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문헌고찰
-정의
-간경화의 유형 및 정의
-병태생리
-병기
-증상 및 징후
-진단
-치료
-간호
-예후
-합병증 및 치료
2.간호진단
-간호사정
-진단검사
-약물
-간호진단
-정의
-간경화의 유형 및 정의
-병태생리
-병기
-증상 및 징후
-진단
-치료
-간호
-예후
-합병증 및 치료
2.간호진단
-간호사정
-진단검사
-약물
-간호진단
본문내용
IM, IV 후 효과가 없으면 2시간후 20mg 추가
-부작용: 오심, 구토, 식욕부진, 변비, 설사, 현기, 근육경련, 심박 불규칙
-금기: 무뇨증, 과민증
5)Potassium chloride
-효능: 저칼륨혈증, 디기탈리그 중독
-용량: tab: 1일 2~5정을 분복
inj: 0.5~3g을 희석하여 8~12ml/min 의 속도로 4시간 이상에 걸쳐 IV infusion
-부작용: 심박동 불규칙, 전신착란, 경구투여시 소화기 폐색, 천공, 궤양, 설사, 고칼륨혈증 등
-금기: 중증의 신기능 장애, 부신기능장애, 급성탈수증 또는 광범위한 조직손상이 있는 환 자, 소화관 통과장애, 선천성 심부전증, 심장수술후 환자
7)Spironolactone 50mg
-효능:potassium-sparing diuretic
-용량: 1일50~100mg을 1~2회 분할복용
-부작용: 저나트륨혈증, 고칼륨혈증, 대사성산증, BUN상승, 여성형 유방, 유방종창, 성욕감 퇴, 발기부전, 월경불순, 무월경, 폐경후 출혈, 음성의 저음화, 발진, 두드러기, 식 욕부진, 구역, 구토, 구갈, 변비, 어지러움, 두통
-금기: 본제 과민증, 무뇨, 금성신부전, 중증의 신기능 장애, 중증의 간부전, 고칼륨혈증, 에 디슨병
8)Dopamin HCl
-효능: 급성순환부전
-용량:CVP가 10~15cm H₂O가 될 때까지 whole blood나 plasma를 투여후 2~5mcg/kg/min씩 투여, 심한 경우 5~10mcg/kg/min 투여후 필요한 경우 20~50mcg/kg/min 까지 IV infusion
-부작용: 부정맥, 말초의 허혈, 협심증, 심계항진, 호흡곤란, 저혈압, 구역, 구토 등
-금기: 크롬 친화성 세포종, 빈맥성 부정맥, 심실세동, 갑상선 중독증자
9)cefotamime 1g
-적응증: 폐렴, 폐화농증의 농흉, 기관지염, 기관지확장증(감염시), 만성 호흡기 질환의 2 차 감염, 신우신염, 방광염, 요도염, 패혈증, 세균성 심내막염, 수막염, 골수염, 혈성 관절염, 봉소염, 복막염, 담관염, 담낭염, 편도염, 창상, 화상, 수술후 2 차감염, 외상에 위한 감염증, 부속기염, 전립선염, 임질, 자궁내감염, 자궁주위 염, 골반사강염, 바토린선염(농양), 체내 저항력이 떨어져있는 환자의 감염예방.
-용량: 1일 2~6g을 2회 분할정주
-금기: 본제 또는 세팔로스프린계 항생물질 쇽 기왕력자, 리도카인 등의 아닐리드계 국소 마취에 과민증 기왕력자(근주).
-주의: 본제 또는 세펨계나 페니실린계 항생물질 과민증 기왕력자, 알러지증상 체질자 또 는 가족력자, 심한 신장애, 비경구영양환자, 고령자, 전신상태가 나쁜환자, 위장관 계 질환 기왕력자.
4.간호진단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배는 왜 자꾸 불러오는 거야.”
“배불러서 숨쉬기가 힘들어.”
“몸에 힘이 하나도 없고 피곤해 죽겠어.”
객관적 자료: USG, CT검사 복수 차있음
팔 다리의 말초부종 있음
ascites로 인한 abdominal distension 과 dyspnea 있음
얕은 호흡양상과 RR: 26회 이상
Na 감소: 131mEq/L(3/28) → 128mEq/L(3/30)
K 감소: 3.4mEq/L(3/28) → 3.1mEq/L(3/30)
복부둘레 증가: 90.1cm(3/28) → 93cm(3/30)
체중 증가: 88.6kg(3/28) → 92.4kg(3/30)
간호진단
간성복수로 인한 체액과량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간호목표
체중과 전해질치가 정상이고 복부둘레는 점차 감소하여 호흡곤란이 감소된다.
간호계획
-4시간 마다 v/s을 측정한다.
-복수와 부종의 부위와 정도를 사정한다.
-매일 몸무게와 복부둘레를 측정한다.
-섭취량과 배설량을 관찰한다.
-복수로 인한 dyspnea 양상을 사정한다.
-좌위를 취해준다.
-호흡을 완화하기 위해 비강 캐뉼라를 사용한다.
-침상안정과 소듐을 제한하도록 한다.
