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케이션네트워크유형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커뮤니케이션네트워크유형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개념

2. 네트워크의 구조
1) 시스템 네트워크, 동아리, 개인네트워크
2) 거미줄형 네트워크, 방사형 네트워크

3. 네트워크 분석의 의의

4. 네트워크 분석의 방법
1) 소집단 네트워크에 대한 실험실 실험
(1) 바벨라스의 연구
(2) 쇼의 연구
(3) 전체적인 결론
2) 소시오메트리자료에 의한 네트워크 분석
3) 네트워크 분석의 절차
4) 네트워크 분석의 어려움

참고문헌

본문내용

릭스를 커뮤니매트릭스라고 하며, 한 체계 내 구성원 사이의 관계를 도형적으로 표시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응답자1이 나는 누구누구와 빈번히 접촉한다고 진술한 내용을 토대로 그 누구누구인 사람이 다시 누구누구와 빈번히 접촉한다고 응답했는지 계속 추적해 나간다면 접촉의 빈도가 특별히 많은 한 집단을 골라낼 수 있다. 우선 응답자 1을 기준으로 한 집단참색이 모두 끝나면 응답자2를 중심으로 한(응답자 2가 응답자1의 집단에 소속되지 않았다고 하였을 때) 똑같은 방법의 집단 탐색을 한다. 이런 식으로 계속하여 나가면 분석대상이 된 조직 전체를 몇 개의 하위집단 또는 동아리로 묶을 수 있을 것이다.
▶ 결과
- 고립자(isolate) : 어느 하위집단에도 속하지 않고 다른 성원과의 커뮤니케이션 접촉이 전 혀 없는 사람
- 집단성원(group members) : 고립되지 않고 하위집단 속에 들어있는 사람들 중에서도 자 기 집단내의 사람들과만 접촉을 하는 사람 (주된 접촉대상을 집단 내에만 가진 사람)
- 연결자(linker) 또는 시멘트(cement) : 여타의 사람. 다시 교량역(bridge)과 연락자(liason) 로 나눌 수 있다.
교량역과 연락자 : 둘은 비슷하지만 교량역이란 동시에 두 개 이상의 집단 구성원으로 분류될 수 있는 사람을 말하며, 연락자란 스스로는 어느 집단의 구성원이 아니면서도 두 개 이상의 집단과 접촉을 갖고 집단과 집단 사이를 연결시켜주는 사람을 말한다.
⇒ 이러한 연결자 역할에 대한 초점은 조직 내의 비공식 하위집단을 통합하는 것이 조 직커뮤니케이션의 주요기능이라는 것을 깨닫게 한다.
소시오메트리구조
3) 네트워크 분석의 절차
1. 전체 체계 속에서 동아리를 식별하여 동아리가 조직 속에서의 커뮤니케이션 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본다.
2. 연결자, 교량역, 고립자와 같은 특징의 전문화된 커뮤니케이션 역할을 식별한다.(이렇게 함으로써 비교적 간단한 ‘여론 지도자’ 차원을 넘어선 커뮤니케이션 과정에 대한 분석을 가능케 한다).
3. 커뮤니케이션 통합이나 연결성 그리고 체계 개방성과 개인, 동아리, 또는 전체 체계에 대한 여러 측면의 구조적 지표(커뮤니케이션 통합, 연결성, 체계 개방성)를 측정한다.
4) 네트워크 분석의 어려움
네트워크 분석은 분석의 추점을 관계분석에 두게 된 것 뿐만 아니라 연구대상 표집을 개인단위로 하지 않고 조직 단위로 한다. 또 커뮤니케이션 흐름에 대한 구조의 효과를 이해하는 데에 더 크게 초점을 맞추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일반화시키는 능력은 감소된다. 왜냐하면 구조의 효과에 대한 이해는 개별단위의 조직에 대한 사례연구 성격의 구체적 연구로만 가능하기 때문이다.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를 분석하는 데에 적지 않은 어려움이 수반되지만 그 중의 하나는 한 체계 내에서의 구성원들 사이의 커뮤니케이션 관계는 유동적이고 유동적이기 때문에 그것을 고정된 것으로 파악하기가 쉽지 않다는 것이다.
조직 속에서 일상의 인간관계는 느슨하게 얽혀 빈번하고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게 마련이다. 이것을 ‘느슨한 관계’(weak ties)라고 부른다. 사실상 보통의 조직 속에서 그러한 느슨한 관계를 통해서 교환되는 정보의 양보다 훨씬 풍부함에도 ‘느슨한 관계’에 대해서는 분석의 마땅한 방법이 없기 때문에 오히려 방기해 버리고 마는 것이다. 그리고서 고착적이고 고정적인 관계만을 주로 파악하게 되는데, 그것이 네트워크 분석이며 ‘강력한 관계’(strong ties)라고 부른다. 즉, 강력한 관계란 일상의 상호작용 가운데서도 보다 빈번하고 밀착된 관계를 말한다.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라는 것은 조직들을 여러 개의 체계로 묶는 실타래와 같다. 그들은 중요하지만 수가 많기 때문에 연구하기가 어렵다.
조직 네트워크 분석에서 또 하나 문제가 되는 것은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가 단일세트만 나타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다루고 있는 주제에 따라 여러 개의 네트워크로 중첩되어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
전자를 단일세트 네트워크, 중첩세트 네트워크라고 부를 수 있다. 벌로(David K. Berlo and others) 등의 연구사례는 이것을 보여주고 있다. 미국의 연방정부 기관에 있어서 업무관계로 맺어지는 구성원들의 네트워크로는 다루고자 하는 주제가 혁신에 관한 것과 유지에 관한 것이 이중적으로 형성되어 있었다.
#자료출처#
조직 커뮤니케이션 원론/오두범/서울대학교 출판부
커뮤니케이션과 조직/이종화/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집단행위에 관한 이해 / (주)휴넷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7.07.22
  • 저작시기2007.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19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