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19세기말의 국내외 정세
Ⅲ. 갑오농민전쟁(동학농민운동)의 배경
Ⅳ. 갑오농민전쟁(동학농민운동)의 전개
1. 1차 봉기
2. 2차 봉기
1) 전라도
2) 충청도
3) 경기도
4) 강원도
5) 황해도
Ⅴ. 갑오농민전쟁(동학농민운동)의 성격
1. 농민전쟁의 주체와 동력에 관련된 성격
2. 동학사상의 성격
3. 동학교문과 농민전쟁과의 관계
4. 주체세력
5. 사회경제적 지향
Ⅵ. 갑오농민전쟁(동학농민운동)의 현대적 의의
참고문헌
Ⅱ. 19세기말의 국내외 정세
Ⅲ. 갑오농민전쟁(동학농민운동)의 배경
Ⅳ. 갑오농민전쟁(동학농민운동)의 전개
1. 1차 봉기
2. 2차 봉기
1) 전라도
2) 충청도
3) 경기도
4) 강원도
5) 황해도
Ⅴ. 갑오농민전쟁(동학농민운동)의 성격
1. 농민전쟁의 주체와 동력에 관련된 성격
2. 동학사상의 성격
3. 동학교문과 농민전쟁과의 관계
4. 주체세력
5. 사회경제적 지향
Ⅵ. 갑오농민전쟁(동학농민운동)의 현대적 의의
참고문헌
본문내용
과 南接으로 갈려 있어, 북접은 호서를 기반으로 남접은 호남을 기반으로 하였다)도 남접군과 운명을 같이하게 되어 전라도에서 서로 떨어지게 되었다.
반(反)혁명군은 일본군, 관군, 수성군(守城軍:양반과 부호의 자위단)으로 구성되어 뿔뿔히 흩어진 농민군을 각처에서 소탕하게 되었다. 갑오농민운동은 1년 동안 계속된 후 진압되았으며 전봉준 장군은 적에게 체포되어 을미년(1895) 3월 17일 서울 감옥에서 동지 손화중(孫華仲), 최경선(崔慶善), 김덕명(金德明)등과 더불어 교수형에 처해졌으니 그때 나이 41세였다.
Ⅴ. 갑오농민전쟁(동학농민운동)의 성격
첫째, 존화양이론에 철저한 척사적 성격을 띤다. 전기의병의 지휘부를 이룬 인물들은 존화양이론에 입각하여 제국주의세력의 침략에 민족의 생존권 회복을 위한 반침략 의병투쟁을 전개하였던 것이다.
둘째, 전기의병은 근왕적인 성격을 띤다. 전기의병의 주요 이념에서 주욕신사의 정신으로써 임금에 충성하고자 하는 근왕적인 성격을 살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근왕적 내지는 충군 애국적 국가관은 국왕을 전제로 한 국가의 독립, 즉 왕조의 복구에 궁극적인 목표가 있었다 할 것이다.
셋째, 전기의병은 반개화적인 성격을 띤다. 척사유생들은 개화는 곧 중화의 질서를 무너뜨리고 인륜을 파괴하여 금수로 만듦은 물론 국가마져 멸망에 이르게 한다고 보았다. 척사유생들은 이와같은 반개화론, 나아가 개화망국론에 입각하여 중화질서의 회복과 국가의 독립을 위해 거의한 것이다.
넷째, 전기의병은 반침략성을 강하게 띤다. 의병들은 1894년 갑오변란을 일제의 침략행위로 규정하였다. 청일전쟁 역시 조선의 국권을 위협하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의병들은 친일적인 갑오정권을 타도하고 일본군을 조선에서 완전히 축출하여 민족의 자주를 수호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의병들은 단일부대로 혹은 연합부대를 편성하여 지방 관청을 공격하였으며, 지방에 주둔하고 있던 일본군 수비대를 주요 공격 대상으로 삼아 무력 항쟁을 전개하였다.
1. 농민전쟁의 주체와 동력에 관련된 성격
동학난, 동학농민봉기, 동학혁명, 동학농민전쟁, 갑오농민전쟁, 1894 농민혁명운동이 있다.
2. 동학사상의 성격
정창렬은 동학의 인내천주의는 평등사상이 아니라 개인의 도덕적 자각을 보장하는 근거로서의 사상에 불과하다. 동학사상 종교의식이 가지는 정치의식사회의식과 관련성은 조선시기 국가권력의 이데올로기적 지배를 ‘도덕적 가치의 총괄적 구현체로서의 국가 민유방본이념의 구현체로서의 국가’라는 이데올로기로 표현되고 있었다고 규정하였다. 동학사상은 첫번째 측면만 비판, 농민전쟁에서 민유방본 이념의 구현체로서 국가권력을 부정한 농민들의 보국안민사상은 동학사상이 아닌 민란에서 발전한 사상. 동학사상은 농민전쟁의 지도사상으로서 한계를 가졌다.
