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도날드][햄버거]맥도날드(Mcdonald)의 성공전략과 QSC & V 및 평가 분석(맥도날드의 연혁, 한국의 맥도날드, 맥도날드의 성공전략, QSC & V, 맥도날드 International, 맥도날드에 대한 평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맥도날드][햄버거]맥도날드(Mcdonald)의 성공전략과 QSC & V 및 평가 분석(맥도날드의 연혁, 한국의 맥도날드, 맥도날드의 성공전략, QSC & V, 맥도날드 International, 맥도날드에 대한 평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Mcdonalds(맥도날드)의 연혁

Ⅲ. 한국의 맥도날드
1. 고용기회의 창출
2. 원재료의 국산화 노력
3. 장비의 국산화 노력
4. 한국의 맛 개발을 위한 노력
5. 기업이윤의 환원을 위한 노력
6. 완벽한 교육을 통한 일관된 서비스

Ⅳ. 맥도날드의 성공전략

Ⅴ. QSC & V
1. 품질
2. 서비스
3. 청결
4. 가치
5. 현지화 전략
5. 기타

Ⅵ. Mcdonalds(맥도날드) International

Ⅶ. 제조개념을 이용한 서비스 전달시스템
1. 제조개념과 기술의 탁월한 응용
2. 프렌치 프라이의 자동화

Ⅷ. Mcdonalds(맥도날드)에 대한 평가

Ⅸ. 결론

본문내용

뿐 아니라 조업원들이 더러움에 익숙해지게 된다. 또한 매장이 청결하지 않으면 표준이 무너지고 음식이 구미를 자극하지 못한다.
넷째, 풍부함의 인상을 주기 위하여 봉투의 적정량보다 많이 담도록 하였다. 봉투에 넘쳐흐르게 프렌치 프라이를 제공함으로써 고객은 맥도날드의 관대함을 느끼게 된다.
다섯째, 풍부함을 느끼게 하면서도 고객에게 제공되는 감자의 양을 표준화하기 위해 숟가락 모양의 깔대기를 개발하였다. 이는 봉투에 과다하게 담음으로써 감자의 비용이 초과되거나 종업원이 손으로 담음으로써 시간을 많이 빼앗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적정량이 봉투에 담아지도록 하는 장치이다. 위에서 말한 이러한 모든 것들이 제조 개념을 이용해 맥도날드를 이용하는 전세계의 고객들에게 똑같은 만족을 제공해 주는 서비스 전달 시스템인 것이다.
그러나 제조 개념의 무분별한 도입은 서비스의 실패를 초래할 수 있다. 예를들어 컴퓨터 의료 진단 서비스와 대화형 교육 소프트웨어 같은 것들은 제조개념을 이용하여 실패한 경우들이다.
Ⅷ. Mcdonalds(맥도날드)에 대한 평가
모든 것에는 어두운 측면이 있다. 우리는 합리적인 체계의 기본 요소로서 효율, 추측 가능성, 계산, 그리고 비인간적 기술을 통한 통제를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합리적 체계는 종종 비합리성을 생산해낸다. Mcdonaldization의 이면은 합리성의 비합리성이라는 화두를 가지고 가장 체계적으로 다루어질 것이다. 이것을 다른 식으로 말하면 합리적인 체계는 합리성을 부정하는데 사용되어진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fast -food 음식점은 종정 먹거나 일하는데 있어서 비인간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다. 버거를 위해 기다리는 줄, 차의 행렬속에서 사람들은 종종 마치 그들이 조립 작업 선에서 식사하는 것처럼 느끼며 햄버거를 만드는 사람들은 햄버거 조립 라인에서 일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조립 작업선은 결코 식사하기에 인간적인 구조가 아니다. 물론 일하기에도 비인격적인 구조이다. 이러한 비인간화는 매우 합리적인 fast-food 음식점이 극도로 비합리적이라는 증거들 중의 하나에 불과하다. 물론 fast-food음식점의 비합리적인 모습에 대한 비판은 맥도날드화 되어가는 사회의 모든 단면에까지 확장될 것이다.
Mcdonaldization 을 향한 세계곳곳의 앞뒤를 가리지 않은 돌진은 이로움이 있는가 없는가?
