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머리말
Ⅱ. 인문과학 개념의 발생배경
Ⅲ. 문화적 담론 또는 자연과학과 인문과학
Ⅳ. 역사인식에서 해석학적 정초로
Ⅴ. 마무리: 딜타이 인문과학의 학문적 좌표
Ⅱ. 인문과학 개념의 발생배경
Ⅲ. 문화적 담론 또는 자연과학과 인문과학
Ⅳ. 역사인식에서 해석학적 정초로
Ⅴ. 마무리: 딜타이 인문과학의 학문적 좌표
본문내용
체험할 때 주어진 것을 넘어선 우리의 지식 확장은 삶의 객관화를 해석하면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러한 해석은 주관의 심층적 체험으로서만 가능하다. 이것은 자기 내부에 있는 일반적 지식의 존재에 의해서만 가능한 개별자의 이해에서도 마찬가지다. 동시에 이 일반적 지식은 이해의 과정에서 개별자를 전제하고 있다. 결국 역사적 진행과정 속의 부분의 이해는 부분이 전체의 관계를 통해서만 그 완전성을 얻을 수 있으며, 전체에 대한 보편적 역사적 조망은 전체에 예속되어 있는 부분에 대한 이해를 전제로 하고 있다. 그러나 여기서 주목해야 할 것은 두 번 째 명제뿐이다. 왜냐하면 첫 번 째 명제는 역사적 지식의 특징일 뿐이고 세 번째는 이미 슐라이어마허와 드로이젠에게서 선취된 것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딜타이의 해석학의 특징이라고 말할 수 있는 이 두 번 째 명제는 실질적으로 어떻게 가능한 것인가? 이것은 딜타이 해석학이 제시한 의사 귀납적 - 그가 귀납을 반대했으므로 - 방식이라 명명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방식은 우선 방법적으로 개개적 삶과 체험에서 시작한다. 이해는 지나간 삶에 대한 단순한 기록이 아니라 객체로서의 인간의 삶과 결부되어 있기 때문에 자기이해와 타자이해의 해석학적 맥락으로 이행하게 된다.
Ⅴ. 마무리: 딜타이 인문과학의 학문적 좌표
로티 Richard Rorty는 인식론을 두고 어떤 특정한 역사적 시기에 부흥했다가 사라진 문화현상으로 보고 있다. 로티는 이런 인식론적 전환이 우연이 아님을 이렇게 설명하고 있다. 인식론에 대한 욕구는 제한에 대한 욕구이다 - 그 욕구는 사람들이 확실히 다닐 수 있는 토대에 대한 욕구이자, 사람들을 헷갈리지 않게 할 수 있는 틀에 대한 욕구이며, 우리에게 필요한 대상에 대한 욕구이며 더 이상 논란의 여지가 없는 재현에 대한 욕구이다.
토마스 쿤 Thomas Kuhn이 그의 『혁명 Revolutionen』에서 주장한 자연과학적 인식은 꾸준히 발전하는 것이 아니라 도약적으로, 혁명적으로 발전한다는 생각을 차용하여 이런 인식론은 서구문화의 우연한 전회였고 큰 소득도 없었다고 말한다.
Ⅴ. 마무리: 딜타이 인문과학의 학문적 좌표
로티 Richard Rorty는 인식론을 두고 어떤 특정한 역사적 시기에 부흥했다가 사라진 문화현상으로 보고 있다. 로티는 이런 인식론적 전환이 우연이 아님을 이렇게 설명하고 있다. 인식론에 대한 욕구는 제한에 대한 욕구이다 - 그 욕구는 사람들이 확실히 다닐 수 있는 토대에 대한 욕구이자, 사람들을 헷갈리지 않게 할 수 있는 틀에 대한 욕구이며, 우리에게 필요한 대상에 대한 욕구이며 더 이상 논란의 여지가 없는 재현에 대한 욕구이다.
토마스 쿤 Thomas Kuhn이 그의 『혁명 Revolutionen』에서 주장한 자연과학적 인식은 꾸준히 발전하는 것이 아니라 도약적으로, 혁명적으로 발전한다는 생각을 차용하여 이런 인식론은 서구문화의 우연한 전회였고 큰 소득도 없었다고 말한다.
추천자료
자연과학과 사회과학의 유서점과 차이점
사회과학, 과학인가? 이데올로기인가?: 학문의 ‘이데올로기’적 성격과 맑스주의
[여학생 정보화교육][여학생 과학교육][여학생 인권신장교육][여학생 취업준비][여학생 흡연]...
과학콘서트
과학사레포트
신과학 산책 독후감
분야별 영재의 특성, 분야별 영재교육과정의 필요성, 영재교육과정, 물리분야와 화학분야 영...
초등학교 3학년 국어과(국어교육), 도덕과(도덕교육), 사회과(사회과교육), 초등학교 3학년 ...
[교양수업] 철학의 이해- 철학적으로 생각해보자(2) (과학은 우리를 행복하게하는가/쇼핑의 ...
야누스-과학기술 : 세상을 바꾼 과학논쟁
사회과학과 자연과학의 차이점
과학과환경,물,대기오염,산성비,지구온난화,물과과학레포트,온실효과
역사의 과학성 [역사학과 과학의 유사적 측면]
[스포츠과학] 스포츠 과학의 개념과 모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