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남북통일 문제의 실제와 환상
1. 들어가는 말 : 국제정치와 현실주의
2. 국제정치의 유형
3. 국제정치와 현실주의 이론
4. 고전적 현실주의와 현실주의
5. 신 현실주의
6. 라인홀드 니버의 정치학
7. 니버의 정치적 인간학의 과제 : 정치적 초연(超然)
8. 나가는 말 : 기독교 현실주의의 의의
1. 들어가는 말 : 국제정치와 현실주의
2. 국제정치의 유형
3. 국제정치와 현실주의 이론
4. 고전적 현실주의와 현실주의
5. 신 현실주의
6. 라인홀드 니버의 정치학
7. 니버의 정치적 인간학의 과제 : 정치적 초연(超然)
8. 나가는 말 : 기독교 현실주의의 의의
본문내용
lections on the Eand of an Era, 281.
정치 문제와 연관하여 하나님의 은총에 대한 해석이 중요한 것은 바로 하나님의 은총을 경험하는 것이 종교적 열광주의로부터 바른 신앙으로 인도하는 기준이 된다. 바로 이것이 종교적 초연(disinterestedness)이 필요한 이유라면, 정치를 바르게 이끌 기준으로서 정치적 초연이 요구되는 것이다.
니버의 정치에 대한 초연의 사상은 인간 자신에 대한 겸손과 이웃에 대한 관용, 그리고 자신의 모순에 대한 비판적 자각으로 연결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라인홀드 니버의 사회윤리와 개인의 신앙과 관련된 윤리적 요소들에 대한 연구는 Gordon Harland의 The Thought od Reinhold Niebuhr 제 5장을 참조하라. 129-160
- -
니버가 주장하는 윤리의 핵심은 이러한 겸손을 사회 문제나 정치 문제를 해결하는데 신앙인의 특성으로 적극적으로 이해하였다는 것이다. 동시에 인간과 그 집단이 펼치는 정치적 제한성을 염두에 둘 때, 니버가 제시하는 관용(tolerance)이라는 종교적인 덕목 또한 우리가 주목하여야 할 부분이다. 서로의 부족한 것을 인정하고 배려하여 주는 관용이야말로 국제 정치에 있어서 조차 중요한 가치로 자리 잡을 수 있기 때문이다.
8. 나가는 말 : 기독교 현실주의의 의의
현대 정치학에서의 현실주의의 주요 문제는 이성에 근거한 합리성과 국제정치의 질서라고 할 수 있다. 이성적인 행위란, 경제적 이론에 근거한 합리적 선택이론을 근거로 개인의 행동이 이성에 의해 완전히 결정되는 것을 가정하고, 최소한의 비용으로 특정 가치나 이익을 극대화시키거나 적어도 만족시키려고 하는 행위로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홍성민 편저. 포스트모던의 국제정치학. Gilpin (War and Change in World Politics, p.x.)재인용, 71.
- -
니버는 기독교 전통에서 발견할 수 있는 종교적 상상력이나 사회적 상상력이 개인이나 계급의 이기적 속성과 나아가 국가 간의 이데올로기로부터 자유를 주는 해방적 영성(靈性)임을 강조하고 있다. 니버의 사상을 통하여 본 기독교 현실주의는 정치이론이라기 보다는, 정치를 이해할 수 있는 기독교적 통찰력이라고 할 수 있다. 그것은 그 책략을 결정하는 인간의 동기에 대하여 냉철하게 질문하는 것이며, 질서를 강조하는 어떤 속에 숨겨진 기득권을 향한 인간의 욕구를 고발하는 것이며, 비도덕적인 자신의 약점을 더 큰 비도덕적인 형태의 조직 속에 숨기려 하는 인간의 본성에 대하여 경계를 늦추지 아니하는 것이다.
자유를 향한 인간의 쉼이 없는 열망은 권력이라는 정치적 수단을 부단히 요구하지만, 이 땅에 오신 역사적 예수 그리스도는 바로 그 정치에 의하여 희생이 되었다. 기독교적 현실주의는 인간의 정치에 대한 사심이 없는 마음과 자신의 유한성을 인정하는 겸손, 다른 이념을 향한 관용, 그리고 인간 역사의 모순(irony)에 대한 자아비판이 하나님의 통치 방식을 좀 더 깊게 이해할 수 있는 가능성임을 우리에게 지적하여 준다.
정치 문제와 연관하여 하나님의 은총에 대한 해석이 중요한 것은 바로 하나님의 은총을 경험하는 것이 종교적 열광주의로부터 바른 신앙으로 인도하는 기준이 된다. 바로 이것이 종교적 초연(disinterestedness)이 필요한 이유라면, 정치를 바르게 이끌 기준으로서 정치적 초연이 요구되는 것이다.
