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혈액의 생리
혈액형
Ⅲ. 수혈
Ⅳ. 성분수혈
Ⅴ. hemapheresis
혈액형
Ⅲ. 수혈
Ⅳ. 성분수혈
Ⅴ. hemapheresis
본문내용
다량의 수액이 투여될 때 발생할 수 있다. 패혈관내 혈액이 증가되며 폐신장성이 감소된다.
임상증상 : 정맥압의 상승, 경정맥의 팽창, 호흡곤란, 기침, 폐기저부의 마찰음
관리 : 수혈을 중단하고 생리식염수로 정맥을 유지한다. 의사에게 보고한다.
지지할 수 있는 직립 자세를 취해준다.
처방된 이뇨제, 산소, morphine 과 aminophylline을 투여한다.
예방: 가능하다면 농축 혈액물을 투여한다. 순환속도 내로 수혈한다.
심부전 환자는 중심 정맥압을 관찰한다.
E. 용혈반응 : 부적합한 혈액의 주입
순환 또는 망상세포내피계 내의 세포를 용혈시키는 수혈된 적혈구에 유착된 수혈자 혈장 내의 항체
용혈(부적합한 혈장의 주입- 부적합한 적혈구의 주입보다 덜 심함)을 초래하는 수혈자 적혈구에 유착된 공혈자 혈장내의 항체
임상증상: 오한, 요통, 머리가 가득찬 느낌: 홍조, 압도되는 느낌, 빈맥, 빈호흡, 저혈압, 혈관 허탈, 혈색소뇨, 혈색소혈증, 출혈, 급성 신부전
관리: 즉시 수혈을 중단한다.
생리식염수로 정맥을 유지한다.
의사와 혈액은행에 보고한다.
쇼크가 발생하였다면 치료를 한다.
검사 표본을 체취하고 소변 표본을 수집한다.
교질 용액을 정맥으로 투여하여 혈압을 유지한다. 소변량, 사구체 여과와 신혈류를 유지하기 위하여 처방된 이뇨제를 투여한다.
시간당 소변량을 관찰하기 위해 유치 카테터를 삽입한다. 신부전이 발생하였다면 투석이 요구될 수 있다.
예방: 세심하게 환자의 신분을 확인한다.
- 검사물 체취부터 혈액주입까지 수혈을 서서히 시작하고 30분동안 주의 깊게 환자를 관찰한다. 부적합한 혈액이 수혈된 양에 따라 후유증이 다르다.
2. 만성수혈반응
1. 지연된 용혈반응 -
원인: 교차반응을 하는 동안 감별하지 못하거나 수혈후 빠르게 형성되는 항체에 의해 수혈된 적혈구가 빠르게 파괴된다. 이러한 항체는 과거의 수혈 또는 임신기간 동안 항원에 노출되었기 때문에 빠르게 형성될 수 있다.
임상증상: 발열, 경한 황달, 혈구 용적의 저하
관리: 일반적으로 급성 치료가 필요하지는 않지만 용혈은 쇼크와 신부전을 초래할 정도로 심할 수 있다. 이것이 발생 할 경우, 급성용혈반응에 근거한 치료를 하게된다.
예방: 혈액표본의 교차반응은 수혈 3일내에 채취하여야 한다. 항체형성은 수혈과 임신 90일 내에 발생할수 있다.
2. 철과잉
원인: 장기간 다량의 수혈 결과(재생불량성 빈혈, 지중해성 빈혈)로 심장 내분비기관, 간, 비장, 피부와 기타 주요기관 내의 철의 침전
임상증상: 당뇨, 갑상선 기능저하, 부정맥, 만성 심부전 및 기타 주요 장기부전과 관련된 증후군
관리: 증상을 치료한다.
신장을 통해 축적된 철을 화합물을 만들어 제거하거나 Deferoxamine(Desferal)을 IV 또는 IM 또는 SC로 투여한다.
3. 조직이식 숙주질환
원인: 숙주에 대항하여 조직이식 면역반응을 나타내는 면역억제 환자의 골수 내 림프구 이식
임상증상: 발적성 피부, 간기능 검사의 이상, 양이 많고 물같은 설사
관리: corticosteroid, cycloporine A로 면역억제
소양증 통증의 증상 관리
설사를위한 수분과 전해질 대치
예방: 방사선이 조사된 혈액의 투여
4, 감염성 질환
1) B형간염
원인: 감염된 혈액으로 혈액 공혈자로부터 수혈자에게 전파되는 B형간염바이러스
임상증상: OT/PT의 상승, 식욕부진, 권태감, 오심, 구토, 발열, 짙은 소변색, 황달
관리 : 대개 4-6주 내 자연적으로 해결된다. 영구적인 간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증상을 치료한다.
