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연구목적
연구문제와 가설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연구대상자의 특성 및 표본 수
연구 설계
자료수집방법과 측정도구
연구결과 및 결론
문헌고찰에 인용될 수 있는 중요한 인용문
* 논문요약을 마치며.......
연구문제와 가설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연구대상자의 특성 및 표본 수
연구 설계
자료수집방법과 측정도구
연구결과 및 결론
문헌고찰에 인용될 수 있는 중요한 인용문
* 논문요약을 마치며.......
본문내용
에 비해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 중 우리가 특히 주목해야 할 부분은 간호사 자신이 스스로의 가치를 낮게 평가하고 있다는 사실인 것이다. 간호사들이 스스로의 지위를 낮추어 “나는 간호사일 뿐이야”,“ 나는 의사의 지시에 따랐을 뿐이야”등으로 말하는 한 , 그리고 간호사들이 의사만큼 환자간호를 중요한 역할로 인정하지 않는 한 간호사상은 변화하지 않을 것이다.
의사나 타 부서 직원이 간호사를 부정적으로 생각하든 보조자로 생각하든 간호사 스스로가 자신의 하는 일에 가치를 부여하고 의료팀의 일원으로 국민건강에 이바지 하는 전문인이라는 자부심을 갖지 않는 한, 즉 스스로에 대해 긍정적이지 않는 한 간호이미지의 개선은 이루어질 수 없을 것이다. 이제 우리 간호사들은 전문인으로서의 간호사상을 확립하기 위해 과거의 부정적, 비난적인 행동양상에서 벗어나 새로운 긍정적인 사고와 행동양식을 개발해나가야 할 중요한 시점에 있다고 하겠다.
문헌고찰에 인용될 수 있는 중요한 인용문
Strasen(1989)는 간호사는 잠재적으로 힘을 많이 가진 환경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스스로를 무언가 통제할 수 있는 위치에 있다고 자각하지 못하고 있음을 지적한 바 있다.
Winter(1985) 도 의사가 간호사에 비해 스스로를 높게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직도 간호사는 의사에 비해 스스로 더 낮은 지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지각하였다.
Rosemary(1989)등도 간호상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평가한 연구에서
1) 간호사에 대한 긍정적인 어휘를 제세했을 때 의사의 경우 100%가 긍정적 반응, 일반 대중의 경우 84%, 간호사의 72% 만이 긍정의 반응을 보였다고 하였으며 2)간호사를 묘사하기 위해 사용한 어휘를 분석했을 때 의사의 경우 23%에서 “효율적인”, “능력 있는”, “전문적인”,“조직적인”과 같은 용어로 간호사를 명명한 반면 이러한 어휘를 사용하여 자신의 직업을 정의한 간호사는 11%에 불과했으며 3)간호사를 저의하는데 사용한 어휘를 분석하였을 때 의사의 경우 23%에서 “최상의”, “중요한”, “가치있는”, “존경할만한”등의 용어를 사용한 반면 간호사에서는 1만 명이 이와 유사한 용어를 사용하였을 뿐 대부분이 “과중한 업무”,“과다한 긴장”,“무시당한”,“평가이하의”등의 용어를 사용하여 간호사를 정의하였다고 보고하였다.
* 논문요약을 마치며.......
이번 논문이 저희조가 준비한 “간호사와 환자간의 간호사 이미지 비교분석”이라는 논문주제와는 약간 차이가 있지만 간호사와 환자가 가지고 있는 간호사이미지에 대해 비교분석했다는 공통점 아래에 이번 논문을 선택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이 논문이 1994년에 작성된 것이라 꽤 예전 자료임에도 불구하고 선택하게 된 것은 약 10년 전의 간호이미지에 대한 사람들의 견해와 간호사의 권리가 많이 향상된 현재에 있어서 사람들의 인식에 어떤 변화가 있을지 혹은 변화가 없을지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서 입니다. 이번 논문을 요약하며 저희조가 준비하고 있는 주제에 대해 더 잘 알 수 있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이러한 결과 중 우리가 특히 주목해야 할 부분은 간호사 자신이 스스로의 가치를 낮게 평가하고 있다는 사실인 것이다. 간호사들이 스스로의 지위를 낮추어 “나는 간호사일 뿐이야”,“ 나는 의사의 지시에 따랐을 뿐이야”등으로 말하는 한 , 그리고 간호사들이 의사만큼 환자간호를 중요한 역할로 인정하지 않는 한 간호사상은 변화하지 않을 것이다.
