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거의 자취를 감추고 그 대신 육보가 중심기보법으로 민간악보에서 사용되는 역사적 변천이 생겼고, 이러한 전통이 20세기 전반까지 계속 되었던 것이다. 생황자보는 조선후기의 생황으로 연주되었던 가곡 반주음악을 후대에 남겨주었을 뿐만아니라. 그 기보법은 정간보처럼 시가를 나타낼 수 있었던 유량 악보였기 때문에 음악사에서 중요시 된다. 연음표는 가곡의 노래선율을 후대에 전하는 유일의 기보법이었다는 이유에서 중요시 된다. 유예지의 생황자보, 이 기보법은 시가를 표시한 검은 점은 짧은 소리를 내었고 하나의 흰점은 중간 길이의 소리를 표시하였으며, 두 개의 흰 점은 긴 소리를 의미했다. 시가의 표시를 위한 생황자보의이러한 표기법은 음악사적인 관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하겠다. 왜냐하면 우리나라 기보법 중에서 시가에 관련된 기보법은 오직 정간보 뿐이었지만, 유예지의 생황자보도 시가를 나타내는 유량악보의 일종이라고 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가곡원류의 연음표 : 생황자보나 연음표는 모두 19세기 풍류방에서 가곡을 즐기던 가객과 풍류객들에 의해 사용되었던 기보법이고, 그것은 정악이라는 음악문화의 일면을 잘 나타낸 실례들이다. 두 기보법이 현재까지 전승되지는 못했지만, 조선 후기의 음악사적 관점에서 중요시되어야 마땅하다. 두 기보법에 의해서 19세기 가곡의 악보가 현재까지 전승될 수 있었다는 첫째 이유 이외에도 특히 생황자보가 일중의 유량악보였다는 둘째 사실에 주목 할 필요가 있다. 생황자보에서 시가를 표시한 방법이 후대에 전승되어 발전되었다면, 우리나라의 기보법사가 새 양상으로 전개되었을지도 모른다는 까닭에서이다.
추천자료
국악, 사물놀이, 민요, 국악가요에 대하여
국악악곡 이야기
국악에 관한 몇 가지 이야기
국악감상에 앞서 이루어지는 마음가짐의 정리와 국악감상문
국악기(한국전통악기) 장구(장고) 유래와 바른자세, 국악기(한국전통악기) 장구(장고) 연습과...
한국전통악기(국악기, 전통악기) 태평소와 아쟁, 한국전통악기(국악기, 전통악기) 가야금, 한...
한국전통음악지도(국악교육)의 중요성, 한국전통음악지도(국악교육)의 장단지도, 창작지도, ...
국악의 개념 및 종류와 국악기의 활용방법 조사분석
국악의 역사, 유래, 정의, 국악 악기의 특징, 인식, 양악과의 비교, 활성화 방안, 고전의 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