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분청사기란?
2.분청사기의 탄생배경:
3.분청사기의 표현기법
4. 분청사기의 주재료
5. 분청사기 만드는 방법
6. 우리나라의 민족역사적으로 분청사기가 중요한 이유는?
7. 분청사기의 시대구분
2.분청사기의 탄생배경:
3.분청사기의 표현기법
4. 분청사기의 주재료
5. 분청사기 만드는 방법
6. 우리나라의 민족역사적으로 분청사기가 중요한 이유는?
7. 분청사기의 시대구분
본문내용
다. 한국민의 진한 생명력을 담아 진듯하고 대담한 모습으로 재각기 표현된 분청사기는 다른 어떠한 사기들보다 우리에게 친근함을 선사해 준다.
7. 분청사기의 시대구분
초기(발생기)
제1기-태동기∼1390년 고려의 사회불안과 자기소붕괴에 따른 민간 자기소 발생
전남 강진군 대구면 사당리 미산 당전일대
제2기-발생기∼1420년 고려 상감무늬의 변모, 분청 인화기법 발생 기형무늬 유태,조선 적인 분위
기 형성 광주군 초월면 쌍동리. 광주시 충효동, 경남 사천읍 구암리, 산천군 신등면 장천
리, 경북 상주군 화동면 어산리
중기(발전기)
제1기-발전기∼1450년 기법의 다양한 발전, 분청사기 특징이 뚜렷해지며 태토가 밝아짐, 백자가 생
산되기 시작함
제2기-성숙기∼1480년 인화기법 대접 무늬구도 완성 및 절정, 귀얄기법 발생 백자생산지인 광주
분원 설립, 청화백자 생산.충남 연기군 전동면 달전리, 충북 괴산군 청천면 사기막리, 광주
시 충효동, 고흥군 두원면 운대리, 경북 사천군 곤양면 송전리,경북 월 성군 현곡면 내태리
남사리, 고령군 기산면
후기(쇠퇴기)
상감, 인화기법쇠퇴, 철화 발생 발전(공주 학봉리 계룡산 기슭)귀얄, 덤벙기법성행
남양주군 별내면 청학리, 연기군 전동면 금사리, 공주군 반포면 학봉리, 괴산군 청천면 사기막리, 전남 고흥군 두원면 운대리, 경남 양산군 원동면 화제리, 웅산면 주남리, 밀양군 삼랑진읍 용전리, 진양군 수곡면 효자리, 경북 고령군 사부동, 전북 고창군 부안면 수동리, 아산면 용계리,웅산면 주남리.
말기(소멸기)
백자 선호가 커짐에 따라 귀얄,덤벙기법이 백자에 흡수됨.
7. 분청사기의 시대구분
초기(발생기)
제1기-태동기∼1390년 고려의 사회불안과 자기소붕괴에 따른 민간 자기소 발생
전남 강진군 대구면 사당리 미산 당전일대
제2기-발생기∼1420년 고려 상감무늬의 변모, 분청 인화기법 발생 기형무늬 유태,조선 적인 분위
기 형성 광주군 초월면 쌍동리. 광주시 충효동, 경남 사천읍 구암리, 산천군 신등면 장천
리, 경북 상주군 화동면 어산리
중기(발전기)
제1기-발전기∼1450년 기법의 다양한 발전, 분청사기 특징이 뚜렷해지며 태토가 밝아짐, 백자가 생
산되기 시작함
제2기-성숙기∼1480년 인화기법 대접 무늬구도 완성 및 절정, 귀얄기법 발생 백자생산지인 광주
분원 설립, 청화백자 생산.충남 연기군 전동면 달전리, 충북 괴산군 청천면 사기막리, 광주
시 충효동, 고흥군 두원면 운대리, 경북 사천군 곤양면 송전리,경북 월 성군 현곡면 내태리
남사리, 고령군 기산면
후기(쇠퇴기)
상감, 인화기법쇠퇴, 철화 발생 발전(공주 학봉리 계룡산 기슭)귀얄, 덤벙기법성행
남양주군 별내면 청학리, 연기군 전동면 금사리, 공주군 반포면 학봉리, 괴산군 청천면 사기막리, 전남 고흥군 두원면 운대리, 경남 양산군 원동면 화제리, 웅산면 주남리, 밀양군 삼랑진읍 용전리, 진양군 수곡면 효자리, 경북 고령군 사부동, 전북 고창군 부안면 수동리, 아산면 용계리,웅산면 주남리.
말기(소멸기)
백자 선호가 커짐에 따라 귀얄,덤벙기법이 백자에 흡수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