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지의 언어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잡지의 역사

일제시대 (1910~1945)

해방이후 (1945~1980)

현대 (1980~2006)

한글 사용 비율 통계

본문내용

제1기 잡지의 태동기( 1896~1910년 국권찬탈까지)
제2기 무단정치시대(1910~1919년)
제3기문화정치표방시기(1919~1936년)
제4기신민화정책시대(1931~1945년 해방 전까지),
제5기 해방 초기시대와 군부정권의 혼란시대(1945~1950년)
제6기 현대잡지시대(1950~1961년)
제7기 본격상업지시대(1970~1980년)
제8기 전문잡지시대(1980~현재)
지금 쓰이지 않는 단어
담바 - 담배
작난
불성공 - 실패
소학생 - 초등학생
뚜장이
밥광지   
일제시대 잡지언어의 특징
옛글을 사용하였다.
예) 둑겁이와 진에     
우리말 가운데 님이란 말흔 이상히
정다운 늣김을 주는 것 같다.
한자의 사용이 많았다.
예) 人生은 아름다운가.   (삼천리 -1921년)
    將兵을 울닌 女學生의 便紙 (삼천리-1921년)
표기법의 변화
보담 나슨 - 보다 낳은
음니다 - 습니다.
업시도 - 없이도
어떠게 – 어떻게
꿈인다 - 꾸민다
말슴 - 말씀
땅우에서 -땅위에서
지금 쓰이지 않는 단어
화냥년 – 정조없이 여러 남자들을 상대하는 여자
조박지 – 북한말로써 조각으로 된 물건
좌경적    
옹전
보리증산
기치밑에

키워드

잡지,   언어,   사투리
  • 가격2,9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07.07.27
  • 저작시기2007.5
  • 파일형식파워포인트(ppt)
  • 자료번호#4230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