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사람들이 성인의 덕화에 힘입어 본래부터 가지고 태어난 밝은 성품[德]이 밝아지고 [明明德], 정신이 새롭게 되며[新民], 더 나아가서 지극한 선[止於至善]에 이르게 된다. 이와 같이 '중화의 도리를 지극하게 하는 것'[致中和]에 의해서 '지극한 선'[至善]에 이르는 사회가 곧 '대동 사회'(大同社會)이다. 이것을 종합해 보면, 인간 사회에 있어서 문화가 충분히 구비되지 못했던 상고(上古) 시절에 성인이 나와서 하늘의 이치[天理]에 근본하여 윤리를 밝게 하고 '대동'의 경지를 실현하였지만, 시대가 내려올수록 세상의 질서가 퇴화하여 교화와 윤리가 무너지고 '도학'(道學)이 끊어져서 공리설(功利說)에 떨어진 것으로 보고 있다. 율곡의 소망이기도 한 대동 사회는 전술한 것처럼 '치중화'(致中和)의 방법에 의해서 가능하게 된다. 이미 '중'(中)이란 천하의 대체(大體)이며, ,화,(和)란 천하의 달도(達道)이므로, 오로지 중화를 극진하게 함으로써만이 대동의 실현을 볼 수 있는 것이다. 이기(理氣)의 문제로 보면, 대동의 세계란 '전체적으로 한 태극'[統體一太極]으로서 '이'가 통하는 세계[理通]이면서, 동시에 '각지 그 본성을 다함'[各盡其性]으로써 '기'가 국한되어[氣局] 개성이 살아 있는 세계이다. 또한 인심 도심의 문제로 보면, 대동의 세계란 '인심'이 순화되고 '도심'이 발휘되는 세계이다. 총체적으로 율곡에 있어서 대동의 이상 세계란 '이통기국'의 세계요, 인심과 도심이 완전히 조화된 '치중화'의 세계이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경지에서만 온 세상이 공평하게 되어[天下爲公], 바깥 문을 열어 놓고 닫지 않고[外戶而不閉] 살아가는 인류의 이상 세계가 현실화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볼 때 율곡이 생각한 대동 사회의 모습이란 현대 산업 사회의 병폐 또는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출구를 열어 준다고 본다. 흔히 지적되고 있는 바와 같이, 현대 사회의 인간 소외와 인간의 물화 현상에 따르는 인간성 상실의 문제는 결국 '이기' 철학에서 본다면 '이기지묘'(理氣之妙)의 조화의 상실이라고 볼 수 있다.
대동 사회란 결국 이와 같은 조화가 실현되는 사회이므로, 이 경지에서만 내외가 합일하고 하늘과 사람이 합일되어 성학(聖學)의 완성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점에서 율곡의 대동 사회는 현대 산업 사회의 갈등과 모순을 극복할 수 있는 활력소가 될 것으로 믿는다. 여기에서 율곡 성학 사상의 현대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대동 사회란 결국 이와 같은 조화가 실현되는 사회이므로, 이 경지에서만 내외가 합일하고 하늘과 사람이 합일되어 성학(聖學)의 완성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점에서 율곡의 대동 사회는 현대 산업 사회의 갈등과 모순을 극복할 수 있는 활력소가 될 것으로 믿는다. 여기에서 율곡 성학 사상의 현대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추천자료
주자학의 한국전파와 퇴계학
동서양 교육사상가
인물성동이론 (이간, 한원진)
남도시가문학.송강정철
지방자치단체 장성을 방문하고
척화표의 영수 김상헌 발표자료
이인화 장편소설 ‘영원한 제국’을 읽고 - 소설 속에서 나타나는 노론과 남인의 사상차이를 중...
[한국교육사]성리학과 한국교육사
레포트_경영(팀장으로서갖추어야할리더십항공화물사업을 중심으로레포트)
실학자 정약용과 성리학의 사상
이퇴계와 이율곡의 사상에 대하여 비교하여 논하시오
우암 송시열에 관한 고찰 리포트
사단칠정논변의 핵심은 도덕 심성과 도덕 실천이다 - 퇴계 이황(退溪 李滉) (퇴계 이황의 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