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평] 칼 로저스의 학습의 자유(freedom to learn)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서평] 칼 로저스의 학습의 자유(freedom to learn)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언

2. 가르쳐준다는 것의 의미

3. 학습의 자유와 책임

4. 자율적인 학습의 필수요소

5. 교사의 모형 비교 - 인간중심모형

6. 인간중심교육이론의 적용과 한계

7. 결언

본문내용

나의 전반적인 삶이 변한다. 이것을 확대하여 보자면, 교육에서의 교사들이 변해야 전반적인 교육이 변한다. 교사가 먼저 움직일 때, 학생들도 받아들이기 힘든 것이지만 그 자율성에 참여하려고 할 것이다.
7. 결언
사범대 학생으로서 ‘참교육’이라는 말을 자주 접하게 된다. 그러나 참교육을 외치는 사람들은 대부분 무엇이 진정한 참교육인지를 정의 내리지 못한다. 다만 참교육이라는 말은 오늘날 교육의 부정적인 면을 모두 개선한, 그저 유토피아적인 개념으로 쓰일 뿐이다. 그런데 이 책은 나에게 진정한 참교육의 의미를 조금이나마 환기해준 듯 하다.
인간 중심 교육. 학생들에게 자유를 준다는 것은, 교사가 먼저 참된 교육자가 된 후에야 가능한 것이라는 생각을 한다. 지금은 교사는 많되 스승이 없는 시대인 듯한 느낌이다. 지식만을 넣어주어 단지 점수만을 올려주려는 많은 교사들, 한술 더 떠 학부모에게 금전을 받고 학생의 점수를 허위로 조작하는 교사들, 인간적으로 다가가서 학생들이 지금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지, 무엇을 고민하는지를 살피지 않고 오로지 지식추구만을 위해 애쓰는 교사들에게, 한번쯤 돌아볼 수 있는 시간이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해본다.
쉽게 생각하자면 내가 여유롭고 편안해야 주위가 보이듯, 자기 자신이 나를 제대로 볼 줄 알아야만 학생들도 제대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보통 사람들에게도 자신의 가치를 알고 참된 내가 되고자 노력하는 것은 참으로 중요한 문제이고, 어쩌면 가장 쉽게 행복에 이르게 되는 길일지 모른다. 하물며 다른 사람들, 특히 아동들에게 영향을 끼쳐야 하는 교사들에게는 말할 것도 없을 것이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7.08.21
  • 저작시기2005.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54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