-처방된 이뇨제를 투여한다.
간호수행
-4시간마다 v/s을 측정하면서 호흡양상을 관찰하였다.
-매일 아침 식전에 몸무게와 복부 둘레를 측정하였다.
-섭취량과 배설량을 측정하였다.
-좌위를 취하게 하였고, 4시간마다 체위변경 하고 심호흡을 하도록 교육시켰다.
-비강 캐뉼라로 O₂1.5ℓ/min 간헐적 사용하였다.
-자주 휴식을 취하게 하고 수분제한과 저염식이 하도록 교육시켰다.
-Dr 처방에 따라 이뇨제를 사용하였다.
간호평가
더 이상 숨이 차다고 말씀하시지 않았다.
호흡도 20회 안팎으로 정상범위이고 호흡곤란도 없어보였다.
말초부종은 아직 없어지지 않았지만 허리둘레가 89cm(4/2)로 점차 줄어들고 있고 체중도 86kg(4/3)로 줄어들었다.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하루종일 긁고 있고.. 가려워.”
“계속 긁었더니 따갑다.”
객관적 자료: 팔 다리에 부종있음
목과 팔에 긁은 손톱자국이 있다.
T.Bilirubin 수치가 11.53mg/dL(3/31)로 높다.
간호진단
부종, 소양감과 관련된 피부손상
간호목표
소양증이 완화되어 편안함을 표현한다.
피부에 긁힌 자국이 없다.
간호계획
-부종과 소양감의 부위, 정도 및 양상을 사정한다.
-부종과 소양감의 유발요인과 완화요인을 환자와 함께 확인한다.
-옷이나 침구류의 청결을 유지한다.
-피부가 과다하게 건조되는 것을 예방한다.
-열과 두꺼운 옷은 피하고 시원한 환경을 유지하도록 한다.
-손톱은 짧고 청결하게 한다.
-부드러운 옷을 제공하고, 미지근한 물로 목욕을 해준다.
간호수행
-소양감의 정도 및 양상을 하루 4시간 간격으로 사정했다.
-가벼운 담요, 옷은 중압감을 최소로 하고 보온을 유지하며, 과도한 보온을 막아주기 위해 최소한 적게 입게 했다.
-옷이나 침구류 등은 구김이 없게 하고 하루에 한번 환의를 교환하여 청결함을 유지하게 했다.
-찬바람이나 먼지가 많은 장소 및 잦은 목욕은 피하도록 교육하였다.
-목욕시 미지근한 물로 하고 비누사용은 제한하고 건조한 피부에 로션을 발라 습윤하도록 했다.
-손톱은 짧게 자르고 청결하도록 교육시켰다.
간호평가
피부가 갈라지거나 긁힌 자국은 줄어들었다.
소양감은 덜하고 가려움이 많이 가라앉았다고 했다.
피부가 청결하고 깨끗하였다.
-부작용: 오심, 구토, 식욕부진, 변비, 설사, 현기, 근육경련, 심박 불규칙
-금기: 무뇨증, 과민증
5)Potassium chloride
-효능: 저칼륨혈증, 디기탈리그 중독
-용량: tab: 1일 2~5정을 분복
inj: 0.5~3g을 희석하여 8~12ml/min 의 속도로 4시간 이상에 걸쳐 IV infusion
-부작용: 심박동 불규칙, 전신착란, 경구투여시 소화기 폐색, 천공, 궤양, 설사, 고칼륨혈증 등
-금기: 중증의 신기능 장애, 부신기능장애, 급성탈수증 또는 광범위한 조직손상이 있는 환 자, 소화관 통과장애, 선천성 심부전증, 심장수술후 환자
7)Spironolactone 50mg
-효능:potassium-sparing diuretic
-용량: 1일50~100mg을 1~2회 분할복용
-부작용: 저나트륨혈증, 고칼륨혈증, 대사성산증, BUN상승, 여성형 유방, 유방종창, 성욕감 퇴, 발기부전, 월경불순, 무월경, 폐경후 출혈, 음성의 저음화, 발진, 두드러기, 식 욕부진, 구역, 구토, 구갈, 변비, 어지러움, 두통
-금기: 본제 과민증, 무뇨, 금성신부전, 중증의 신기능 장애, 중증의 간부전, 고칼륨혈증, 에 디슨병
8)Dopamin HCl
-효능: 급성순환부전
-용량:CVP가 10~15cm H₂O가 될 때까지 whole blood나 plasma를 투여후 2~5mcg/kg/min씩 투여, 심한 경우 5~10mcg/kg/min 투여후 필요한 경우 20~50mcg/kg/min 까지 IV infusion
-부작용: 부정맥, 말초의 허혈, 협심증, 심계항진, 호흡곤란, 저혈압, 구역, 구토 등
-금기: 크롬 친화성 세포종, 빈맥성 부정맥, 심실세동, 갑상선 중독증자
9)cefotamime 1g
-적응증: 폐렴, 폐화농증의 농흉, 기관지염, 기관지확장증(감염시), 만성 호흡기 질환의 2 차 감염, 신우신염, 방광염, 요도염, 패혈증, 세균성 심내막염, 수막염, 골수염, 혈성 관절염, 봉소염, 복막염, 담관염, 담낭염, 편도염, 창상, 화상, 수술후 2 차감염, 외상에 위한 감염증, 부속기염, 전립선염, 임질, 자궁내감염, 자궁주위 염, 골반사강염, 바토린선염(농양), 체내 저항력이 떨어져있는 환자의 감염예방.
