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II. 본론
1. 기업 간 비교
(1) 부채비율
(2) 주가
(3) 재무비율
2. 기업별 분석
(1) 롯데제과
1) 부채비율과 주가
2) 부채비율과 주가 상관분석
3) 부채와 재무비율
4) 부채와 재무비율 상관분석
(2) 오리온
1) 부채비율과 주가
2) 부채비율과 주가 상관분석
3) 부채비율과 재무비율
4) 부채비율과 재무비율 상관분석
(3) 크라운 제과
1) 부채비율과 주가
2) 부채비율과 주가 상관분석
3) 부채비율과 재무비율
4) 부채비율과 재무비율 상관분석
III. 결론
1. 부채비율과 주가
2. 부채비율과 재무비율
3. 종합
II. 본론
1. 기업 간 비교
(1) 부채비율
(2) 주가
(3) 재무비율
2. 기업별 분석
(1) 롯데제과
1) 부채비율과 주가
2) 부채비율과 주가 상관분석
3) 부채와 재무비율
4) 부채와 재무비율 상관분석
(2) 오리온
1) 부채비율과 주가
2) 부채비율과 주가 상관분석
3) 부채비율과 재무비율
4) 부채비율과 재무비율 상관분석
(3) 크라운 제과
1) 부채비율과 주가
2) 부채비율과 주가 상관분석
3) 부채비율과 재무비율
4) 부채비율과 재무비율 상관분석
III. 결론
1. 부채비율과 주가
2. 부채비율과 재무비율
3. 종합
본문내용
단위, %, 원)
<그림 5. 크라운 부채비율과 주가 변동추이>
(단위 : %, 원 )
2) 부채비율과 주가 상관분석
크라운의 부채비율과 주가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보여진다.
3) 부채비율과 재무비율
<표 9. 크라운 주요 재무비율>
(단위 : % )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부채비율
829.61
3940
465.1
307.52
305.52
226.29
147.4
163
196.96
229.15
매출액증가율
24.62
-0.91
2.66
0.67
1.08
4.36
5.7
3.66
2.48
9.3
총자본증가율
26.09
20.97
57.12
-13.17
-1.31
-7.86
-7.81
12.97
25.22
-2.98
유형자산증가율
2.76
67.82
163.49
-20.46
-1.55
-9.02
-7.57
-5.09
4.23
-3.65
영업이익증가율
1.14
-94.58
4406
62.25
-18.31
-9.63
-4
-18.78
-1.81
-4.24
경상이익증가율
94.15
0
0
0
0
0
319.32
-42.2
-4.28
0
매출액영업이익률
3.03
0.17
7.26
11.7
9.46
8.19
7.44
5.83
5.58
4.89
매출액경상이익률
0.64
-5.2
-2.82
1.99
-0.45
2.32
9.21
5.13
4.8
-4.78
총자본순이익률
0.45
-6.35
-8.11
-3.1
0.04
3.49
7.08
3.95
3.93
-4.99
자기자본순이익률
3.75
-102
-68.85
-14.83
0.17
12.69
20.05
10.1
11.03
-15.58
4) 부채비율과 재무비율 상관분석
수익성지표인 매출액경상이익률(-0.532)이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특히 매출액영업이익률(-0.706)과 자기자본순이익률(-0.793)은 아주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그 모습은 부채비율이 줄어들 때 증가하는 모습이다.
III. 결론
1. 부채비율과 주가
부채비율과 주가는 롯데와 오리온에서는 높은 음의 상관관계가 나왔고, 크라운에서는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크라운이 예외적인 모습을 보였지만 아마 대부분의 기업에서 부채비율과 주가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일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두 가지 해석이 가능할 것 같다. 첫째는 위 세 기업뿐만 아니라 부채비율과 주가의 변동추이는 국내 대부분의 기업이 비슷한 모습을 보인다. 외환위기 이후 재무구조 개선 요구가 강해지고 사회적으로 낮은 부채비율을 선호함에 따라 기업들은 앞다투어 부채비율을 낮춰 왔고, 외환위기 이후 1998년을 기점으로 국내 증시가 회복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 이유가 아니더라도 부채비율과 주가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일 것이다. 주가는 과거, 현재, 미래의 정보/예측/기대가 종합적으로 반영되어 결정된다고 했을 때 안정성/재무건전성의 척도인 부채비율 역시 주가에 반영될 것이며, 국내의 경우 국내외 투자자들이 낮은 부채비율을 크게 선호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결론적으로 부채비율의 감소는 주가의 상승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2. 부채비율과 재무비율
우리 팀은 기업가치의 척도를 나타내는 재무비율로 성장성지표와 수익성지표를 사용하였다. 먼저 부채비율과 성장성지표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롯데와 오리온에서 매출액증가율이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부채비율이 높을 때 높게 나타났던 성장성지표가 부채비율이 낮아지자 낮은 수치를 보인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두 가지 해석이 가능 할 것 같다. 첫째는 제과업의 특성상 이미 성숙기를 지난 사업이기 때문에 성장성이 다른 업종에 비해서 낮게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 둘째, 앞서 언급했지만 기업은 부채를 차입함으로써 차입하지 않았을 때 포기했어야했던 양의 NPV를 갖는 사업과 투자를 진행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법인세 절감효과까지 얻는다. 물론 위험에 따른 비용도 고려하여야 한다. 결론적으로 부채비율이 낮아짐에 따라 성장성지표가 낮게 나타난 것은 과소부채로 인한 과소투자로 인해 성장 동력이 낮아졌기 때문으로 해석가능하다. 아쉽게도 나머지 비율들에서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찾기가 힘들었는데 그 이유를 살펴보면 세 기업의 성장성관련 재무비율이 그 변동이 심하게 나타났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부채비율과 수익성지표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세 기업 모두에서 대부분의 수익성 지표가 높은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아주 높은 상관관계를 보인 경우도 많았다. 부채비율이 낮아질 때 수익성지표는 높게 나타난 것이다. 케이스의 숫자나 높은 상관정도로 보았을 때 부채비율과 수익성 사이에는 상당한 인과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보인다.
