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실록 조사
본 자료는 10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조선왕조실록 개관
1. 조선왕조실록은 어떤 책인가
(1) 의의
(2) 특징
① 역사의식
② 문체
1) 기전체
2) 편년체
3) 기사본말체
4) 강목체
③ 집필방식
④ 분량(조선왕조실록 편찬 일람표 참조)
2. 조선왕조실록의 내용
(1) 기후
(2) 생활
(3) 문화
3. 국내의 타 역사서와의 비교
(1) 삼국사기
(2) 고려사

III. 조선왕조실록의 편찬
1. 연혁(조선왕조실록 편찬 일람표 참조)
2. 집필자 및 집필기관
(1) 신진기예의 엘리트 관료, 사관
(2) 임시기관으로 실록청을 설치하다
3. 사초(실록 작성의 토대가 되는 자료)
(1) 사초란 무엇인가
(2) 사초의 내용
① 입시사초(入侍史草)
② 가장사초
③ 춘추관일기
(3) 사초의 정리-‘시정기’ 편찬
4. 실록 편찬 시기
5. 실록의 집필과정

Ⅳ. 조선왕조실록의 관리
1. 실록의 개정
(1) 개정된 이유
(2) 개정판 실록의 이름이 다른 이유
① 수정(修正)실록
② 개수(改修)실록
③ 보궐정오(補闕正誤)
(3) 개정태도의 변화
(4) 개정된 실록
① 선조수정실록-최초의 개정판 실록
② 현종개수실록-가장 대대적인 개정
③ 숙종실록보궐정오-가장 적게 개정
④ 경종수정실록-마지막 개정판 실록
2. 실록의 보관
(1) 집필 후의 보관장소-사고(史庫)
① 사고(史庫)
② 사고를 설치한 이유
③ 사고관리
④ 사고의 건물 관리, 도서 관리-포쇄
⑤ 사고의 수비
⑥ 사고의 운영경비
(2) 시대상황에 따른 보관장소의 변화
① 고려전기
② 고려후기-양사고 체제
③ 조선개국초-고려 방식을 계승한 양사고 체제
④ 조선전기-4사고체제
⑤ 조선후기(임진왜란후)-5사고체제
⑥ 일제강점 이후(현재 위치)
3. 실록의 수난
(1) 고려시대
(2) 임진왜란(1592년)-조선왕조실록의 최대참화
(3) 이괄의 난-불구가 된 춘추관사고
(4) 병자호란-강화사고 파손
(5) 일제강점기-일본에 강탈된 실록
(6) 6.25 전쟁
(7) 병인양요(1866)-프랑스로 약탈된 강화도 외규장각 도서의 반환문제
4. 실록의 왜곡-「고종실록」과 「순종실록」
(1) 일제에 의한 간행
(2) 간행이유
(3) 정통실록과의 차이
(4) 사료적 가치

Ⅴ. 세계기록유산 지정
1. 세계문화유산
(1) 유네스코란
(2) 세계유산의 의의
(3) 세계문화유산 지정 과정
2. 왜 조선왕조실록인가
(1) 조선왕조실록의 가치
(2) 국외의 역사서와의 비교
① 일본
② 베트남
③ 중국
3. 승정원일기와의 비교
(1) 승정원일기-세계기록유산
(2) 승정원일기와 조선왕조실록 비교
① 집필자와 집필기관의 차이
② 내용에 있어서의 차이
③ 그 밖의 차이점

