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섞어 걸러 주었다. 그 이유는 뒤의 실험과정에 증류수를 이용하는 과정이 있어서 가능하게 되었다. (정확한 시료용액제조를 의해 3번 여과과정을 거쳤다.)
* 진공펌프의 원리 : 비커속의 공기를 빼주면서 비커 속을 진공상태로 만든다. 진공상태 가 된 비커 속은 압력이 증가하게 되고, 이로 인해 시료의 여과 속도는 증가하게 된다.
* 시료의 채취 : 먼저 식품성분 분석표를 보고서 분석하려고 하는 성분이 어느 것이나 포함된 식품을 선정하는 것이 좋다. 즉, 식품의 평균조성을 표시하는 것을 채취하여야 한다. 그렇지 않으며 아무리 정확한 분석방법을 이용하여도 좋은 결과가 얻어지지 않 는 경우가 있다. 보통 1성분 1회의 정양에 사용되는 시료의 양은 1~10g정도이다. 그 런데 분석하고자 하는 시료의 양은 보통 매우 많으므로 소수의 예외를 제하면, 시료의 일부만이 실제분석에 사용된다. 이렇게 일부분의 시료들을 적당한 방법으로 채취하는 것은 ‘시료의 추출과 축분’ 이라한다.
불균일한 대량의 시료로부터 평균조성을 유지하면서 적은 부분을 추출하는 데는 전량 을 마쇄 또는 분쇄하여 거기서 일부분을 취하는 방법도 잇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그러한 대랑의 처리는 시간, 노력 및 경비가 지나치게 소요되므로 사실상 행하지 않는 다.
* 시료의 분쇄, 마쇄 및 혼합 : 시료가 전체 시료의 평균조성을 대표하기 때문에 시료가 균질하게 되는 것이 필요조건이 된다. 액상이나 미세 분말상의 시료는 각각적당하게 혼합하면 균질하게 된다. 그러나 형상, 입도, 경도, 비중 등이 불균일하게 분포되어 있 는 고형 시료는 먼저 분쇄나 마쇄할 필요가 있다. 분쇄, 마쇄의 목표는 시료 중에 존 재하는 최대입지가 평균 조성에 변화를 주지 않을 정도로 시료의 입자를 미세화하는 데 있다.
유기산의 정량 싫험에서
- 이런 과정을 거쳐 조제된 시료용액 100ml의 적정하는 과정은 4번 시행했다. 이는 모든 조원의 실험참여를 위해서, SEM값을 통한 보다 정확한 실험 결과를 얻기 위해서였다.
이 적정 실험 전에 페놀프탈레인 지시약을 넣는 과정에서 이원경 학생이 Oxlic acid에 넣 어야 되는 것을 0.1N NaOH 용액에 넣어 용액이 바로 붉은 색의 정색 반응을 일으켰다. (모든 조원은 놀랐다.) 그래서 조제한 0.1N NaOH용액을 못쓰게 되었다. 그래서 다시 0.1N NaOH을 취하였다.
또한 뷰렛에 0.1N NaOH를 넣는 과정에서 깔때기의 크기가 너무 커서 깔때기를 사용하 지 못하고 그냥 붓게 되었는데 0.1N NaOH를 흘렸다. 아까웠다...
첫 번째 실험은 조원이 서로 분담하여 실험하였다. 이 과정에서
는 큰 랜덤오차 없이 깔끔한 실험을 진행되었다.
두 번째 실험은 조원이 서로 분담하여 실험하였다. 이 실험에서는 오차가 많이 발생하였다. 처음 시료용액에 지시약을 넣지 않고 실험을 시작하여 약 2ml 정도의 0.1N NaOH를 넣게 되어 여기서 약간의 오차가 발생한 것으로 생각되다. 또한
시료용액이 당량점에 도달해 정색되는 시점을 ---학생이 정확하게 포착하지 못해 0.1N NaOH의 량이 더 들어 갔다. 그리고 스탠드가 조금 기울어진 것을 이때 발견하여 눈금을 읽는 과정이 약 0.1ml 정도 잘못 읽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세 번째 실험은 스탠드의 기울어짐을 어느 정도 보완한 다음에 실험했다. 조원이 서로 분담하여 실험을 하였다. 이번 실험은 제일 정확한 결과를 얻었다. 넣은 4번 실험한 결과의 평균과 가장 가까운 수치를 얻었다.
네 번째 실험은 위 3번의 실험에서 시료용액의 양을 25ml씩 취했는데 100ml의 4번이므로 정확하게 시료용액을 취했다면 4번째 실험에서 25ml의 시료용액이 남아야 하는데, 약 4ml정도 부족했다. 3번의 실험에서 25ml 시료용액을 정확하게 취하지 못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래서 4조에게 시료용액을 얻어서 25ml을 맞취서 실험을 할 수 있었다.
4번의 결과를 얻은 실험이 끝나고 마지막으로 초자기구의 세척을 했다. 여러 용액들이 묻어 있는 기구를 세척하는 과정에서 그냥 물로만 세척했는데, 다시 세제와 솔을 이용하여 세척했다. 세척한사람 : 사진담당 :
● 참고자료 및 출처
식품분석법(학문당)
http://blog.naver.com/etty0915/130002096046
http://blog.paran.com/recess/8937784
http://kowon.dongseo.ac.kr/%7Eccpark/root/frame/ge_frame25_ob.htm
* 진공펌프의 원리 : 비커속의 공기를 빼주면서 비커 속을 진공상태로 만든다. 진공상태 가 된 비커 속은 압력이 증가하게 되고, 이로 인해 시료의 여과 속도는 증가하게 된다.