예방: 공혈자를 판별검사하고 세균과 접촉했던 사람은 일시적으로 공혈 대상에서 제외된다. 11세 이후 간염 과거력이 있는 사람은 영구적으로 혈액을 공여할 수 없다. 모든 혈액을 사전에 검사한다. (EIA)
2) C형간염 (형식상 non-A, non-B형간염)
원인: 감염된 혈액을 통해 공혈자로부터 수혈자로 전파된 C형간염 세균
임상증상: 혈청성 B형 간염과 유사하나 증상은 대개 덜 심하다. 만성 질환과 경변으로 진전될 수 있다.
관리: 증상은 대개 경하고 치료를 요하지 않는다.
예방: 모든 혈액을 사전에 검사한다.
(ALT, anti-HBc antibody, anti-hepatitis anti-body)
3) Epstein-Barr virus cytomegalovirus, malaria
원인: 감염된 혈액을 통해 전파
임상증상: 감기, 해외여행 유무에 대해 질문한다.
4) 후천성 면역 결핍증
원인: 감염된 혈액을 토해 공혈자로부터 수혈자에게 전파된 HIV virus
임상증상: 야간발한, 설명할 수 없는 체중감소, 림프절증, pneumocystis, 카포시육종, 설사
관리 : AZT는 AIDS 증후의 발현을 지연시킬 수 있다 활동성 질환은 대증적으로 치료한다.
예방: 공혈자의 HIV 항체 여부를 검사한다. 고위험 공혈자를 공혈 대상에서 제외시킨다.
1977년 이후 다른 남성과 성접촉을 한 남성, 자가 주사한 정맥 약물 남용자, 매춘부의 남성 또는 여성 파트너, 혈우병 또는 그들의 성교 파트너, AIDS 또는 AIDS의 고위험군과의 성교 파트너, Haiti 또는 Sub-Saharan Africa 로부터의 이민자
5, 골수병증과 중한 경련성 감각 이상과 관련된 HLTV(HAM/TSP) 성인 T-세포백혈병
원인: 혈액 제제를 통해 혈액 공급자에서 수혜자에게 전달되는 Human T-lymphotropic virus 유형 1(HTLV-1)
임상증상: 신경근육질환의 증상, T-세포 백혈병의 증상
관리 : HTLV-1에 감염된 사람은 질병으로 진전될 위험이 낮다.(3-5%) 잠복기는 10-20년 이하이다. 질병이 발생하면 대증적으로 치료한다.
예방: 모든 공혈자를 대상으로 항 HTLV-1의 항체를 검사한다.
6. 매독:
원인: spirochetemia 잠복기는 4-18주
임상증상: 경성하감의 현존, 국소적림프병리. 전신 발적
관리: 페니실린 치료
예방: 수혈전 혈액검사 (rapid plasma reagain: RPF)
4도에서 24-48시간 동안 저장시 병원체는 생존할수 없다.
임상증상 : 정맥압의 상승, 경정맥의 팽창, 호흡곤란, 기침, 폐기저부의 마찰음
관리 : 수혈을 중단하고 생리식염수로 정맥을 유지한다. 의사에게 보고한다.
지지할 수 있는 직립 자세를 취해준다.
처방된 이뇨제, 산소, morphine 과 aminophylline을 투여한다.
예방: 가능하다면 농축 혈액물을 투여한다. 순환속도 내로 수혈한다.
심부전 환자는 중심 정맥압을 관찰한다.
E. 용혈반응 : 부적합한 혈액의 주입
순환 또는 망상세포내피계 내의 세포를 용혈시키는 수혈된 적혈구에 유착된 수혈자 혈장 내의 항체
용혈(부적합한 혈장의 주입- 부적합한 적혈구의 주입보다 덜 심함)을 초래하는 수혈자 적혈구에 유착된 공혈자 혈장내의 항체
임상증상: 오한, 요통, 머리가 가득찬 느낌: 홍조, 압도되는 느낌, 빈맥, 빈호흡, 저혈압, 혈관 허탈, 혈색소뇨, 혈색소혈증, 출혈, 급성 신부전
관리: 즉시 수혈을 중단한다.
생리식염수로 정맥을 유지한다.
의사와 혈액은행에 보고한다.
쇼크가 발생하였다면 치료를 한다.
검사 표본을 체취하고 소변 표본을 수집한다.
교질 용액을 정맥으로 투여하여 혈압을 유지한다. 소변량, 사구체 여과와 신혈류를 유지하기 위하여 처방된 이뇨제를 투여한다.
시간당 소변량을 관찰하기 위해 유치 카테터를 삽입한다. 신부전이 발생하였다면 투석이 요구될 수 있다.
예방: 세심하게 환자의 신분을 확인한다.
- 검사물 체취부터 혈액주입까지 수혈을 서서히 시작하고 30분동안 주의 깊게 환자를 관찰한다. 부적합한 혈액이 수혈된 양에 따라 후유증이 다르다.
2. 만성수혈반응
1. 지연된 용혈반응 -
원인: 교차반응을 하는 동안 감별하지 못하거나 수혈후 빠르게 형성되는 항체에 의해 수혈된 적혈구가 빠르게 파괴된다. 이러한 항체는 과거의 수혈 또는 임신기간 동안 항원에 노출되었기 때문에 빠르게 형성될 수 있다.
