 지배권을 인정받고, 미국의 필리핀 지배권을 인정해줌으로서 미국과 동등한 열강의 위치에 다다르게 되었다. 또한 영국과의 개정된 제 2차 영일동맹 김용구, 2004년, 세계외교사 441page, 서울대학교출판부.
제 2차 영일동맹의 핵심은 인도 방어 문제였다. 영국은 동맹의 적용 범위를 인도까지 확장하자고 제안했는데, 이는 전후(戰後) 일본을 겨냥한 러시아의 해군력 증강과 그들의 인도 공격을 저지하기 위해서이다.
을 맺음으로서 세계 최고의 강대국과 동등한 동맹관계의 위치에 다다르게 된다.
3) 이제는 견제되어야 할 세력으로의 일본
1907년 프랑스 · 일본협상, 1907년 러일협상 등 서구 열강과 대등한 조약을 맺기 시작하면서, 점차 동아시아에서의 그 세력을 넓혀가고 있는 일본이다. 러일협상 이후 적극적인 중국 진출로 인하여 문호개방정책의 미국과 대립을 하게 되며, 황색열풍(yellow jack)이라 불리며, 미국과 영국으로부터 견제의 대상이 되기 시작했다. 석화정, 2007년,「풍자화로 보는 러일전쟁」296 ∼ 298page, 지식산업사 ;
일본은 더 이상 서구열강에 의해 강제 문호개방을 한 아시아 국가가 아닌, 서구 열강과 동등한 위치의 강대국으로 급부상한 것이다. 이후, 제 1, 2차 세계대전을 통해 미국과 대립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 참고문헌 -
석화정, 2007년,「풍자화로 보는 러일전쟁」, 지식산업사
김용구, 2004년, 세계외교사, 서울대학교출판부
박은봉, 1998년, 세계사 100장면, 실천문학사
계몽사 세계사 사전, 1993년
http://enc.daum.net/dic100/viewContents.do?&m=all&articleID=b24h3014a, 6월 19일
http://kin.naver.com/open100/db_detail.php?d1id=11&dir_id=110107&eid=TwcyvuT80/gd8VgwOLSJxzqbfMVx9oDO&뷰=t6/Az8D8wO8gwM+6u8DHILG6x9QguMXA1A==(2007년 6월 19일 검색)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7.07.04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88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