* 시료의 채취 : 먼저 식품성분 분석표를 보고서 분석하려고 하는 성분이 어느 것이나 포함된 식품을 선정하는 것이 좋다. 즉, 식품의 평균조성을 표시하는 것을 채취하여야 한다. 그렇지 않으며 아무리 정확한 분석방법을 이용하여도 좋은 결과가 얻어지지 않 는 경우가 있다. 보통 1성분 1회의 정양에 사용되는 시료의 양은 1~10g정도이다. 그 런데 분석하고자 하는 시료의 양은 보통 매우 많으므로 소수의 예외를 제하면, 시료의 일부만이 실제분석에 사용된다. 이렇게 일부분의 시료들을 적당한 방법으로 채취하는 것은 ‘시료의 추출과 축분’ 이라한다.
불균일한 대량의 시료로부터 평균조성을 유지하면서 적은 부분을 추출하는 데는 전량 을 마쇄 또는 분쇄하여 거기서 일부분을 취하는 방법도 잇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그러한 대랑의 처리는 시간, 노력 및 경비가 지나치게 소요되므로 사실상 행하지 않는 다.
* 시료의 분쇄, 마쇄 및 혼합 : 시료가 전체 시료의 평균조성을 대표하기 때문에 시료가 균질하게 되는 것이 필요조건이 된다. 액상이나 미세 분말상의 시료는 각각적당하게 혼합하면 균질하게 된다. 그러나 형상, 입도, 경도, 비중 등이 불균일하게 분포되어 있 는 고형 시료는 먼저 분쇄나 마쇄할 필요가 있다. 분쇄, 마쇄의 목표는 시료 중에 존 재하는 최대입지가 평균 조성에 변화를 주지 않을 정도로 시료의 입자를 미세화하는 데 있다.
유기산의 정량 싫험에서
- 이런 과정을 거쳐 조제된 시료용액 100ml의 적정하는 과정은 4번 시행했다. 이는 모든 조원의 실험참여를 위해서, SEM값을 통한 보다 정확한 실험 결과를 얻기 위해서였다.
이 적정 실험 전에 페놀프탈레인 지시약을 넣는 과정에서 이원경 학생이 Oxlic acid에 넣 어야 되는 것을 0.1N NaOH 용액에 넣어 용액이 바로 붉은 색의 정색 반응을 일으켰다. (모든 조원은 놀랐다.) 그래서 조제한 0.1N NaOH용액을 못쓰게 되었다. 그래서 다시 0.1N NaOH을 취하였다.
또한 뷰렛에 0.1N NaOH를 넣는 과정에서 깔때기의 크기가 너무 커서 깔때기를 사용하 지 못하고 그냥 붓게 되었는데 0.1N NaOH를 흘렸다. 아까웠다...
첫 번째 실험은 조원이 서로 분담하여 실험하였다. 이 과정에서
는 큰 랜덤오차 없이 깔끔한 실험을 진행되었다.
두 번째 실험은 조원이 서로 분담하여 실험하였다. 이 실험에서는 오차가 많이 발생하였다. 처음 시료용액에 지시약을 넣지 않고 실험을 시작하여 약 2ml 정도의 0.1N NaOH를 넣게 되어 여기서 약간의 오차가 발생한 것으로 생각되다. 또한
시료용액이 당량점에 도달해 정색되는 시점을 ---학생이 정확하게 포착하지 못해 0.1N NaOH의 량이 더 들어 갔다. 그리고 스탠드가 조금 기울어진 것을 이때 발견하여 눈금을 읽는 과정이 약 0.1ml 정도 잘못 읽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세 번째 실험은 스탠드의 기울어짐을 어느 정도 보완한 다음에 실험했다. 조원이 서로 분담하여 실험을 하였다. 이번 실험은 제일 정확한 결과를 얻었다. 넣은 4번 실험한 결과의 평균과 가장 가까운 수치를 얻었다.
네 번째 실험은 위 3번의 실험에서 시료용액의 양을 25ml씩 취했는데 100ml의 4번이므로 정확하게 시료용액을 취했다면 4번째 실험에서 25ml의 시료용액이 남아야 하는데, 약 4ml정도 부족했다. 3번의 실험에서 25ml 시료용액을 정확하게 취하지 못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래서 4조에게 시료용액을 얻어서 25ml을 맞취서 실험을 할 수 있었다.
4번의 결과를 얻은 실험이 끝나고 마지막으로 초자기구의 세척을 했다. 여러 용액들이 묻어 있는 기구를 세척하는 과정에서 그냥 물로만 세척했는데, 다시 세제와 솔을 이용하여 세척했다. 세척한사람 : 사진담당 :
● 참고자료 및 출처
식품분석법(학문당)
http://blog.naver.com/etty0915/130002096046
http://blog.paran.com/recess/8937784
http://kowon.dongseo.ac.kr/%7Eccpark/root/frame/ge_frame25_ob.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