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학집요(聖學輯要)』·『격몽요결(擊蒙要訣)』 등을 보편(補編)하여 『율곡전서』로 이름을 바꾸어 1749년에 23권 38책 활자본으로 간행한 것을, 1814년(순조 14)에 다시 습유(拾遺) 6권과 부록의 속집을 보충하여 해주에서 중간하였다.
●참고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6.05.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성학집요(聖學輯要)·격몽요결(擊蒙要訣) 기타 어록 등 등을 수록하여 \'율곡전서\'라 이름하고, 5년 후인 1749년(영조 25) 활자로 간행하였는데 총 38권이었으며, 그 후 습유(拾遺) 6권이 추가로 편차되었다. 전서 발간 65년 뒤인 1814년(순조 14)에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200원
- 등록일 2018.04.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가 변화한다는 의미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자체 모순에 빠진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기발일도설을 주장하는 율곡의 입장에서 보면 사단과 칠정은 구분되는 것이 아니다. 마음이 성에 근거하여 감정으로 드러나는 길은 하나의 길로서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1.01.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하늘과 사람이 합일되어 성학(聖學)의 완성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점에서 율곡의 대동 사회는 현대 산업 사회의 갈등과 모순을 극복할 수 있는 활력소가 될 것으로 믿는다. 여기에서 율곡 성학 사상의 현대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7.08.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성학집요>는 임금의 학문을 주로 하였으나 실제로는 상하에 두루 통하는 것으로 향학(向學)의 방향을 제시한 것으로 내용은 사서오경의 요점을 선유(先儒)의 설을 두루 참고해 대학의 편제를 따라 엮은 것이다. <격몽요결>은 성학집요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8.09.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