Ⅴ. 맺으며

본문내용

그들의 식견까지 왕에게 제시한 핵심적인 정책기관이었다. 이런 승정원의 중요한 업 무 중 하나는 그 날 그 날의 업무 일지인 「승정원일기」를 작성하는 일이었다. 왕 앞에서 기록을 할 수 있는 사람은 실록 편찬을 담당하는 사관으로 알려져 있고 「조 선왕조실록」은 바로 이 사관에 의해 작성된 것이다. 최한기의 「강관론」에는 주서 들이 왕의 바로 앞쪽에 사관과 나란히 앉아 있는 것으로 표시되어 있다.「승정원일 기」의 집필자인 주서는 사관과 함께 왕의 모든 언행을 빠짐없이 기록한 것이다. 왕 조시대 주서들은 왕을 그림자처럼 따라다니며 왕의 언행 하나하나를 속기로 기록했 다. 왕 앞에서 정사를 기록했던 사관은 「조선왕조실록」을 주서는 「승정원일기」 를 남겼다. 「조선왕조실록」은 왕이 죽은 뒤에 편찬되었다. 그리고 당대에는 아무도 볼 수 없도록 내용이 철저히 비밀에 부쳐졌다. 그에 비해 「승정원일기」는 필요하 면 언제라도 볼 수 있는 공개된 자료였다.
② 내용에 있어서의 차이
「승정원일기」는 항상 날짜와 날씨로 시작하는데, 오늘날처럼 날짜를 구체적으로 표기하는 것은 「승정원일기」만의 특징이다. 다음으로 승정원 관리들의 이름을 기 록했는데, 특히 출근 상황을 표시한 부분이 눈에 띈다. 이에 왕의 하루 일과를 장소 와 시간대 별로 기록한다. 뿐만 아니라 일기에는 왕의 인간적인 면모까지도 기록되 어 있다. 그렇다면 「승정원일기」는 또 다른 조선왕조의 기록물인「조선왕조실록」 과 어떤 차이가 있을까?
「조선왕조실록」은 조선시대 정치, 경제, 사회, 문화의 광범위한 내용들을 결과 중 심으로 기록한다. 반면 「승정원일기」는 사건이나 사업에 대한 배경, 동기, 과정을 모두 기록하는데, 논란이 되는 사항들과 결과에 대한 이모저모까지 광범위한 내용을 기록한다. 실제로 영조 때의 청계천 준설공사에 대해서 「조선왕조실록」에서는 “영 조 34년 5월 6일, 왕이 신하와 백성들에게 공사의 가부를 물었다.”고 간단하게 한 줄 로 적었다. 그러나 「승정원일기」에는 이미 5월 2일부터 관련 내용이 등장한다. 「승정원일기」에는 공사가 진행된 구간, 특히 어려웠던 구간, 모래가 운반되는 과정 등 공사가 완공되기까지의 전 과정이 세세히 기록되어 있다.
③ 그 밖의 차이점
「승정원일기」는 편찬시기가 왕의 재위기간에 편찬되었다는 점과 필요시 열람이 가능하다는 점, 왕의 직속기관인 승정원에서 집필되었다는 점에서 「조선왕조실록」 과 차이가 있다. 조선시대에는 최고의 문무합의기관인 비변사, 외국과의 사신 활동을 총괄하는 전객사, 죄인을 다스리는 의금부 등 각 부서마다 따로 기록을 남겼다. 하지 만 국정 운영이 왕을 중심으로 이뤄지지만 그것을 기록할 수 있는 사람이 사관과 주 서 두 사람뿐이었기 때문에 각 부서에서 기록을 남기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승정 원일기」왕의 직속기관인 승정원에서 집필했기 때문에 국가의 대소사가 있을 때마다 일기에 나타난 전례를 찾아서 정책 결정에 참고할 수 있는 자료로 쓰일 수 있었다. 「승정원일기」가 주목받게 된 것은 사료적 가치 때문만이 아니라 왕에 대해서도 숨 기거나 꾸미지 않고 있는 그대로의 사실을 기록한 점에 있다 할 수 있겠다.
Ⅴ. 맺으며(발표준비소감)
역사는 현재와 과거의 끊임없는 대화이다.“ 20세기 위대한 역사학자 E.H.Carr는 명저 역 사란 무엇인가에서 역사를 그렇게 정의했다. 역사가와 사실들과의 상호 작용, 즉 현재와 과 거와의 대화를 통해 역사는 생명력을 갖는다는 의미다. 과거의 역사는 당대의 사람들에 의해서 기록되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현재의 사람들에 의해 평가됨으로써 비로소 제 몸에 걸 맞는 옷 을 입게 되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구체적이고 정확한 사실의 기록은 역사를 조명하는 데 있 어서 어느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조선왕조실록이 더욱더 빛이 나는 것이 이 때문이 기도 하다.
우리는 역사를 고루하고 어려운 것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우리의 정체성을 확인 하고 이 시대를 살아갈 지혜를 얻는 가장 좋은 방법은 바로 과거를 통해 현재를 비추어 보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사실 중고교 시절의 국사시간에 배운 것마저도 수년 내에 잊어버리는 것이 우리 모두의 모습인 것 같다. TV를 통해 다양한 사극을 접할 수 있지만 역사적 사실이나 교훈을 본질적으로 배울 수 있는 기회가 되기에는 부족한 면이 없지 않다. 발표를 준비하면서 전 세계가 인정한 우리의 훌룡한 것들에 대해서 너무나 모르고 있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막 상 공부해보니 생각했던 것만큼 어렵지도 지루하지도 않았다.
조선왕조실록은 그 분량이 방대하고 역사가 오래된 만큼 우리가 공부해야 할 것도 많고 거기 서 배울 수 잇는 것도 많은 것 같다. 리포트와 발표를 통해서 다루지 못한 부분이 많은데 한편 으로는 아쉽기도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우리가 남은 생을 살면서 탐구해야 할 것이 얼마나 많 은지에 압도된 기분이 들기도 한다. 준비기간 동안 모두가 열심을 내어 준비하는 모습에 감사 한 마음이 많이 들었고 스스로 얼마나 겸손해져야 하는지를 깨닫는 계기가 되었다. 얼마나 잘 했는지 못 했는지를 떠나 각자의 역량을 발휘하고 함께 노력할 수 있는 기회를 주신 교수님께 감사드리며 이 글을 마친다.
《 참 고 도 서 》
1. 조선왕조실록 어떤 책인가, 1999, 이성무, 동방미디어
2. 재미로 읽는 조선왕조실록, 2004, 김용삼, 월간조선사
3. 한국사총론, 2004, 이영철, 고시연구사
4. 유네스코 지정 한국의 세계유산, 2005, 국립제주박물관, 서경
5. 역사스페셜:종이로 된 보물창고, 원작 KBS 역사스페셜, 2004, 효형출판사
6.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가정폭력 자료분석(논문), 2005, 박혜인, 계명대 생활과학부
7. 조선왕조실록에 기록된 강수 현상, 박정규·황재돈·전영신, 기상청
8. 옛 문헌을 통해 본 한국인의 목욕의식, 안옥희·김학민·김현지, 영남대가족주거학과
9. 조선시대 여성의 문자생활 연구, 경북대 백두현
10. 조선시대 부동산 매매에 관한 연구(조선왕조실록을 중심으로), 성윤모
11.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www.unesco.co.kr
12. 문화재청, www.cha.go.kr

키워드

  • 가격2,600
  • 페이지수29페이지
  • 등록일2007.07.05
  • 저작시기200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92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