Mcdonaldization 으로부터 만들어지는 이익은 엄청나다. 그러나 거기에는 엄청난 비용과 상당한 위험이 따른다. 궁극적으로 우리는 이러한 합리적인 체계의 창조가 보다 더 큰 수의 불합리성을 창조하는지 의문을 가져야 한다. 최소한 우리는 Mcdonaldization 과 관련된 비용을 알 필요가 있다. 맥도날드와 다른 fast-food 모델들은 그들의 시스템으로부터 이윤을 내기위해 매년 수십억 달러를 쓴다. 그러나 그 시스템의 비판가들은 그들 생각의 배출구를 찾지 못하고 있다. 이런한 비판을 가하면서 한 정당한 질문이 나올 수 있다. “이러한 Mcdonaldization에 대한 비평이 과거에 대한 낭만 그리고 더이상 존재하지 않는 세계로의 회귀라는 불가능한 욕구를 살리자는 것입니까?”
몇몇 비평가들에겐 이것은 확실히 그렇다., 그러나 비록 그들이 나름대로의 관점을 가지고 있을지라도 그들은 확실히 맥도날드 이전의 세계의 긍정적인 면을 과장했다. 그리고 그들은 그러한 세계에서의 의무를 잊어버리는 경향이 있다. 보다 더 중요한 것은 그들-위의 의문을 제시하는 사람들-은 “우리가 그런 세계로 돌아가고 있지 않다”라는 사실을 깨닫지 못하는 것 같다. Mcdonaldization 에 관한 비평의 한 가지 근본은 과거이고 다른 한가지는 미래이다. 이런 의미에서 미래는 사람들이 합리적인 시스템의 강요에 의해 속박받지 않는다면 잠재성을 가질 수 있는 곳이다. 이 비평은 사람들이 지금보다 훨신 더 사려 깊고 능력있고 창의적이며 두루 잘 할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지만 합리적인 세계의 속박때문에 이 잠재력을 표현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만약 이 세계가 보다 덜 합리적이거나 심지어 비합리적이라면 사람들은 그들의 인간적인 잠재력에 따라 더 잘 살수 있을 것이다. 이 비평은,만약 맥도날드화된 시스템의 강요가 제거되거나 아니면 적어도 많이 완화되어진다면 사람들이 과거에 어떠했는가 보다는 미래에 어떻게 될 것인가에 촛점을 맞추어야 한다고 말한다.
Ⅸ. 결론
세계의 기업중 고도의 성장과 최대의 매출을 기록하고 있는 회사는 많다. 또한 입지적인 역사를 자랑하는 기업 또한 무수히 많다. 그러나 미국의 96%, 세계인의 절반이상이 이용하는 기업 맥도날드는 햄버거를 주로 하여 밀크세이커와 프렌치 프라이라는 지극히 평범하고 값이 싼 대중적인 즉석 식품을 가지고 철강업과 자동차 산업에 뒤지지 않는 세계최고의 기업으로 성장한 맥도날드야 말로 신화적인 기업, 진정한 초일류 기업이라고 보아야겠다. 맥도날드는 매년14억 달러를 들여 전 세계에 광고를 하고 있다. 광고의 상징인 어릿광대의 로널드는 모든 미국 아이들로부터 산타클로스 대접을 받고 있으며, 코카콜라, 성인잡지 플레이보이와 함께 미국식 자본주의를 상징하는 3대 상품으로 꼽히고 있다.
맥도날드는 프랜차이즈 주로 이제 \"미국의 맥도날드\"에서 \"세계의 맥도날드\"로 자리를 잡았다. 철(鐵)의 장막, 소련이 무너지고 모스크바에 가장 먼저 진출한 미국 기업중의 하나가 바로 맥도날드이며, 죽(竹)의 장막, 중국이 개방화를 진행하면서 가장 먼저 들어선 미국 기업의 간판이 역시 맥도날드였다. 게다가 외식 산업계에서는 어느 회사도 따르지 못할 만큼 많은 점포와 위성점포(satelite shop)를 가지고 있으며, 또한 맥도날드의 햄버거 가격으로 환율을 평가하는 빅맥지수주가 상용화되어 있는 시점에서 \"제한된 메뉴들을 대상으로 고객에게 신속하고 일관성 있는 패스트푸드를 제공하는 기업이 맥도날드다\"라는 표현은 어울리지 않는다. 우리의 눈앞에 다가와 있는 맥도날드의 과거와 현재의 전략분석에 대한 집중적인 연구는 맥도날드가 어떻게 패스트 푸드업계에서 선두주자가 될 수 있었는지를 보여 줄 뿐만 아니라 새로운 시대 개척에 새로운 지표가 될 것이다.
  • 가격5,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7.07.16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09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