임상증상: 발열, 경한 황달, 혈구 용적의 저하
관리: 일반적으로 급성 치료가 필요하지는 않지만 용혈은 쇼크와 신부전을 초래할 정도로 심할 수 있다. 이것이 발생 할 경우, 급성용혈반응에 근거한 치료를 하게된다.
예방: 혈액표본의 교차반응은 수혈 3일내에 채취하여야 한다. 항체형성은 수혈과 임신 90일 내에 발생할수 있다.
2. 철과잉
원인: 장기간 다량의 수혈 결과(재생불량성 빈혈, 지중해성 빈혈)로 심장 내분비기관, 간, 비장, 피부와 기타 주요기관 내의 철의 침전
임상증상: 당뇨, 갑상선 기능저하, 부정맥, 만성 심부전 및 기타 주요 장기부전과 관련된 증후군
관리: 증상을 치료한다.
신장을 통해 축적된 철을 화합물을 만들어 제거하거나 Deferoxamine(Desferal)을 IV 또는 IM 또는 SC로 투여한다.
3. 조직이식 숙주질환
원인: 숙주에 대항하여 조직이식 면역반응을 나타내는 면역억제 환자의 골수 내 림프구 이식
임상증상: 발적성 피부, 간기능 검사의 이상, 양이 많고 물같은 설사
관리: corticosteroid, cycloporine A로 면역억제
소양증 통증의 증상 관리
설사를위한 수분과 전해질 대치
예방: 방사선이 조사된 혈액의 투여
4, 감염성 질환
1) B형간염
원인: 감염된 혈액으로 혈액 공혈자로부터 수혈자에게 전파되는 B형간염바이러스
임상증상: OT/PT의 상승, 식욕부진, 권태감, 오심, 구토, 발열, 짙은 소변색, 황달
관리 : 대개 4-6주 내 자연적으로 해결된다. 영구적인 간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증상을 치료한다.
예방: 공혈자를 판별검사하고 세균과 접촉했던 사람은 일시적으로 공혈 대상에서 제외된다. 11세 이후 간염 과거력이 있는 사람은 영구적으로 혈액을 공여할 수 없다. 모든 혈액을 사전에 검사한다. (EIA)
2) C형간염 (형식상 non-A, non-B형간염)
원인: 감염된 혈액을 통해 공혈자로부터 수혈자로 전파된 C형간염 세균
임상증상: 혈청성 B형 간염과 유사하나 증상은 대개 덜 심하다. 만성 질환과 경변으로 진전될 수 있다.
관리: 증상은 대개 경하고 치료를 요하지 않는다.
예방: 모든 혈액을 사전에 검사한다.
(ALT, anti-HBc antibody, anti-hepatitis anti-body)
3) Epstein-Barr virus cytomegalovirus, malaria
원인: 감염된 혈액을 통해 전파
임상증상: 감기, 해외여행 유무에 대해 질문한다.
4) 후천성 면역 결핍증
원인: 감염된 혈액을 토해 공혈자로부터 수혈자에게 전파된 HIV virus
임상증상: 야간발한, 설명할 수 없는 체중감소, 림프절증, pneumocystis, 카포시육종, 설사
관리 : AZT는 AIDS 증후의 발현을 지연시킬 수 있다 활동성 질환은 대증적으로 치료한다.
예방: 공혈자의 HIV 항체 여부를 검사한다. 고위험 공혈자를 공혈 대상에서 제외시킨다.
1977년 이후 다른 남성과 성접촉을 한 남성, 자가 주사한 정맥 약물 남용자, 매춘부의 남성 또는 여성 파트너, 혈우병 또는 그들의 성교 파트너, AIDS 또는 AIDS의 고위험군과의 성교 파트너, Haiti 또는 Sub-Saharan Africa 로부터의 이민자
5, 골수병증과 중한 경련성 감각 이상과 관련된 HLTV(HAM/TSP) 성인 T-세포백혈병
원인: 혈액 제제를 통해 혈액 공급자에서 수혜자에게 전달되는 Human T-lymphotropic virus 유형 1(HTLV-1)
임상증상: 신경근육질환의 증상, T-세포 백혈병의 증상
관리 : HTLV-1에 감염된 사람은 질병으로 진전될 위험이 낮다.(3-5%) 잠복기는 10-20년 이하이다. 질병이 발생하면 대증적으로 치료한다.
예방: 모든 공혈자를 대상으로 항 HTLV-1의 항체를 검사한다.
6. 매독:
원인: spirochetemia 잠복기는 4-18주
임상증상: 경성하감의 현존, 국소적림프병리. 전신 발적
관리: 페니실린 치료
예방: 수혈전 혈액검사 (rapid plasma reagain: RPF)
4도에서 24-48시간 동안 저장시 병원체는 생존할수 없다.