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급성염증
림프관 및 림프절
만성 염증
급만성 염증의 삼출액에 따른 유행별 분류
염증의 전신적 영향
림프관 및 림프절
만성 염증
급만성 염증의 삼출액에 따른 유행별 분류
염증의 전신적 영향
본문내용
, 수막 구균, 임질균 등을 들 수 있다. 간균으로는 녹농균외에 대장균이 흔하다.
c) 운 명
화농성 염증의 삼출액은 장액성 염증과 달라서 흡수되기 어려우므로 주변과 경계를 갖게 되어 소위 농양을 만들게 된다. 큰 농양을 만들면, 바깥쪽만 섬유성 조직의 피막에 둘러싸이게 될 뿐, 농양내의 수분만이 흡수되고 나면 고형물이 기질화되고 후에 석회 침착을 보는 경우도 있다. 또한, 농은 피막에 의해 국소화되지 않으면 주변조직으로 이동하여 충수염의 화농성 염증에서 볼 수 있는 방광-직장와에 농양을 형성하기도 하고 또한 중력에 의해 아래쪽으로 흘러 다른 부위에 새롭게 농양을 형성하기도 하는 때도 있는데 이것을 유주농양이라고 한다. 예로서는 허리근(psoas, 요근)내 결핵에 의한 건락괴사물이 중력에 의해 아래로 흘러 골반내에 소위 냉농양(cold abscess)이 있다. 또한, 만성 골수염과 항문 주위의 화농성 염증에서는 그 주변의 피부로 농이 유출되는 경우가 있다. 이렇게 농이 외부로 노출되므로 피부는 만성적인 궤양성 염증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이때 노출되는 작은 구멍을 누공(fistula)이라고 한다. 이러한 궤양을 마졸린(Majolin's)궤양이라고 한다. 이러한 누공부 주변 피부에서 피부암이 발생하기 쉽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출혈성 염증
출혈성 염증(Hemmorrhagic inflammation)은 다량의 적혈구의 삼출이 동반되는 염증을 말한다. 혈관 투과성의 현저한 항진, 또는 혈관의 손상이 격심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어 혈관의 괴사성 염증을 동반하는 질환에서 흔히 관찰된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한 폐렴은 출혈성 염증의 대표적인 것이다. 이외에 탄저, 발진티프스 등도 출혈성염의 형태를 취한다.
괴저성 염증
괴저성 염증(gangrenous inflammation)은 염증에 의해서 세포, 조직의 괴사가 삼출과 증식의 변화보다 두드러지는 것을 괴사성염(necrotizing inflammation)의 배경 위에 부패균의 감염이 겹쳐, 조직이 붕괴와 궤양을 동반한 경우, 특히 괴저라고 부른다. 괴저에 빠진 조직은 불결해져서 악취를 뿜게 된다. 괴저성 충수염과 담낭염, 다리의 괴저성 염증은 잘 알려져 있다. 대개는 혐기성 세균이 나오는 강한 독소에 의한다.
5. 염증의 전신적 영향
염증시 전신적으로 일어나는 현상 중 흔히 관찰되는 소견은 발열과 백혈구의 증가라고 할 수 있다. 염증이 발생되었을 때 나타나는 가장 흔한 전신적 반응은 발열이며, 특히 감염에 동반한 염증이 있을 때는 더욱 뚜렷하다. 세균이 몸 안에 들어와서 혈중에 순환하는 균혈증 대부분 발열이 일어나며 체온이 급격하게 상승하는 스파이크열(spike fever)이 발생하게 된다. 그 외의 급성기 반응에는 식욕감퇴, 단백질 소모의 증가, 저혈압,간에서 합성되는 C-반응성 단백(C-reactive protein), 보체 및 응고단백 등의 증가, 그리고 말초 백혈구의 다양한 변화 등이 있다.
이러한 급성기 발열반응에서 인터루킨-1(IL-1)과 종양괴사인자(TNF)는 중요한 매개물질로 작용한다고 생각된다. 염증 반응이 있을 때 말초혈액의 백혈구수의 증가를 흔히 볼 수 있으며, 특히 세균의 감염이 있을 때 현저하다. 이때 백혈구 수는 1mm3당 15,000∼20,000개 정도이나 경우에 따라 40,000개 또는 100,000개 까지 증가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백혈구의 심한 증가를 백혈병시 백혈구가 심하게 증가하는 것과 유사하다고 하여 유백혈병 반응(leuke- moid reaction)이라고 한다. 말초 백혈구수는 처음에는 IL-1 및 TNF의 작용에 의한 골수내에 저장된 성숙한 백혈구 혈중으론 방출되므로 증가하나 심한 경우에는 보다 미숙한 호중구의 증가를 동반하게 되는데 그 현상을 좌방이동(left shift. 대개 모세포를 좌측부터 쓰고 성숙된 세포는 우측으로 나열하기 때문에 좌측이동은 결국 미숙 백혈구의 혈액에 출현을 의미한다).
대부분의 세균 감염으로 호중구 증가증이 초래되나, 전염성 단핵구증, 백일해, 볼거리, 풍진 등과 같이 바이러스성 감염에서는 오히려 림프구 증가증이 있다. 그리고 기관지 천식, 고초열 및 기생충 감염과 같이 알레르기와 관련있는 경우에는 호산구 증가증을 보인다.
