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번(藩)
- 우리는 번을 왜 공부하는가, 번의 용어적 의미,
- 번의 차이, 번의 독립국가화
#2. 번과 막부의 관계
- 막정 초기 5대 간 후다이다이묘와 도자마다이묘의 변화 추이
- 다이묘와의 관계를 위한 막부의 정책 변화 양상(통재와 공생)
#3. 도쿠가와 국가
- 대내적 특질, 도쿠가와 국가를 바라보는 두가지 관점
- 우리는 번을 왜 공부하는가, 번의 용어적 의미,
- 번의 차이, 번의 독립국가화
#2. 번과 막부의 관계
- 막정 초기 5대 간 후다이다이묘와 도자마다이묘의 변화 추이
- 다이묘와의 관계를 위한 막부의 정책 변화 양상(통재와 공생)
#3. 도쿠가와 국가
- 대내적 특질, 도쿠가와 국가를 바라보는 두가지 관점
본문내용
즉, 즉 중앙정부인 막부 최고의 통치자인 쇼군의 직접적인 통치를 받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일본의 근대사회 이행과정에 있어서 중요한 걸림돌로서 작용.
번 = 도쿠가와 시대 전기, 혹은 전국시대의 국(國)과 유사한 개념으로서 도쿠가와 후기에 재정립됨
· 면적 4,185㎢, 인구는 118만 여명(2000년 현재)
· 현청소재지는 가나자와 시
· 노토, 가나자와, 하쿠산, 가가로 이루어짐
· 수산업, 섬유공업등으로 유명
· 윤봉길 의사 순국기념비등 많은 문화유적 존재
중앙에 귀속되는 ‘국고(國庫)’나 국세법이 존재하지 않음
국가적인 사법제도의 부재로 사적인 ‘정의실현’, ‘자력구제’가 사회에 만연함
사회기간시설(교통, 통신, 치안)의 구축에 대해 무관심함
국가 전체의 통일적인 군사제도가 존재하지 않음
경제적 통합은 가속화 되었으나, 정치적 발전으로서의 통합은 함께 맞물리지 못함
1) 경찰조직, 전쟁비용을 충당할 과세, 사회복지를 표준화, 제도화하지 못함
2) 교육시설과 보건시설의 관심을 기울이지 않음
번 = 도쿠가와 시대 전기, 혹은 전국시대의 국(國)과 유사한 개념으로서 도쿠가와 후기에 재정립됨
· 면적 4,185㎢, 인구는 118만 여명(2000년 현재)
· 현청소재지는 가나자와 시
· 노토, 가나자와, 하쿠산, 가가로 이루어짐
· 수산업, 섬유공업등으로 유명
· 윤봉길 의사 순국기념비등 많은 문화유적 존재
중앙에 귀속되는 ‘국고(國庫)’나 국세법이 존재하지 않음
국가적인 사법제도의 부재로 사적인 ‘정의실현’, ‘자력구제’가 사회에 만연함
사회기간시설(교통, 통신, 치안)의 구축에 대해 무관심함
국가 전체의 통일적인 군사제도가 존재하지 않음
경제적 통합은 가속화 되었으나, 정치적 발전으로서의 통합은 함께 맞물리지 못함
1) 경찰조직, 전쟁비용을 충당할 과세, 사회복지를 표준화, 제도화하지 못함
2) 교육시설과 보건시설의 관심을 기울이지 않음
추천자료
화해(한국과 일본의 화해)
독도에 대한 일본, 한국의 입장
근세, 근대 일본 사회와 문화의 변화
[메이지유신]일본의 개항
[우수평가자료]일본의 대표적 문화 이해하기
Global Governance와 Digital Governance 차원에서 일본의 독도영유권 주장 문제를 풀 수 있...
문화비평을 통해 본 일본의 한류 -드라마 <겨울연가>를 중심으로
우익영화를 통해 살펴 본 일본인의 전후인식
[국제관계의 이해] 일본의 정치변화
(환경보건윤리및정책4D형)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독일이 취한 원전정책의 결정...
[경제학과 A형] 일본의 근대적 금융제도의 도입과 식산흥업정책 : 금융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