니버의 정치에 대한 초연의 사상은 인간 자신에 대한 겸손과 이웃에 대한 관용, 그리고 자신의 모순에 대한 비판적 자각으로 연결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라인홀드 니버의 사회윤리와 개인의 신앙과 관련된 윤리적 요소들에 대한 연구는 Gordon Harland의 The Thought od Reinhold Niebuhr 제 5장을 참조하라. 129-160
- -
니버가 주장하는 윤리의 핵심은 이러한 겸손을 사회 문제나 정치 문제를 해결하는데 신앙인의 특성으로 적극적으로 이해하였다는 것이다. 동시에 인간과 그 집단이 펼치는 정치적 제한성을 염두에 둘 때, 니버가 제시하는 관용(tolerance)이라는 종교적인 덕목 또한 우리가 주목하여야 할 부분이다. 서로의 부족한 것을 인정하고 배려하여 주는 관용이야말로 국제 정치에 있어서 조차 중요한 가치로 자리 잡을 수 있기 때문이다.
8. 나가는 말 : 기독교 현실주의의 의의
현대 정치학에서의 현실주의의 주요 문제는 이성에 근거한 합리성과 국제정치의 질서라고 할 수 있다. 이성적인 행위란, 경제적 이론에 근거한 합리적 선택이론을 근거로 개인의 행동이 이성에 의해 완전히 결정되는 것을 가정하고, 최소한의 비용으로 특정 가치나 이익을 극대화시키거나 적어도 만족시키려고 하는 행위로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홍성민 편저. 포스트모던의 국제정치학. Gilpin (War and Change in World Politics, p.x.)재인용, 71.
- -
니버는 기독교 전통에서 발견할 수 있는 종교적 상상력이나 사회적 상상력이 개인이나 계급의 이기적 속성과 나아가 국가 간의 이데올로기로부터 자유를 주는 해방적 영성(靈性)임을 강조하고 있다. 니버의 사상을 통하여 본 기독교 현실주의는 정치이론이라기 보다는, 정치를 이해할 수 있는 기독교적 통찰력이라고 할 수 있다. 그것은 그 책략을 결정하는 인간의 동기에 대하여 냉철하게 질문하는 것이며, 질서를 강조하는 어떤 속에 숨겨진 기득권을 향한 인간의 욕구를 고발하는 것이며, 비도덕적인 자신의 약점을 더 큰 비도덕적인 형태의 조직 속에 숨기려 하는 인간의 본성에 대하여 경계를 늦추지 아니하는 것이다.
자유를 향한 인간의 쉼이 없는 열망은 권력이라는 정치적 수단을 부단히 요구하지만, 이 땅에 오신 역사적 예수 그리스도는 바로 그 정치에 의하여 희생이 되었다. 기독교적 현실주의는 인간의 정치에 대한 사심이 없는 마음과 자신의 유한성을 인정하는 겸손, 다른 이념을 향한 관용, 그리고 인간 역사의 모순(irony)에 대한 자아비판이 하나님의 통치 방식을 좀 더 깊게 이해할 수 있는 가능성임을 우리에게 지적하여 준다.
추천자료
[민주화운동][민주정치]민주화운동의 정치 사회적 배경, 민주화운동의 이념, 민주화운동의 전...
[민주화운동][민주화][민주주의][한국민주주의][시민사회][민주화운동 양상]민주화운동의 배...
[노동운동][1920년대][1930년대][1960년대][1970년대][1980년대]1920년대의 노동운동, 1930년...
[교육시민운동][교육시민운동과 교육개혁안 비판][교육시민운동 방향]교육시민운동의 필요성,...
[참교육학부모운동][교육정보화운동][환경교육운동][열린교육운동][문화교육운동][교육운동]...
[교육운동][신자유주의][교육][교육개혁][교육혁신][교육과정][학교교육]교육운동의 역사, 교...
[학생운동][학생운동 특징][노조활동][노동조합활동][학생운동 사례][학생운동의 과제][학생...
서울교육 새물결운동의 인성교육과 현장체험학습, 서울교육 새물결운동의 학교체육과 재량활...
[세계노동운동]세계노동운동(국제노동운동)의 기원, 세계노동운동(국제노동운동)의 정치성, ...
[한국시민운동]한국시민운동의 성격, 한국시민운동의 성장, 한국시민운동의 도덕성, 한국시민...
[민주화운동][민주화][과거청산법][민본사상]민주화운동의 역사, 민주화운동의 이념, 민주화...
[운동연대][운동][연대][사회운동연대][인권운동연대][평화여성운동연대][미디어운동연대][사...
[시민운동][국가개혁]시민운동의 의미, 시민운동의 의의, 시민운동의 등장, 시민운동의 순수...
[5월운동][5월운동 트라우마티즘][5월운동 여성참여]5월운동의 의미, 5월운동의 단계별 국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