장티프스, 바이러스, 리케치아 및 특수한 원충류의 감염이 있을 때에는 반대로 백혈구 감소증이 있으며, 백혈구 수의 감소는 파종성 암종 또는 심한 속립성 결핵(miliary tuberculosis)에서도 볼 수 있다.
c) 운 명
화농성 염증의 삼출액은 장액성 염증과 달라서 흡수되기 어려우므로 주변과 경계를 갖게 되어 소위 농양을 만들게 된다. 큰 농양을 만들면, 바깥쪽만 섬유성 조직의 피막에 둘러싸이게 될 뿐, 농양내의 수분만이 흡수되고 나면 고형물이 기질화되고 후에 석회 침착을 보는 경우도 있다. 또한, 농은 피막에 의해 국소화되지 않으면 주변조직으로 이동하여 충수염의 화농성 염증에서 볼 수 있는 방광-직장와에 농양을 형성하기도 하고 또한 중력에 의해 아래쪽으로 흘러 다른 부위에 새롭게 농양을 형성하기도 하는 때도 있는데 이것을 유주농양이라고 한다. 예로서는 허리근(psoas, 요근)내 결핵에 의한 건락괴사물이 중력에 의해 아래로 흘러 골반내에 소위 냉농양(cold abscess)이 있다. 또한, 만성 골수염과 항문 주위의 화농성 염증에서는 그 주변의 피부로 농이 유출되는 경우가 있다. 이렇게 농이 외부로 노출되므로 피부는 만성적인 궤양성 염증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이때 노출되는 작은 구멍을 누공(fistula)이라고 한다. 이러한 궤양을 마졸린(Majolin's)궤양이라고 한다. 이러한 누공부 주변 피부에서 피부암이 발생하기 쉽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출혈성 염증
출혈성 염증(Hemmorrhagic inflammation)은 다량의 적혈구의 삼출이 동반되는 염증을 말한다. 혈관 투과성의 현저한 항진, 또는 혈관의 손상이 격심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어 혈관의 괴사성 염증을 동반하는 질환에서 흔히 관찰된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한 폐렴은 출혈성 염증의 대표적인 것이다. 이외에 탄저, 발진티프스 등도 출혈성염의 형태를 취한다.
괴저성 염증
괴저성 염증(gangrenous inflammation)은 염증에 의해서 세포, 조직의 괴사가 삼출과 증식의 변화보다 두드러지는 것을 괴사성염(necrotizing inflammation)의 배경 위에 부패균의 감염이 겹쳐, 조직이 붕괴와 궤양을 동반한 경우, 특히 괴저라고 부른다. 괴저에 빠진 조직은 불결해져서 악취를 뿜게 된다. 괴저성 충수염과 담낭염, 다리의 괴저성 염증은 잘 알려져 있다. 대개는 혐기성 세균이 나오는 강한 독소에 의한다.
5. 염증의 전신적 영향
염증시 전신적으로 일어나는 현상 중 흔히 관찰되는 소견은 발열과 백혈구의 증가라고 할 수 있다. 염증이 발생되었을 때 나타나는 가장 흔한 전신적 반응은 발열이며, 특히 감염에 동반한 염증이 있을 때는 더욱 뚜렷하다. 세균이 몸 안에 들어와서 혈중에 순환하는 균혈증 대부분 발열이 일어나며 체온이 급격하게 상승하는 스파이크열(spike fever)이 발생하게 된다. 그 외의 급성기 반응에는 식욕감퇴, 단백질 소모의 증가, 저혈압,간에서 합성되는 C-반응성 단백(C-reactive protein), 보체 및 응고단백 등의 증가, 그리고 말초 백혈구의 다양한 변화 등이 있다.
이러한 급성기 발열반응에서 인터루킨-1(IL-1)과 종양괴사인자(TNF)는 중요한 매개물질로 작용한다고 생각된다. 염증 반응이 있을 때 말초혈액의 백혈구수의 증가를 흔히 볼 수 있으며, 특히 세균의 감염이 있을 때 현저하다. 이때 백혈구 수는 1mm3당 15,000∼20,000개 정도이나 경우에 따라 40,000개 또는 100,000개 까지 증가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백혈구의 심한 증가를 백혈병시 백혈구가 심하게 증가하는 것과 유사하다고 하여 유백혈병 반응(leuke- moid reaction)이라고 한다. 말초 백혈구수는 처음에는 IL-1 및 TNF의 작용에 의한 골수내에 저장된 성숙한 백혈구 혈중으론 방출되므로 증가하나 심한 경우에는 보다 미숙한 호중구의 증가를 동반하게 되는데 그 현상을 좌방이동(left shift. 대개 모세포를 좌측부터 쓰고 성숙된 세포는 우측으로 나열하기 때문에 좌측이동은 결국 미숙 백혈구의 혈액에 출현을 의미한다).
대부분의 세균 감염으로 호중구 증가증이 초래되나, 전염성 단핵구증, 백일해, 볼거리, 풍진 등과 같이 바이러스성 감염에서는 오히려 림프구 증가증이 있다. 그리고 기관지 천식, 고초열 및 기생충 감염과 같이 알레르기와 관련있는 경우에는 호산구 증가증을 보인다.
장티프스, 바이러스, 리케치아 및 특수한 원충류의 감염이 있을 때에는 반대로 백혈구 감소증이 있으며, 백혈구 수의 감소는 파종성 암종 또는 심한 속립성 결핵(miliary tuberculosis)에서도 볼 수 있다.
추천자료
급성호흡기증후군(SARS)에 대하여...
급성 췌장염
급성 폐손상과 산화질소
급성 췌장염 환자 case study
급성위장관염(AGE) 환아에 대한 case study
급성기관지염케이스(Bronchitis)
급성인두염 case study (소아과)
급성 세기관지염 bronchiolitis 간호과정
급성췌장염(Acute Pancreatitis)케이스스터디
급성 췌장염 사례 (케이스 스터디, 간호과정)
급성혈행성 골수염(Acute Hematogenous Osteomyelitis)
급성위장염 (AGE: Acute Gastro-enteritis)
급성기관지염(Acute bronchitis) 케이스 스터디
급성호흡곤란증후군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