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뮬란을 보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화 뮬란을 보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을 맞추고 이야기를 전개해 나가고 있다. 저자는 {호한체제}란 작업가설에 맞추어 1993년 [목란시의 시대]란 논문을 발표하기도 했다. 목란의 활동을 통해서 위진남북조시대의 서민, 호족(유목민)과 한족(농경)의 생활이 융합된 그들의 모습을 그려내고 싶었던 거 같다.
실제로 [목란시]에서도 베를 짜는 여인은 농경민 즉 한족의 장기요, 기마는 유목민의 장기를 융합해서 쓰여 있다. 첫째장에서는 목란이 출정하는 모습, 둘째장에는 전장에서의 모습, 셋째장에는 12년간 중군 후 개선한 목란이 관직을 사양하고 고향으로 가는 모습을 그리고 마지막장에는 여성으로 돌아와 고향에서 즐거운 나날을 보내는 모습이 그려져 있다. 이는 민족의 애국심과 가족애를 강조 한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책에서는 군사제도에 대해서도 언급을 했었다. 춘추전국시대에 일반서민들을 상비군으로 놓고 진한시대에는 모든서민이 징병의 모체가 되었다. 그 이후 ‘병민합일제’가 전한시대까지 유지 되었다고 한다.
다만 아쉬웠던점이 있다면 목란이 영웅이었던 만큼 서로 다른 마을에서도 다 자기지역이 고향이라고 사당과 위패를 모시고 하는 모습에 대해 언급이 있었는데 왠지 모를 씁쓸함을 느꼈다. 우리나라에서도 옛날 위인들을 자기지역출신이라고 우기며 축제를 여는 모습을 볼 때와 흡사하였다.
이번 레포트를 통해 <뮬란>을 다시 한번 보면서 영상물의 영향력에 대해서 많은 생각을 하게 되었다. 세계적인 애니메이션 제작사인 월트디즈니에서 아시아, 그 중에서도 중국이란 서양사람들은 잘 알지 못하는 미지의 세계를 전 세계 어린이들과 어른에게 알려주었다. 중국 그 광활한 영토와 웅장한 만리장성, 이민족들의 침입과 전쟁, 또 그 속에서 사랑을 보여줌으로써 교과서에서 배우는 딱딱한 글자들이 아니라 자연스럽게 중국을 알게 하고 흥미를 느낄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 주었다고 생각한다. 또한 영상물은 실제 역사를 왜곡하거나 흥미와 재미를 위해서 각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니 어느 정도의 위험성도 가지고 있으니 잘 살펴서 보는 해안이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출처 및 참고:
http://www.thesea.co.kr/version/23thesea/22travelmain_1.htm
≪ 참고문헌 ≫ 朝鮮小說史 (金台俊, 學藝社, 1936), 애국계몽기 창작 고전소설의 한 양상(張孝鉉, 정신문화연구 41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0).
(자료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7.08.22
  • 저작시기2006.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58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