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청자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려청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청자의 발달
2) 청자의 생산지와 장인
3) 청자의 아름다움
4) 청자의 종류

3 결론

본문내용

속적으로 표현하는 데에 효과적인 문양이다.
(6) 진사청자(辰砂靑磁)
진사란 동염(銅鹽)이 산화되어 붉은색은 내는 것을 말한다. 그래서 그릇 표면에 무늬를 그리거나, 또는 다른 무늬의 일부에 점을 찍은 다음, 청자 유약을 입혀서 구워 낸 것을 말한다. 이것은 어느 것이나 매우 귀해서 수가 그다지 많지 않다.
(7) 화금청자(畵金靑磁)
화금청자는 상감된 무늬의 일부에 금을 칠한 것을 말한다. 이 역시 매우 귀한 청자이다.
(8) 철채청자(鐵彩靑磁)
철채청자라 함은 표면 전체에 鐵砂물감을 바르고 그 위에 청자 유약을 발라서 구워 낸 것이다. 완성된 빛깔은 흑색 또는 초록색은 띤 흑색으로 광택이 난다. 화청자는 장식 무늬를 그렸을 뿐인데 비해 철체청자는 그릇 표면 전체를 칠한 점이 다르다.
(9) 명문청자(銘文靑磁)
명문이 있다고 해서 그릇 자체에 변화가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그 중에는 매우 중요한 내용이 포함되는 경우가 있어 가치가 있는 것이다. 詩銘, 納入所, 年號나 干支, 그 외에 기타 명이 새겨진다.
3. 결론
이외에도 고려청자에 많이 등장하는 들국화는 산야에 아무렇게나 피고 지는 쓸쓸함과 적막감 그리고 고요함을 표현한 것으로 이를 통하여 고려인들은 마음을 순화시키고자 했을 것이다. 이처럼 청자의 문양에는 고려인들의 마음이 담겨 있다. 비록 청자가 기물에 불과하지만, 그것이 수백 년을 살았던 사람들의 삶과 꿈을 담고 있기에 오늘에 이르러서도 그 가치를 유지하고 있는 것이다.
< 참고문헌 >
정충진/ 도자기와의 관심/ 도서출판리수/ 2001
송재선/ 우리나라 도자기와 가마터/ 동문선/ 2003

키워드

  • 가격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7.07.06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94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