의사나 타 부서 직원이 간호사를 부정적으로 생각하든 보조자로 생각하든 간호사 스스로가 자신의 하는 일에 가치를 부여하고 의료팀의 일원으로 국민건강에 이바지 하는 전문인이라는 자부심을 갖지 않는 한, 즉 스스로에 대해 긍정적이지 않는 한 간호이미지의 개선은 이루어질 수 없을 것이다. 이제 우리 간호사들은 전문인으로서의 간호사상을 확립하기 위해 과거의 부정적, 비난적인 행동양상에서 벗어나 새로운 긍정적인 사고와 행동양식을 개발해나가야 할 중요한 시점에 있다고 하겠다.
문헌고찰에 인용될 수 있는 중요한 인용문
Strasen(1989)는 간호사는 잠재적으로 힘을 많이 가진 환경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스스로를 무언가 통제할 수 있는 위치에 있다고 자각하지 못하고 있음을 지적한 바 있다.
Winter(1985) 도 의사가 간호사에 비해 스스로를 높게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직도 간호사는 의사에 비해 스스로 더 낮은 지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지각하였다.
Rosemary(1989)등도 간호상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평가한 연구에서
1) 간호사에 대한 긍정적인 어휘를 제세했을 때 의사의 경우 100%가 긍정적 반응, 일반 대중의 경우 84%, 간호사의 72% 만이 긍정의 반응을 보였다고 하였으며 2)간호사를 묘사하기 위해 사용한 어휘를 분석했을 때 의사의 경우 23%에서 “효율적인”, “능력 있는”, “전문적인”,“조직적인”과 같은 용어로 간호사를 명명한 반면 이러한 어휘를 사용하여 자신의 직업을 정의한 간호사는 11%에 불과했으며 3)간호사를 저의하는데 사용한 어휘를 분석하였을 때 의사의 경우 23%에서 “최상의”, “중요한”, “가치있는”, “존경할만한”등의 용어를 사용한 반면 간호사에서는 1만 명이 이와 유사한 용어를 사용하였을 뿐 대부분이 “과중한 업무”,“과다한 긴장”,“무시당한”,“평가이하의”등의 용어를 사용하여 간호사를 정의하였다고 보고하였다.
* 논문요약을 마치며.......
이번 논문이 저희조가 준비한 “간호사와 환자간의 간호사 이미지 비교분석”이라는 논문주제와는 약간 차이가 있지만 간호사와 환자가 가지고 있는 간호사이미지에 대해 비교분석했다는 공통점 아래에 이번 논문을 선택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이 논문이 1994년에 작성된 것이라 꽤 예전 자료임에도 불구하고 선택하게 된 것은 약 10년 전의 간호이미지에 대한 사람들의 견해와 간호사의 권리가 많이 향상된 현재에 있어서 사람들의 인식에 어떤 변화가 있을지 혹은 변화가 없을지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서 입니다. 이번 논문을 요약하며 저희조가 준비하고 있는 주제에 대해 더 잘 알 수 있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추천자료
강박증 간호 과정 사례 연구
모성간호학실습 : 제왕절개술 사례연구
간호학생의 임상실습에 대한 만족도 조사연구
여성건강간호학실습, 정상분만케이스, 정상분만, 분만실케이스, 정상분만사례연구보고서, 정...
[간호학과] 당뇨병성 케톤산증 사례연구 case study
맹장염 case (맹장염 간호과정, 맹장염 사례연구, 맹장염 케이스, 맹장염, appendicitis case...
pelvis Fx 케이스 (pelvis fracture 케이스, 골반골절 케이스, 골반골절 간호과정, pelvis fr...
GB stone, cholecystitis 케이스 스터디 (GB stone으로인한 cholecystitis 케이스 입니다.) -...
CBD stone 담석증 A+ 교수님이 예문사용한다하심 (담석증 케이스, 담석 케이스 스터디, CBD s...
급성 심근경색증 케이스 스터디 (Myocardial infarction) - 심근경색증 케이스, 심근경색증 ...
급성신우신염 케이스 스터디 A+ (급성 신우신염, 케이스 스터디, 급성신우신염 간호과정, 급...
녹내장 케이스 스터디 A+ (녹내장 케이스 스터디, 녹내장케이스, 녹내장 간호과정, 녹내장 간...
폐부종 (pulmonary edema) - 폐부종 케이스 스터디, 폐부종 CASE STUDY, pulmonary edema 간...
직장암 케이스 스터디 A+ (직장암 케이스, 직장암 케이스 스터디, 직장암 간호과정, 직장암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