-용량: 1일 2~6g을 2회 분할정주
-금기: 본제 또는 세팔로스프린계 항생물질 쇽 기왕력자, 리도카인 등의 아닐리드계 국소 마취에 과민증 기왕력자(근주).
-주의: 본제 또는 세펨계나 페니실린계 항생물질 과민증 기왕력자, 알러지증상 체질자 또 는 가족력자, 심한 신장애, 비경구영양환자, 고령자, 전신상태가 나쁜환자, 위장관 계 질환 기왕력자.
4.간호진단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배는 왜 자꾸 불러오는 거야.”
“배불러서 숨쉬기가 힘들어.”
“몸에 힘이 하나도 없고 피곤해 죽겠어.”
객관적 자료: USG, CT검사 복수 차있음
팔 다리의 말초부종 있음
ascites로 인한 abdominal distension 과 dyspnea 있음
얕은 호흡양상과 RR: 26회 이상
Na 감소: 131mEq/L(3/28) → 128mEq/L(3/30)
K 감소: 3.4mEq/L(3/28) → 3.1mEq/L(3/30)
복부둘레 증가: 90.1cm(3/28) → 93cm(3/30)
체중 증가: 88.6kg(3/28) → 92.4kg(3/30)
간호진단
간성복수로 인한 체액과량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간호목표
체중과 전해질치가 정상이고 복부둘레는 점차 감소하여 호흡곤란이 감소된다.
간호계획
-4시간 마다 v/s을 측정한다.
-복수와 부종의 부위와 정도를 사정한다.
-매일 몸무게와 복부둘레를 측정한다.
-섭취량과 배설량을 관찰한다.
-복수로 인한 dyspnea 양상을 사정한다.
-좌위를 취해준다.
-호흡을 완화하기 위해 비강 캐뉼라를 사용한다.
-침상안정과 소듐을 제한하도록 한다.
-처방된 이뇨제를 투여한다.
간호수행
-4시간마다 v/s을 측정하면서 호흡양상을 관찰하였다.
-매일 아침 식전에 몸무게와 복부 둘레를 측정하였다.
-섭취량과 배설량을 측정하였다.
-좌위를 취하게 하였고, 4시간마다 체위변경 하고 심호흡을 하도록 교육시켰다.
-비강 캐뉼라로 O₂1.5ℓ/min 간헐적 사용하였다.
-자주 휴식을 취하게 하고 수분제한과 저염식이 하도록 교육시켰다.
-Dr 처방에 따라 이뇨제를 사용하였다.
간호평가
더 이상 숨이 차다고 말씀하시지 않았다.
호흡도 20회 안팎으로 정상범위이고 호흡곤란도 없어보였다.
말초부종은 아직 없어지지 않았지만 허리둘레가 89cm(4/2)로 점차 줄어들고 있고 체중도 86kg(4/3)로 줄어들었다.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하루종일 긁고 있고.. 가려워.”
“계속 긁었더니 따갑다.”
객관적 자료: 팔 다리에 부종있음
목과 팔에 긁은 손톱자국이 있다.
T.Bilirubin 수치가 11.53mg/dL(3/31)로 높다.
간호진단
부종, 소양감과 관련된 피부손상
간호목표
소양증이 완화되어 편안함을 표현한다.
피부에 긁힌 자국이 없다.
간호계획
-부종과 소양감의 부위, 정도 및 양상을 사정한다.
-부종과 소양감의 유발요인과 완화요인을 환자와 함께 확인한다.
-옷이나 침구류의 청결을 유지한다.
-피부가 과다하게 건조되는 것을 예방한다.
-열과 두꺼운 옷은 피하고 시원한 환경을 유지하도록 한다.
-손톱은 짧고 청결하게 한다.
-부드러운 옷을 제공하고, 미지근한 물로 목욕을 해준다.
간호수행
-소양감의 정도 및 양상을 하루 4시간 간격으로 사정했다.
-가벼운 담요, 옷은 중압감을 최소로 하고 보온을 유지하며, 과도한 보온을 막아주기 위해 최소한 적게 입게 했다.
-옷이나 침구류 등은 구김이 없게 하고 하루에 한번 환의를 교환하여 청결함을 유지하게 했다.
-찬바람이나 먼지가 많은 장소 및 잦은 목욕은 피하도록 교육하였다.
-목욕시 미지근한 물로 하고 비누사용은 제한하고 건조한 피부에 로션을 발라 습윤하도록 했다.
-손톱은 짧게 자르고 청결하도록 교육시켰다.
간호평가
피부가 갈라지거나 긁힌 자국은 줄어들었다.
소양감은 덜하고 가려움이 많이 가라앉았다고 했다.
피부가 청결하고 깨끗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