3. 동학교문과 농민전쟁과의 관계
동학교문이 핵심적 주체이다. 동학의 일정한 역할 인정하나 종교적 외피론이다. 조직만 제공, 동력은 농민층 일반, 동학과 무관하다.
4. 주체세력
잔반주도
부농주도 농촌에서의 계층분화 이해차이
빈농주도
5. 사회경제적 지향
정창렬은 탐학관리 신구형지주 억압해소, 봉건적 신분제도 폐지, 지주전호제 폐지, 농민적 토지소유발전 = 소상품생산자로서의 자립지향, 객관적으로는 자본주의 발전 지향하였다. 봉건적 군주제도 폐기에 이르지 못한 한계. 토지의 평균분작, 봉건적 토지소유 전면 청산은 아니나 농민적 토지소유 지향하였다.
Ⅵ. 갑오농민전쟁(동학농민운동)의 현대적 의의
1894년 농민전쟁은 조선 후기 농민항쟁을 통해 성장한 농민대중이 동학의 조직을 이용하여 봉건사회를 변혁하고 자본주의 열강의 침략을 물리치려 한 대규모의 반봉건반침략투쟁이었다. 농민전쟁에 참여한 농민군은 경제적으로 농민층에 대한 봉건적 수탈을 제거하여 농민경제를 자립안정시키고 봉건지배세력 및 외국자본주의세력의 침탈로부터 소상인과 다수 빈농층을 보호하려고 하였다. 또 사회적으로는 봉건적 신분질서를 해체하고 근대적 평등사회를 실현하고자 하였다.
참고문헌
○ 김현묵, 물구나무 서서보는 한국역사, 녹진글방, 1993
○ 강만길, 고쳐쓴 한국 근대사, 서울 : 창작과 비평사, 1991
○ 신복룡, 동학사상과 갑오농민혁명, 선인, 2006
○ 원종규 외, 갑오농민전쟁 100돌 기념논문집, 집문당, 1995
○ 우윤, 갑오농민전쟁, 한국사12, 한길사, 1995
○ 편집부, 동학농민혁명의 지역적전개와 사회변동, 새길
○ 한국 역사 연구회, 1894년 농민 전쟁 연구(1) 농민 전쟁의 사회경제적 배경, 역사비
반(反)혁명군은 일본군, 관군, 수성군(守城軍:양반과 부호의 자위단)으로 구성되어 뿔뿔히 흩어진 농민군을 각처에서 소탕하게 되었다. 갑오농민운동은 1년 동안 계속된 후 진압되았으며 전봉준 장군은 적에게 체포되어 을미년(1895) 3월 17일 서울 감옥에서 동지 손화중(孫華仲), 최경선(崔慶善), 김덕명(金德明)등과 더불어 교수형에 처해졌으니 그때 나이 41세였다.
Ⅴ. 갑오농민전쟁(동학농민운동)의 성격
첫째, 존화양이론에 철저한 척사적 성격을 띤다. 전기의병의 지휘부를 이룬 인물들은 존화양이론에 입각하여 제국주의세력의 침략에 민족의 생존권 회복을 위한 반침략 의병투쟁을 전개하였던 것이다.
둘째, 전기의병은 근왕적인 성격을 띤다. 전기의병의 주요 이념에서 주욕신사의 정신으로써 임금에 충성하고자 하는 근왕적인 성격을 살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근왕적 내지는 충군 애국적 국가관은 국왕을 전제로 한 국가의 독립, 즉 왕조의 복구에 궁극적인 목표가 있었다 할 것이다.
셋째, 전기의병은 반개화적인 성격을 띤다. 척사유생들은 개화는 곧 중화의 질서를 무너뜨리고 인륜을 파괴하여 금수로 만듦은 물론 국가마져 멸망에 이르게 한다고 보았다. 척사유생들은 이와같은 반개화론, 나아가 개화망국론에 입각하여 중화질서의 회복과 국가의 독립을 위해 거의한 것이다.
