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예 디자인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공예 디자인

Ⅲ. 공예의 조건

Ⅳ. 공예의 종류
1. 목공예
2. 목칠공예
3. 유리공예
4. 염색(染色)공예
5. 도자(陶瓷)공예
6. 금속공예
7. 칠보(七寶)공예
8. 종이공예
9. 죽세공예
10. 지점토공예
11. 탈 공예
12. 전통공예

Ⅴ. 공예의 제작과정

Ⅵ. 공예 제작의 조건

Ⅶ. 결 론

본문내용

져서 짠다.
ㄷ.방망이로 찧어 풀을 섞어 사용한다.
2) 탈의 제작 과정
ㄱ.탈의 모양을 구상하여 스케치한다.
ㄴ.바가지에 종이죽을 붙여 모양을 만든다.
ㄷ.색칠이 마른 다음 래커를 칠하여 완성한다.
12. 전통공예
* 뜻 - 우리 민족 대대로 전해 내려오는 민족 특유의 소박성과 전통, 조상의 얼이 담겨진 공예이다.
* 전통 공예
1) 오랜 옛날부터 우리 조상들의 생활 속에서 만들어 내려오던 공예를 말하며, 민속의 공예라고도 한다.
2) 전통 공예품에는 조상들의 유품과 후손들이 그 기술을 이어받아 만드는 것의 두 가지 뜻이 있다.
3) 전통 공예에는 조상의 얼이 담겨 있으며, 그것에서 옛 사람들의 생활 감정을 엿볼 수 있다.
4) 우리는 전통 공예의 정신을 계승하고 새로운 재료와 기법을 개발하여 현대감각에 맞는 민속 공예 를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5) 전통 공예품에는 함, 상자, 그릇, 조명기구, 장신구, 부채 등 그 종류도 여러 가지이며, 재료도 목공예, 도예, 지공예, 천, 가죽, 금속 공예, 칠보 공예, 죽세 공예, 초경 공예(왕골, 싸리), 매듭, 나전 칠기 등 다양하게 쓰였다.
* 전통 공예의 특징
1) 조상의 얼과 정신이 스며 있다.
2) 실용성과 장식성이 있다.
3) 그 때의 생활 습관을 짐작할 수 있다.
4) 조형품으로서의 가치가 있다.
* 여러 가지 전통 공예
1) 반상 - 야외 또는 관청에서 음식을 나를 때 쓰는 상.
2) 구절함 - 여덟모가 난 나무 그릇, 가운데를 둥글게 하고 , 둘레를 여덟 칸으로 나눈 반찬 그릇.
3) 고비 - 편지나 서류를담는 벽걸이.
4) 지노 그릇 - 종이를 꼬아서 만든 그릇으로, 여자들이 안방에서 가정용품을 담는 데 주으로 쓰였다.
5) 나무 기러기 - 암, 수 두 마리의 기러기를 조각한 것으로 혼례식 때 쓰였다.
6) 화각장 - 소의 뿔을 얇게 깎아서 그림을 표현하는 기법을 화각이라 하였는데, 버선장,함, 옷장 등에 많이 쓰였다.
7) 나전 칠기 - 자개를 박아 무늬를 만들어 장식성을 살린 것(자개장, 자개 경대, 구절판등)
8) 경대 - 거울과 서랍이 달린 상자로 여자들이 화장하는 데 쓰였다.
반상
구절함
고비
지노그릇
나무기러기
화각함
나전칠기
경대
* 전통 공예의 종류
1) 목공예 - 나무를 이용한 모판, 소반, 주칠 좌등, 연상, 목침, 다식판, 고비, 반닫이 등 생활 용품이나 가구, 특히 조선시대에는 나무의 무늬를 그대로 살린 목공예 품이 많이 제작되었다.
2) 도예 - 선사 시대의 각종 토기, 삼국 시대의 토기, 고려의 삼감 청자, 순 청자, 조선시대의 백자, 분청사기 등 그 시대의 특성을 살린 도자 공예가 발달하였다.
3) 지공예 - 창호지나 한지, 색지를 이용한 종이 함, 종이 그릇은 물론 종이를 꼬아서 엮어 만든 지노 그릇, 지승공예 등. 창호지를 비롯한 한지는 얇지만 질기기 때문에 종이를 여러 겹 바르거나 종이죽을 만들어 원하는 모양을 만든다.
4) 금속 공예- 왕의 금관이나 금제 장신구, 구리거울(동경), 청동화로, 여러 가지 백동이나 무쇠장식 등 금속의 특성을 살려서 만든 일용품과 장식품 등이 있다.
