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호학적 코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호학적 코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코드: 기호학의 기본 개념.

2.코드의 종류
1)Social Code
2)Textual Code
3)Interpretaton Code(해설적 코드)
4)지각코드

3. 코드에 대한 설명
1) Social Code
2) Textual Code

4. Codes of realism

5. 눈에 보이지 않는 편집
1)eyeline match(시선의 일치)
2)Establishing shot
3)리버스 샷
4)리액션 샷(대응 쇼트)
5)소리코드

6.문자코드의 상호작용

7.codification(코드화)

본문내용

사용한다.
4) 리액션 샷(대응 쇼트)
촬영 대상인의 말과 행동이 주변 사람에게 미치는 반응을 촬영하는 샷 또는 촬영하는 것
:이런 영화의 편집코드는 우리에게 너무 익숙해서 그 관행들이 지켜지지 않았을 때에야 비로소 그것을 인식한다.
->이론가들이 시각코드를 강조하는 이유는 이러한 것들이 영화,tv라디오(오디오+영상)같은 다양한 매체에서 전달되어지고 만들어져 적용되기 때문이다.
5)소리코드
'실제 이미지와 실제 소리'코드를 사용할 때조차, 연출은 재현된 리얼리티가 허구임을 단번에 특징짓는 거리(distance) 두기 방법을 쓴다.
(1)diegesis(디에게시스):디에게시스는 이야기를 형식적·체계적 구조로서 취급하며, 이야기가 기능하는 방식을 연구하고 이야기를 지배하는 코드(code)와 전의(轉義)를 찾아내는 것을 주요 과제로 삼는 서사학에서 특히 중시되는 개념이다.
(2)hierachy:대화가 배경음향보다 우선해야 한다.
(3)seamlessness:매끄러움. 은향의 파이나 갑작스런 변화가 없어야 한다.
(4)integration:통합. 이미지 없는 음향은 없고 음향없는 이미지는 없다.
(5)readability:용이함. 모든 소리는 감지될 수 있어야 한다.
(6)motivation:동기. 특이한 음향은 어떤 인물들이 들을 수 있도록 되어있어야만 한다.
6.문자코드의 상호작용
-어떤 문자건 하나의 코드가 아니라 여러 코드를 사용한다.
Ronald Barthes(롤랑 바르뜨)의 문학문자
(1)설명적 코드:화자의 전환점
(2)proairetic:기본적 이야기행동
(2)문화적 코드:이전 사회적 지식
(3)기호적 코드:매체관련코드
(4)상식적 코드:주제
-->코드들은 상호역할을 하여 분석되어진다. 기호들이 다른 시호들과의 관계속에서 분석되어질 필요가 있듯이 코드들도 다른 코드들과의 관계에서 분석되어질 필요가 있다.
7.codification(코드화)
코드들은 독창성이 있고 발전 진화한다. 시간이 지나면서 변화하는 동적인 체계이며, 역사적으로도 사회적으로도 자리를 잘 잡는다. 코드화는 관행이 성립되어가는 과정이다.
역사적 관점에서 새로운 매체의 많은 코드들이 현존하는 관련매체들의 코드로부터 발전된다. 새로운 관행들은 또한 매체의 기술적 가능성으로 코드가 사용될 수 있도록 발전된다.
-과학영역(논리코드: 내재된 함축의 해석과 다양성)
-예술영역(심미적 코드; 외재된 함축과 해석의 다양성)과도 연결된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7.07.17
  • 저작시기200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12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