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수평가자료]제주도 4.3 사건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우수평가자료]제주도 4.3 사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제주도 4.3 사건 >

1. 서 론

2. 본 론
1) 4.3사건은 어떻게 불러야 하는가?
2) 4.3 발발 원인
3) 4.3 전개과정
(1) 1948년 4월 3일
(2) 4.28 평화협상과 5.1 오라리 방화사건
(3) 5.10선거 거부 투쟁
(4) 박진경의 초토화작전
(5) 학살 - '삼광', '삼진‘ 작전
(6) 하산민들
(7) 지속되는 대학살과 항쟁의 종식
(8) 백조일손지지
4) 4.3의 피해와 의의

3. 결 론

- 참 고 문 헌 -

본문내용

대대적인 숙군을 단행하는 서막을 제공하는 동시에 대 게릴라 투쟁의 경험을 습득케 함으로써 이후의 남로당의 무장유격투쟁에 대응하는 정부의 자신감 및 능력을 고취시키는 데 기여하였다.
3. 결 론
제주 4.3사건은 공산세력의 주도로 일어난 사건으로 폄하되어 오랫동안 진상조사조차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그런 측면이 없지 않지만 사실상 이 사건은 대다수의 제주민중들이 분단을 저지하고 한민족의 통일을 지향했던 반외세 자주 항쟁으로 자리매김 되어야 할 것이다. 이 이유로 최근에 이 사건을 새롭게 보려는 노력이 가속화되어 가고 있으며, 이에 대한 추모도 계속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이 상처는 잊혀 지지 않았다. 제주도는 국회의원 선거 때마다 주로 무소속이 당선되던 땅이다. 이것은 그만큼 쉽게 편 가름에 끼어드는 것을 극도로 꺼린다는 뜻이다.
여러 가지 이유가 복합되어 나타난 이 제주 4.3 사건은 한 마디로 단정하기는 어려운 것이지만, 이제 우익이니 좌익이니 하는 것에서 벗어나 우리 역사와 사회를 다시 생각할 필요성이 있다. 편중된 시각에서 쫓다가 생긴 수많은 희생들을 기억하면서 우리는 앞으로 이러한 일이 생기지 않도록 반성하고 노력해야 할 것이다.
- 참 고 문 헌 -
- 김용운 / 한민족 르네상스 / 한문화 / 2002
- 허중권 / 바로 보는 한국근현대사 / 학연문화사 / 1998
- 신상준 / 제주도 4.3사건 / 한국복지행정연구소 / 2000
- 김상웅 / 한권으로 보는 해방후 정치사 100장면 / 가람기획 / 1999
- 박환 / 20세기 한국 근현대사 연구와 쟁점 / 국학자료원 / 2001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7.08.04
  • 저작시기2007.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39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