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머리말
Ⅱ. 역사학과 과학의 유사적 측면
Ⅲ. 역사학은 과학인가
ⅰ.역사와 과학
ⅱ.역사에서 법칙의 문제
ⅲ.역사와 사회과학
Ⅳ. 맺음말
Ⅱ. 역사학과 과학의 유사적 측면
Ⅲ. 역사학은 과학인가
ⅰ.역사와 과학
ⅱ.역사에서 법칙의 문제
ⅲ.역사와 사회과학
Ⅳ. 맺음말
본문내용
역사는 그 자체가 정치학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으며 정치의 기반이 되는 경제학 역시 역사의 영역에 상당부분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역사지리학은 역사학이 사회과학과 얼마나 밀접하고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지를 알아볼 수 있는 좋은 예가 되어준다. 지리학이란 하트숀의 정의에 따르자면 지구표면의 다양한 성격에 대하여 정연하며 합리적인 묘사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이런 지리학에서는 지표면의 공간을 어떠한 시각으로 보느냐에 따라 여러 부분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 데 그 중 하나가 역사지리학이다. 이 역사지리학은 과거의 지리를 복원해서 그것을 설명하고 서술하는 학문이다. 이러한 과거의 토지와 인간을 연구하는 과학인 역사지리학은 고고학, 민속학, 인류학 등과 함께 발전하고 있으며, 이 학문들 역시 역사학과 깊은 관련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역사지리학자인 해리스는 역사지리학을 연구하면서 경관의 발전에 중점을 두었다. 이는 경관이 발전한 시점에 있는 사람들의 사고방식을 재고찰한다는 의미이며, 이를 통해 지리학에 인간의 사고방식의 변화라는 역사적인 요소를 부가했다고 할 수 있다. 또 해리스의 많은 주장을 심화시킨 겔키는 지리학에 실증주의적인 접근방법을 적용하는 것은 편협하게 인식된 과학적 접근방법이라고 비판하며 지리학과 역사학이 종합과학이라는 점을 부각시켰다. 이는 역사학이 자연과학과는 구별되고 사회과학과는 근접한 위치에 있음을 말해주는 사례라고 볼 수 있다. 이렇듯이 지리학은 역사학을 받아들이면서 과거의 지리를 복원해서 현대적인 의미를 가지도록 생명을 불어넣는 면까지 그 범위를 확대하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Ⅳ. 맺음말
역사학은 과학인가 지금까지 살펴보았지만 이에 대해 한마디로 확정 짓기란 매우 어려워 보인다. 역사학은 과학적인 면과 과학으로 보기엔 부족한 면을 같이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에 대한 해답은 이미 존재 하고 있다고 보인다. 철학을 우리는 과학이라고 하지 않는다. 대신 우린 철학을 이렇게 생각한다. 인간 자체에 대한 학문 이라고. 역사 역시 이렇게 볼 수 있지 않을까 한다. 역사란 인간 그 자체에 대한 학문이라고.
※참고문헌※
1. 김연산,『역사란 무엇인가』1986, 한겨레
2. 이상현,『歷史로의 入門』1994, 박문각
3. E.H.Carr,『역사란 무엇인가』황문석 옮김, 1995, 범우사
4. Richard Evans,『역사학을 위한 변론』이영석 옮김, 1999, 소나무
Ⅳ. 맺음말
역사학은 과학인가 지금까지 살펴보았지만 이에 대해 한마디로 확정 짓기란 매우 어려워 보인다. 역사학은 과학적인 면과 과학으로 보기엔 부족한 면을 같이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에 대한 해답은 이미 존재 하고 있다고 보인다. 철학을 우리는 과학이라고 하지 않는다. 대신 우린 철학을 이렇게 생각한다. 인간 자체에 대한 학문 이라고. 역사 역시 이렇게 볼 수 있지 않을까 한다. 역사란 인간 그 자체에 대한 학문이라고.
※참고문헌※
1. 김연산,『역사란 무엇인가』1986, 한겨레
2. 이상현,『歷史로의 入門』1994, 박문각
3. E.H.Carr,『역사란 무엇인가』황문석 옮김, 1995, 범우사
4. Richard Evans,『역사학을 위한 변론』이영석 옮김, 1999, 소나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