5) 칠보 공예- 반지, 떨감, 단추, 은장도, 비녀 등 금속판 위에 칠보 유약을 발라 구워낸 것이다.
6) 죽세 공예 - 대나무 광주리, 합죽선(부채) 등 대나무의 탄력성을 이용하여 표현
7) 초경 공예 - 왕골, 싸리, 짚, 등나무 등의 줄기나 뿌리를 가공하여 만든 것(화문석-왕골 공예, 발, 자리, 바구니 등)
8) 매듭 - 실을 꼬아 만든 매듭 실로 여러 가지 모양으로 엮어서 만든 것
(단추, 장식용 벽걸이)
금속공예
칠보공예
죽세공예
초경공예
매듭공예
Ⅴ. 공예의 제작과정
1) 생활에 필요한 일용품을 정한다.
2) 작품에 대한 구상을 스케치를 한다.
3) 찰흙, 석고 등으로 소형 모형을 만든다.
4) 설계도를 그린다(내부 구조, 재료 고려).
5) 공예의 기능, 재료의 특성을 살려 제작한다.
6) 정리하여 완성하고 사용 후 평가한다.
Ⅵ. 공예 제작의 조건
* 공예의 조건
1) 직접 조건 - 용도, 재료, 구조, 제작비 등
2) 간접 조건 - 기후, 유행, 상징, 민족성, 사상 등
* 공예 제작의 조건
1) 생활환경과 조화를 이룰 수 있어야 한다.
2) 알맞은 재료로 견고하고 안전한 작품을 제작해야 한다.
3) 실용성 있고 심미적인 제품으로 사용에 편리하게 만든다.
Ⅶ. 결 론
오늘날에는 실용목적을 가진 미적인 제품 행위를 가리키게 되었다. 수공예는 목적에 봉사하는 수단이나 손재주(mannual skill)가 중요하고, 또 공예가 자신이 선택한 재료로서 실용적인 재료를 다루며, 한 사람의 감수성으로 처음부터 끝까지 유기적으로 제작되는 경우를 말한다. 바로 이러한 감수성과 제품과의 유기적 관계가 기계에 의해서 파괴되어 일상생활 제품의 질이 파괴되었다고 생각한 W.모리스(1834 96)는 수공예 부흥운동, 즉 미술공예운동을 전개하였다. 그래서 초기 디자인 운동의 선구자들은 바로 이러한 직관적이고 유기적인 수공예의 전통과 특질을 회복하기에만 급급하였던 것이다.
산업사회가 시작되면 대량생산성의 디자인(공업 디자인)과 희소성의 공예품에 대한 가치기준이 달라지게 되었다. 가끔 미적인 것을 희소성과 동일시하려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질적 수준이 낮은 개인 공예가의 공예품도 미적인 것으로 오해되는 경우가 있었다. 공예품이란 근본적으로 디자인에 비하여 수적으로 희귀하나, 그렇다고 해서 공예품이 더욱 미적으로 우수한 특질로서 존중될 수는 없을 것이다. 공예품과 기계제품의 공업 디자인은 현재의 우리들의 생활문화를 형성하는 실체들이기 때문에 생활화를 위한 전제 위에서 질적으로 가치가 있도록 생산되어야 한다. 공예디자인 제품의 품목과 형태는 시대적인 배경, 지역적인 특색 및 사회 전반의 문화 수준에 따라 양상이 달라져 왔다.
현재의 공예디자인은 전통적으로 사용해 온 재료나 기법과 더불어 국제적인 문화 교류와
교통, 통신 등 20세기 기계 문명의 발달로 공예디자인의 발전을 활발히 해 주고 있다.
생활이 복잡해지고 과학과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각종 산업 제품으로서 가장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분야가 되었다.
  • 가격2,5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7.09.06
  • 저작시기2007.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73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