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종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종이란?

2.범종의 기원

3.한국종의 기원

4.한국종의 고난과 분포

5.한국종의 위치명칭과
용어설명

6.시대별 종의 특징 및 변화

7.용뉴와 음통

8.비천상에서 불보살상으로…

9.한국종의 주조와 음률

10.학습과제

본문내용

ㄱ. 범종이란? (불교 사찰에서 사용되던 종)
- 불교를 의미하는 “梵”자를 붙임.
ㄴ.범종의 기원설 – 신뢰할 만한 자료는 없음.
①중국고동기기원설
- 鎛(박), 鉦(정), 鐘(종) 중 종의 모방
②종과탁혼합기원설 – 종과 탁
③건추(종의 범어 : 칸타)기원설
- 신빙성이 매우 떨어짐
⇒ ①, ②의 공통점 = 은, 주대의 예기에 속하는 악기에서 유래
ㄱ.신라시대의 종
①특징
-용뉴(단용)
: 독특한 특징, 종을 들어 올리고 있는 듯한 형상.
전지만을 지니고 있음.
-음통
-상대와 하대 등의 문양
: 반원권 문양
-불교적 상징 : 비천상
-2당좌 2비천상의 형태
ㄴ.고려시대의 종
①전기 : 1150년 이전
-신라시대 종의 양식을 유지함
-위패형 명문곽의 등장
ㄷ.조선시대의 종
①전기 : 16세기말 이전
-신라와 고려시대의 종의 형태를 지니지만 중국종의 양식을 도입
②후기 : 16세기말 이후
-전통양식의 상실
(한국범종의 아름다움 상실)
-중국종의 양식을 대거 도입
-새로운 형태의 종의 형식의 출현

키워드

  • 가격2,5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7.07.25
  • 저작시기2007.6
  • 파일형식파워포인트(ppt)
  • 자료번호#4225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