3. 종합
앞서 말했듯이 상관분석으로는 두 변수의 상관관계와 상관성의 정도만 알 수 있을 뿐 이다. 여기서 상관관계란 인과관계와 다르며, 상관관계의 원인이나, 한 변수가 다른 변수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한 변수의 변화로 다른 변수의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지 등은 다음 단계인 회귀분석 등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상관분석은 연구의 기초가 되고, 분석방법이 쉽고 이해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다.
우리 팀은 자본구조와 기업가치의 관계에 대한 의문을 가지고 그 상관성을 파악하는데서 프로젝트를 마치기로 하였다. 이번 프로젝트의 규모가 그리 크지 않은데다가, 우리의 역량으로 벅찬 부분이 있었기 때문이기도 하다. 그래서 우리는 우리 힘으로 가능한 부분까지 최선을 다하기로 했고, 그 결과가 위와 같다. 사실 문제를 단순화하기 위해 부채비율과 기업가치의 관계를 선형관계로 가정하였지만 실제는 그렇지 않다는 것을 우리는 모두 알고 있다. 다만 프로젝트의 규모에 맞게 문제를 단순화하고, 우리의 생각으로 새롭게 접근해보고자 하는 의도에서 그리 하였던 것이다. 다음에 공부를 더하고 좀 더 큰 규모의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이번 내용을 바탕으로 자본구조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구체적인 영향, 기업가치를 극대화 시키는 최적자본구조, 기업가치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의 종합적인 분석 등을 한다면 자본구조와 기업가치에 대한 이해가 깊어질 것 같다는 생각을 끝으로 이번 프로젝트를 마치려고 한다.
<그림 5. 크라운 부채비율과 주가 변동추이>
(단위 : %, 원 )
2) 부채비율과 주가 상관분석
크라운의 부채비율과 주가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보여진다.
3) 부채비율과 재무비율
<표 9. 크라운 주요 재무비율>
(단위 : % )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부채비율
829.61
3940
465.1
307.52
305.52
226.29
147.4
163
196.96
229.15
매출액증가율
24.62
-0.91
2.66
0.67
1.08
4.36
5.7
3.66
2.48
9.3
총자본증가율
26.09
20.97
57.12
-13.17
-1.31
-7.86
-7.81
12.97
25.22
-2.98
유형자산증가율
2.76
67.82
163.49
-20.46
-1.55
-9.02
-7.57
-5.09
4.23
-3.65
영업이익증가율
1.14
-94.58
4406
62.25
-18.31
-9.63
-4
-18.78
-1.81
-4.24
경상이익증가율
94.15
0
0
0
0
0
319.32
-42.2
-4.28
0
매출액영업이익률
3.03
0.17
7.26
11.7
9.46
8.19
7.44
5.83
5.58
4.89
매출액경상이익률
0.64
-5.2
-2.82
1.99
-0.45
2.32
9.21
5.13
4.8
-4.78
총자본순이익률
0.45
-6.35
-8.11
-3.1
0.04
3.49
7.08
3.95
3.93
-4.99
자기자본순이익률
3.75
-102
-68.85
-14.83
0.17
12.69
20.05
10.1
11.03
-15.58
4) 부채비율과 재무비율 상관분석
수익성지표인 매출액경상이익률(-0.532)이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특히 매출액영업이익률(-0.706)과 자기자본순이익률(-0.793)은 아주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그 모습은 부채비율이 줄어들 때 증가하는 모습이다.
