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교육 관련 용어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다감각법 多感覺法 TVA method :

1. 메인스트림교육 統合敎育, mainstream education, mainstreaming :

1. 아베롱의 야생아 The wild boy of Aveyrom :

1. 애착 愛着 attachment :

1. 작업치료 作業治療 occupational the-rapy :

1. 정상화 正常化 normalization :

1. 정서장애 情緖障碍 emotional disturbance, emotionally disturbed :

1. 통합교육 統合敎育 integrated education :

1. 학습장애 學習障碍 learning disability :

1. 훈맹정음 訓盲正音 :

본문내용

장애가 다른 장애조건(감각장애, 정신지체 및 사회적 정서장애)이나 환경적 영향(문화적 차이, 부적절한 교수, 심리언어학적 요인)과 함께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그것은 장애조건이나 환경적 영향의 직접적인 결과는 아니라고 하였다.
훈맹정음 訓盲正音 :
박두성 선생이 창안한 한글 점자를 지칭한다. 최초의 한글 점자는 1897년 홀(Hall)여사에 의하여 창안되었으나 4점형이므로 단점이 많았다. 그러므로 제생원 박두성 교사와 그 제자들은 조선어 점자연구위원회를 조직하고 6점형 한글 점자의 창안에 힘을 기울였다. 이 위원회가 32점자를 창안하였으나 자음의 초성과 종성이 구별되지 않아 1923년 새로운 한글 점자를 제자하기로 했다. 이 때에 조선어 점자 연구 위원회의 위원으로는 노학우, 왕석보, 김기환, 전태환, 이종덕, 이종황, 박봉래, 김영규의 8인이었다. 이들이 점자의 자모를 만들어 박두성 선생과 함께 토론을 거듭했다. 그 당시 12개의 안(案)이 있었는데 박두성 선생이 만든 안이 합리적으로 제자(製字)되어 채택되었다고 한다. 이로써 1926년 11월 4일 한글 점자가 탄생하게 되었다. 이를 훈맹정음이라했고 이것은 여러차례 수정보완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7.08.20
  • 저작시기2006.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55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