넷째, 전기의병은 반침략성을 강하게 띤다. 의병들은 1894년 갑오변란을 일제의 침략행위로 규정하였다. 청일전쟁 역시 조선의 국권을 위협하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의병들은 친일적인 갑오정권을 타도하고 일본군을 조선에서 완전히 축출하여 민족의 자주를 수호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의병들은 단일부대로 혹은 연합부대를 편성하여 지방 관청을 공격하였으며, 지방에 주둔하고 있던 일본군 수비대를 주요 공격 대상으로 삼아 무력 항쟁을 전개하였다.
1. 농민전쟁의 주체와 동력에 관련된 성격
동학난, 동학농민봉기, 동학혁명, 동학농민전쟁, 갑오농민전쟁, 1894 농민혁명운동이 있다.
2. 동학사상의 성격
정창렬은 동학의 인내천주의는 평등사상이 아니라 개인의 도덕적 자각을 보장하는 근거로서의 사상에 불과하다. 동학사상 종교의식이 가지는 정치의식사회의식과 관련성은 조선시기 국가권력의 이데올로기적 지배를 ‘도덕적 가치의 총괄적 구현체로서의 국가 민유방본이념의 구현체로서의 국가’라는 이데올로기로 표현되고 있었다고 규정하였다. 동학사상은 첫번째 측면만 비판, 농민전쟁에서 민유방본 이념의 구현체로서 국가권력을 부정한 농민들의 보국안민사상은 동학사상이 아닌 민란에서 발전한 사상. 동학사상은 농민전쟁의 지도사상으로서 한계를 가졌다.
3. 동학교문과 농민전쟁과의 관계
동학교문이 핵심적 주체이다. 동학의 일정한 역할 인정하나 종교적 외피론이다. 조직만 제공, 동력은 농민층 일반, 동학과 무관하다.
4. 주체세력
잔반주도
부농주도 농촌에서의 계층분화 이해차이
빈농주도
5. 사회경제적 지향
정창렬은 탐학관리 신구형지주 억압해소, 봉건적 신분제도 폐지, 지주전호제 폐지, 농민적 토지소유발전 = 소상품생산자로서의 자립지향, 객관적으로는 자본주의 발전 지향하였다. 봉건적 군주제도 폐기에 이르지 못한 한계. 토지의 평균분작, 봉건적 토지소유 전면 청산은 아니나 농민적 토지소유 지향하였다.
Ⅵ. 갑오농민전쟁(동학농민운동)의 현대적 의의
1894년 농민전쟁은 조선 후기 농민항쟁을 통해 성장한 농민대중이 동학의 조직을 이용하여 봉건사회를 변혁하고 자본주의 열강의 침략을 물리치려 한 대규모의 반봉건반침략투쟁이었다. 농민전쟁에 참여한 농민군은 경제적으로 농민층에 대한 봉건적 수탈을 제거하여 농민경제를 자립안정시키고 봉건지배세력 및 외국자본주의세력의 침탈로부터 소상인과 다수 빈농층을 보호하려고 하였다. 또 사회적으로는 봉건적 신분질서를 해체하고 근대적 평등사회를 실현하고자 하였다.
참고문헌
○ 김현묵, 물구나무 서서보는 한국역사, 녹진글방, 1993
○ 강만길, 고쳐쓴 한국 근대사, 서울 : 창작과 비평사, 1991
○ 신복룡, 동학사상과 갑오농민혁명, 선인, 2006
○ 원종규 외, 갑오농민전쟁 100돌 기념논문집, 집문당, 1995
○ 우윤, 갑오농민전쟁, 한국사12, 한길사, 1995
○ 편집부, 동학농민혁명의 지역적전개와 사회변동, 새길
○ 한국 역사 연구회, 1894년 농민 전쟁 연구(1) 농민 전쟁의 사회경제적 배경, 역사비
추천자료
동학의 경과와 역사적의의
한국근대사의 성격
동학 농민 혁명유적지 답사를 다녀와서
농민천민의 반봉건운동과 최충천집권체제의 구축
동학 농민 혁명에서의 갑오개혁과 집강소 설치
동학 농민 혁명 유적지를 다녀와서
동학혁명과 기독교와의 관계
개항과 근대개혁운동
[한국근대사]한국근대사 분석 고찰(개항 이후 민란, 개항 이후 화적, 농민군도소의 조직, 근...
갑오봉기의 배경과 전개 과정
[1930년대][단편소설][근대소설][농민소설][시(시문학)][경성노동자]1930년대의 단편소설, 19...
중일전쟁 분석과 교훈
[한국민족운동사] <3·1운동의 참가계층> - 지식인, 청년, 학생(구성원 각 집단의 투쟁), 농민...
유현종의 『들불』 (들불속의 동학혁명, 들불속의 역사적 기술과 문체 및 주제, 들불의 줄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