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우의 사료 지침 TRM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거세우의 성장단계별 목표 설정
󰊱 TRM 비육기간 결정
󰊲 국내 한우의 사육형태 개선
󰋏 고급육생산을 위한 TRM 사양시스템 구축
󰋐 사료원료 및 배합기술 측면에서의 고려사항
󰊱 사용원료의 성분
󰊲 영양소의 균형
󰊳 TRM 배합요령
󰋑 참고문헌

본문내용

1. 비타민, 광물질 등 첨가제는 계근하여 사전에 예비혼합, 배합한다.
2. 건초나 짚 등 길이가 긴 조사료를 넣고 3-5분간 절단한다.
3. 농후사료를 넣는다.
4. 전지면실과 같이 분리가 잘 안 되는 재료를 투입한다.
5. 사일리지를 넣는다.
6. 맥주박, 감귤박, 물과 같은 수분이 많은 재료를 넣는다.
7. 마지막 재료를 넣은 후 3~4분간 혼합한다.
④ 하절기 고려사항
여름철에는 사료섭취량의 감소를 고려하여 에너지와 단백질 농도를 10~20%정도 높여주는 것이 좋으므로 양질 조사료를 사용하고 곡류사료의 비율을 약간 높여 줄 필요가 있다. TRM 사료를 두 번 이상 자주 주어 신선한 사료를 계속해서 먹을 수 있도록 해 주어야 하고, 또한 하루 TRM 급여량의 60%를 온도가 내려가는 밤에 급여함으로 건물 섭취량을 증가 시킬 수 있다. TRM에 첨가되는 조사료는 종류나 질이 다양한데, 조사료의 길이가 너무 길면 소화율 감소, 섭취량 저하, 대사열 발생량의 증가 등의 현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적정한 입자로 조제되어야 한다. 사료조의 사료가 신선하게 유지되고 먹이 싸움이 없을 경우 하루에 한번 사료를 급여하더라도 큰 문제는 없지만 날씨가 무덥고 습도가 높은 날에는 하루에 두 번 이상 나누어 주는 것이 좋으며, 사료급여시 사조에 남아있는 사료의 량은 5-10%가 적당하다.
⑤ TRM의 적정 수분함량
적정 수분함량은 35~40%이며 이보다 높거나 낮으면 사료섭취량에 대한 제한 요소로 작용한다. 하절기에는 40~45%정도를 권장한다.
참고문헌
한우용 TRM 급여 지침서. 2004. 농림부-농협중앙회-서울대학교

키워드

한우육,   사료,   TMR
  • 가격1,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7.09.10
  • 저작시기2006.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76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