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학] 소비 문화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회학] 소비 문화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계층에 따른 소비 특징
2. 소비자본주의의 출현과 생활양식의 변화
3. 과시소비 연구
4.현재 우리나라의 현황

Ⅲ. 결론

본문내용

주: 실질임금은 비농전산업부문의 수치임.
자료: 통계청, 『도시가계연보』각호
한국은행, 『경제통계연보』2000.
노동부, 『매월노동통계조사보고서』각호.
또한 경제위기로 인해 계층별 소득의 불평등도가 높아졌음을 <표2>에서 확인 할 수 있다.
☆가구유형별 지니계수
전가구
도시 노동자
도시 자영업자
농가
1993
0.359
0.280
0.351
0.499
1994
0.346
0.273
0.308
0.417
1995
0.361
0.276
0.312
0.443
1996
0.366
0.293
0.297
0.418
1997
0.335
0.266
0.273
0.412
1998
0.366
0.277
0.319
0.453
주: 소득은 EI(equivalent income) 기준.
한편 소비지출의 불평등을 살펴보면 소득 불평등과는 약간 다른 양상을 보인다. 즉, 1998년 위기 상황의 도래 이후에도 지출에 있어서는 불평등의 증가가 별로 눈에 띄지 않는다. 이는 경제위기 이후 한국의 가구들이 소비의 감소를 통해 위기를 극복하려고 했는데, 고소득층일수록 소비를 더 크게 줄였기 때문에 나타난 현상으로 추측된다.
☆전체가구의 지니계수
연도 기준
가구소득
환산소득
근로소득
지출
1인당지출
1993
0.373
0.359
0.242
0.309
0.294
1994
0.360
0.346
0.259
0.322
0.317
1995
0.372
0.361
0.275
0.311
0.300
1996
0.386
0.366
0.264
0.351
0.334
1997
0.354
0.335
0.268
0.338
0.322
1998
0.385
0.366
0.287
0.343
0.323
자료: 대우 패널
Ⅲ. 결론 - 소비문화론 연구의 의의와 과제
대중소비는 계급 간 경계를 모호하게 만드는 경향이 있다. 현재 사회는 소비자본주의와 함께 계급 간 경계가 흐려지고 있는 반면, 다른 한편으로는 소비에 의한 계급 간 구별 짓기가 보다 더 심도 있게 진행된다. 소비는 더 이상 한국사회의 학문공간에서 주변적 지위에 머무를 수 없게 되었다. 소비문화론은 이러한 한국사회의 변동과 함께 나타나는 불평등구조의 한 면을 제대로 추려내는 접근으로서 매우 큰 의의를 갖는다. 문화적 생활방식이나 가치는 물론 소비양식 역시 계급연구의 핵심요소가 되어 있음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물론 한국사회의 계급구조화는 서구의 그것과 다른 속성을 안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한국사회의 계급구조화 기간은 계급의 경계를 논할 만큼 충분한 것이 아니었으며, 급격한 사회변동과 이동으로 견고화되기에는 너무나 유연한 측면을 보이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사회가 자본주의의 보편적 궤적에 동승하고 있고, 이제 막 소비 자본주의로 도달되었다는 점에서 계급의 공고화가 진척되고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계급 형성론이나 소비이론 등은 위에서 언급한 몇 가지 과제를 안고 있으면서도 계급에 대한 포괄적인 문화적 접근의 원리와 방법 등을 잘 보여주고 있고, 오늘날 한국사회의 계급형성과 속성을 가늠하는 데 유용한 자원이 되고 있는 것이다.
  • 가격1,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7.07.04
  • 저작시기200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89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