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언어의 두 가지 모습
소쉬르가 분류한 언어학
언어학의 두 갈래
공시 언어학과 통시 언어학의 차이
공시 언어학과 통시 언어학의 긴밀한 관계성
소쉬르가 분류한 언어학
언어학의 두 갈래
공시 언어학과 통시 언어학의 차이
공시 언어학과 통시 언어학의 긴밀한 관계성
본문내용
언어의 유동적인 면
옛 기록을 통해 알 수 있는 과거의 말과 현재의 말의 차이
사실 말은 시간에 따라 달라진다. 항상 유동
상태에 놓여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물론
작은 변화는 눈에 띄지 않는다. 그것은, 말이
곳에 따라 다르지만 그 다름이 작을 때는 그것이
눈에 띄지 않음과 같다. 그러나 이러한 작은
변화가 쌓이고 쌓이게 되면 어느 순간부터
그것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일이 있다.
언어의 유동적인 면
옛 기록을 통해 알 수 있는 과거의 말과 현재의 말의 차이
고려시대의 말 (서경별곡 제 2장 앞부분)
구스리 아즐가 구스리 바회예 디신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긴히 아즐가 긴히 그츠리잇가나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즈믄를 외오곰 녀신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信잇 아즐가 信잇 그츠리잇가 나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
구슬이 바위 위에 떨어진들 끈이야 끊어지겠습니까?
천 년을 홀로 살아간들 임을 사랑하고 믿는 마음이야 끊어지고 변할 리가
있겠습니까?
옛 기록을 통해 알 수 있는 과거의 말과 현재의 말의 차이
사실 말은 시간에 따라 달라진다. 항상 유동
상태에 놓여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물론
작은 변화는 눈에 띄지 않는다. 그것은, 말이
곳에 따라 다르지만 그 다름이 작을 때는 그것이
눈에 띄지 않음과 같다. 그러나 이러한 작은
변화가 쌓이고 쌓이게 되면 어느 순간부터
그것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일이 있다.
언어의 유동적인 면
옛 기록을 통해 알 수 있는 과거의 말과 현재의 말의 차이
고려시대의 말 (서경별곡 제 2장 앞부분)
구스리 아즐가 구스리 바회예 디신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긴히 아즐가 긴히 그츠리잇가나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즈믄를 외오곰 녀신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信잇 아즐가 信잇 그츠리잇가 나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
구슬이 바위 위에 떨어진들 끈이야 끊어지겠습니까?
천 년을 홀로 살아간들 임을 사랑하고 믿는 마음이야 끊어지고 변할 리가
있겠습니까?
추천자료
한글(우리글, 우리말)의 우수성과 의의, 한글(우리글, 우리말)의 맞춤법, 한글(우리글, 우리...
우리말(국어, 우리글, 한글)의 중요성, 우리말(국어, 우리글, 한글)의 장점, 우리말(국어, 우...
한글(우리말, 우리글, 한국어)특성과 음성문자체계, 한글(우리말, 우리글, 한국어) 로마자표...
한글(우리말, 우리글) 특징, 한글(우리말, 우리글) 원리, 한글(우리말, 우리글) 장점, 한글(...
한글(우리글, 우리말, 한국어)의 역사와 지위, 한글(우리글, 우리말, 한국어)의 맞춤법, 한글...
우리말(우리글, 한글, 국어)의 특성, 우리말(우리글, 한글, 국어)의 구조, 우리말(우리글, 한...
한글(우리글, 국어, 우리말)의 성격과 우수성, 한글(우리글, 국어, 우리말)의 지위와 구조, ...
우리글(한글, 우리말, 한국어)우수성,유래,맞춤법, 우리글(한글, 우리말, 한국어)인도문자기...
우리글(우리말, 한글, 국어) 중요성과 어원, 우리글(우리말, 한글, 국어) 논리와 오염실태, ...
한글(한국어, 우리글, 우리말) 장점, 한글(한국어, 우리글, 우리말) 히브리문자기원설, 산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