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초경량 항공기 개발 개념설계과정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형 초경량 항공기 개발 개념설계과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1장 개발배경

제2장 한국형 초경량 항공기 개념

제3장 외형설계

제4장 개념설계

본문내용

한국형 초경량 항공기 개발
제1장 개발 배경
1-1 국내 초경량 항공기 현황
국내 초경량 항공기의 역사는 그리 길지 않다. 90년대부터 완전 조립상태의 초경량 항공기가 수입되어, 한강 둔치와 영종도에서 처음 시작되었고, 몽산포와 안산에서 성장하여 전국적으로 퍼지면서 많은 비행클럽이 만들어 졌으며, 초경량 항공기 관련 법규도 국내 실정에 맞게 조금씩 수정 되었다. 현재 각 비행 클럽의 위치에 따라 21군데의 초경량 항공기 비행 공역이 설정되어 있으며, 지금도 하늘을 날고자 하는 많은 이들의 꿈을 실현 시켜주고 있다.
1-2 국내 항공법상의 초경량 항공기 규정
다음은 1999년 12월 17일 개정된 항공법에서 발췌한 내용이다.
항공법 시행 규칙
제3조 (항공기인 동력 비행 장치의 범위)
영 제9조 제1호에서 “교통부령이 정하는 범위를 초과 하는 동력 비행장치”라 함은 다음 각호의 것을 말한다. 1. 탑승자, 연료 및 비상용 장비의 중량을 제외한 자체중량이 좌석이 1인 경우 150kg, 좌석이 2인경우 225kg 을 초과하는 비행 장치 2. 연료 용량이 좌석이 1인경우 19리터, 좌석이 2인경우 38 리터를 초과하는 비행 장치
제14조 (초경량 비행 장치의 범위)
법 제2조 제25호에서 “건설 교통부령이 정하는 동력 비행장치 인력 활공기 및 기구류 등” 이라 함은 다음 각호의 것을 말한다. <개정95.7.14,99.9.18>
1. 동력비행장치
동력을 이용하는 다음 각목의 요건에 적합한 비행장치
가. 탑승자, 연료 및 비상용 장비의 중량을 제외한 당해 장치의 자체중량이 좌석이 1인경우 150kg, 2인경우 225kg 이하 일것.나. 당해 장치의 연료중량이 좌석이 1인경우 19리터, 좌석이 2인경우 38리터 이하 일것. 다. 프로펠러에서 추진력을 얻는 것일 것. 라. 차륜, 스키드 또는 후로트 등의 착륙장치가 장착된 고정익 비행 장치 일것.
  • 가격3,000
  • 페이지수33페이지
  • 등록일2007.08.29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워드(doc)
  • 자료번호#4267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