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와교육] 교육의 실제에서 문화가 가지고 있는 매력과 함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론

본론
1. 문화와 교육의 개념
1-1. 교육의 개념
1-2. 문화의 개념

2. 교육의 실제에서 문화의 역할
2-1. 교육에 영향을 주는 문화의 형식
2-2. 교육에 미치는 문화의 영향

3. 교육에서의 문화

결론

본문내용

는 것은 아니다. 교육에서 직접 다루는 문화는 정확히 말하면 문화에 대한 정보이다. 교육에서 배움은 그 정보를 학습자의 지식으로 전환하는 것이며, 이러한 과정의 반복을 통해 앎의 수준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앎에는 생존을 위해 당장 필요한 것이 있는가 하면, 생존은 물론 궁극적으로 인간의 인식의 지평을 확장하는 데 필요한 것이 있다. 어느 앎이든 그 수준의 향상을 도모할 때 교육의 개입은 필수적인 것이다.
3) 교육을 통해 구성되는 문화
교육에서는 문화에 대한 정보를 다루되, 학습자가 현재의 수준에서 노력하여 이해할 수 있게 다루며, 이를 위해 교수자는 조력을 아끼지 않는다. 문화에 대한 앎의 수준이 높아질수록 문화에 대해 비교 분석할 수 있는 안목도 높아지게 되며, 문화에 대한 접근의 틀을 다양하고 하고 역시 그 수준을 높일수록 문화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비판의 안목도 높아지게 된다. 여기서 교수자가 학습자에게 기존의 문화를 새롭게 보는 것을 시범해 보일 수도 있다. 그러나 그것의 새로움과 가치를 인식하고 받아들이는 것은 전적으로 학습자의 몫이며, 그것은 그가 그만한 수준에 도달해 있어야 가능한 것이다. 모든 사람이 세부적인 수준까지 동일한 삶을 사는 것은 아니므로 모든 사람이 문화를 가지고 살되 그들이 공유하고 있는 문화요소는 서로 다르다. 모든 사람이 공유하고 있는 문화요소가 있고, 일부 사람들이 공유하고 있는 문화요소가 있다. 그리고 극히 소수의 사람들만이 공유하고 있는 문화요소가 있다. 한 사람의 전체적인 문화요소 풀을 정확하게 알아내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그 문화요소들이 특정한 장면에서 어떻게 복합적으로 작용할 것인가에 대해서 정확하게 아는 것도 간단한 일이 아니다. 여기서 우리는 새로운 문화요소들이 생성될 수 있는 여지를 볼 수 있다. 여기에 교육은 하나의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교육에서는 다양한 소재를 다루고 있고, 그 소재에 대한 앎의 수준 향상을 위한 노력이 전개된다. 소재에 대한 앎의 수준 향상을 위해 그 소재에 대한 다양한 접근과 체험이 수반된다. 학습자의 입장에서 보면, 그는 소재에 대해 계속 새롭게 알아가는 과정에 있다. 여기에는 소재에 대한 기존의 관점과 관련된 새로운 문제의식과 해석이 포함된다. 이것은 세상을 이전과 다르게 본다는 것을 의미하고, 이에 따라 세상을 이전과 다르게 산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대한 소통이 이루어지고 사람들 사이에 공감대가 형성되면 새로운 문화요소가 구성되고, 그것을 구성요소로 하는 새로운 문화가 구성된다.
결론
교육이 무엇이고 그것이 필요한 사태에서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가에 관한 인식의 틀은 다양한 맥락에서 형성되고 적용된다. 이것은 교육이 문화가 형성되고 적용되는 하나의 영역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교육에서는 상황의 변화에 따라 기존문화의 유용성이 상실되면서 새로운 문화가 형성되기도 한다. 교육에 개입되는 문화 중에는 교육의 본연에 도움이 되는 것도 있지만, 교육의 본연에 걸림돌이 되는 것도 있다. 그러나 현실에서 교육은 그 모든 문화를 안고 가게 되어 있다. 이것은 교육에 참여하는 것도 사람이고 문화를 가지고 있는 것도 사람이기 때문이다. 교육에 개입되어 있는 문화를 밝혀내고, 교육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과 교육의 관계에 대한 탐구는 교육의 실제에 대한 이해를 위해 필요한 것이다.
참고자료
조용환, 문화와교육,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06
송준수, 교육사회학, 교육과학사, 1998
조용환(2001), 문화와 교육의 갈등-상생 관계, 교육인류학연구
장상호(1996), 교육적 관계의 인식론적 의의, 교육원리연구회.
윤여각(2003), 문화. 예술. 교육에 대한 재검토, 교육원리연구회
  • 가격3,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7.09.30
  • 저작시기2007.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97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