III. 결론
1. 부채비율과 주가
부채비율과 주가는 롯데와 오리온에서는 높은 음의 상관관계가 나왔고, 크라운에서는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크라운이 예외적인 모습을 보였지만 아마 대부분의 기업에서 부채비율과 주가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일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두 가지 해석이 가능할 것 같다. 첫째는 위 세 기업뿐만 아니라 부채비율과 주가의 변동추이는 국내 대부분의 기업이 비슷한 모습을 보인다. 외환위기 이후 재무구조 개선 요구가 강해지고 사회적으로 낮은 부채비율을 선호함에 따라 기업들은 앞다투어 부채비율을 낮춰 왔고, 외환위기 이후 1998년을 기점으로 국내 증시가 회복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 이유가 아니더라도 부채비율과 주가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일 것이다. 주가는 과거, 현재, 미래의 정보/예측/기대가 종합적으로 반영되어 결정된다고 했을 때 안정성/재무건전성의 척도인 부채비율 역시 주가에 반영될 것이며, 국내의 경우 국내외 투자자들이 낮은 부채비율을 크게 선호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결론적으로 부채비율의 감소는 주가의 상승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2. 부채비율과 재무비율
우리 팀은 기업가치의 척도를 나타내는 재무비율로 성장성지표와 수익성지표를 사용하였다. 먼저 부채비율과 성장성지표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롯데와 오리온에서 매출액증가율이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부채비율이 높을 때 높게 나타났던 성장성지표가 부채비율이 낮아지자 낮은 수치를 보인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두 가지 해석이 가능 할 것 같다. 첫째는 제과업의 특성상 이미 성숙기를 지난 사업이기 때문에 성장성이 다른 업종에 비해서 낮게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 둘째, 앞서 언급했지만 기업은 부채를 차입함으로써 차입하지 않았을 때 포기했어야했던 양의 NPV를 갖는 사업과 투자를 진행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법인세 절감효과까지 얻는다. 물론 위험에 따른 비용도 고려하여야 한다. 결론적으로 부채비율이 낮아짐에 따라 성장성지표가 낮게 나타난 것은 과소부채로 인한 과소투자로 인해 성장 동력이 낮아졌기 때문으로 해석가능하다. 아쉽게도 나머지 비율들에서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찾기가 힘들었는데 그 이유를 살펴보면 세 기업의 성장성관련 재무비율이 그 변동이 심하게 나타났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부채비율과 수익성지표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세 기업 모두에서 대부분의 수익성 지표가 높은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아주 높은 상관관계를 보인 경우도 많았다. 부채비율이 낮아질 때 수익성지표는 높게 나타난 것이다. 케이스의 숫자나 높은 상관정도로 보았을 때 부채비율과 수익성 사이에는 상당한 인과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보인다.
3. 종합
앞서 말했듯이 상관분석으로는 두 변수의 상관관계와 상관성의 정도만 알 수 있을 뿐 이다. 여기서 상관관계란 인과관계와 다르며, 상관관계의 원인이나, 한 변수가 다른 변수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한 변수의 변화로 다른 변수의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지 등은 다음 단계인 회귀분석 등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상관분석은 연구의 기초가 되고, 분석방법이 쉽고 이해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다.
우리 팀은 자본구조와 기업가치의 관계에 대한 의문을 가지고 그 상관성을 파악하는데서 프로젝트를 마치기로 하였다. 이번 프로젝트의 규모가 그리 크지 않은데다가, 우리의 역량으로 벅찬 부분이 있었기 때문이기도 하다. 그래서 우리는 우리 힘으로 가능한 부분까지 최선을 다하기로 했고, 그 결과가 위와 같다. 사실 문제를 단순화하기 위해 부채비율과 기업가치의 관계를 선형관계로 가정하였지만 실제는 그렇지 않다는 것을 우리는 모두 알고 있다. 다만 프로젝트의 규모에 맞게 문제를 단순화하고, 우리의 생각으로 새롭게 접근해보고자 하는 의도에서 그리 하였던 것이다. 다음에 공부를 더하고 좀 더 큰 규모의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이번 내용을 바탕으로 자본구조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구체적인 영향, 기업가치를 극대화 시키는 최적자본구조, 기업가치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의 종합적인 분석 등을 한다면 자본구조와 기업가치에 대한 이해가 깊어질 것 같다는 생각을 끝으로 이번 프로젝트를 마치려고 한다.
추천자료
재무구조와 국제부채
롯데하이마트(이마트) 재무분석(기업분석)
[기업분석] 동양생명보험 vs 알리안츠생명보험 재무분석 (2009~2011)
[기업분석] 동부화재해상보험 재무제표분석 (2009~2011)
[부채만기구조, 부채만기구조와 대리인비용, 부채만기구조와 신용등급, 부채만기구조와 세금,...
[재무관리]재무관리의 개념, 재무관리의 발전단계, 재무관리의 기능, 재무관리의 시스템(PFMS...
[재무][재무리스크][재무위험][재무제표][재무보고][재무비율][재무행정][재무리스크][재무위...
[경영전략] (A+자료) 삼성전자의 기업분석 및 경영분석,재무분석.ppt
[경영전략] (A+) LG전자의 기업분석 및 경영분석,재무분석.ppt
[기업분석] 삼성전자와 LG전자의 재무제표분석.ppt
[기업구조][금융시장구조][연구개발투자구조][부채구조][회계구조][자본구조][지배구조]기업...
[기업분석] STX조선과 삼성중공업의 재무제표분석 (2005-2007)
강원랜드 기업분석 보고서 [강원랜드 재무분석, SWOT분석, 가치평가, 재무제표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