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curbit[6]uril synthesis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Cucurbit[6]uril synthesis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Purpose

2.Reagents & Apparatus

3. Theory

4. Method

5. Abstract

6. Observation

7. Result

8. Discussion

본문내용

ak 4.33~4.29ppm
④용매 H2O의 peak 4.78~4.80ppm
⑤TMS의 peak -0.05ppm
이론값
실험값
1H-NMR peak
H-proton
1H-NMR peak
H-proton
4.58
12H - singlet
-0.05
TMSO
5.85
12H - doublet
4.33~4.29
12H - doublet
5.95
12H - doublet
4.78~4.80
solvent
5.53
singlet
5.79~5.76
doublet
2) 생성물의 양 3.4356g
8. Discussion
위의 표에서 알수 있듯이 5.79~5.76ppm과 4.33~4.29ppm에서 doublet peak 가 나왔고 5.53ppm에서 singlet peak 가 나왔다.
위의 그림을 보면 알 수 있듯이 cucurbit[6]uril은 N에 붙어있는 CH2의 peak 이다. 두 영역에서 peak가 나왔는데 하나는 downfield에 나왔고 다른 하나는 upfield에 나왔다. 이러한 이유는 H는 공간상으로 쿠커비투릴의 위, 아래, 안, 밖으로 모두 존재할 수 있게 되는데 두 개 보두 doublet으로 나온 것으로 보아 안, 밖으로 존재하는 H일 것이다. pore쪽으로 나온 H가 ring current에 의해 deshielding되고, 밖으로 나온 singlet peak 는 오각 ring에 붙어 있는 H라고 볼 수 있다. 4.80ppm에서 나온 큰 singlet peak는 solvent이다. solvent peak의 크기가 다른 것들의 비해서 큰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생성물에 비해 solvent의 양이 많아서 그런것이라 생각된다. -0.05ppm에서 나온 peak는 TMS peak이다. 이번 실험에서는 여러 가지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될 수 있는 cucurbit[6]uril를 직접 제작하고 N에 있던 수소가 oxoanion에 붙은 후 염산의 수소와도 반응하여 OH2+로 되고 이것에 다른 glycoluril의 N이 공격하면서 polymer를 이루는 것이다. 이번 실험은 이전 실험들에 비해서 조금 힘들었다. 젤의 상태로 만들기 위해서 50℃를 넘지 않는 온도에서 가열을 해주고, 또 너무 가열만 하면서 저어주면 그냥 굳어져 버리므로 hot plate에서 내려놓고 식히면서 30~40분 정도 동안 계속 저어주었다. 계속 반복하다 보면 노란색의 젤상태가 되는데 황산을 첨갛기 위해 후드로 가는 도중 그만 젱리 굳어져 버렸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7.08.23
  • 저작시기2007.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60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